“4월 사퇴, 6월 대선 준거”…조기 퇴진 협상 촉구
입력 2016.11.30 (10:24)
수정 2016.11.30 (11: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의 퇴임 시기는 내년 4월 말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원내대표는 30일(오늘) 의원총회에서 "박 대통령이 지금 하야하면, 내년 1월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하는데 이를 바라는 국민은 없을 것"이라면서 "차기 대선은 내년 6월 쯤이 적절하고 이를 역산하면 대통령은 4월 말 이전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지난 주말 국가원로들이 대통령의 내년 4월 사퇴, 6월 대선이라는 일정을 제시한 바 있다"면서 "저는 원로들의 이번 제안이 대통령 사임 시기에 대한 논의에서 충분한 준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또 "차기 대통령 선거 일자가 확정되면 대통령 사임시기가 확정되는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에 대해 "대통령 사임시기를 정하는 협상, 즉 조기 퇴진과 조기 대선 일정을 잡는 협상에 즉각 나서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또 "어제 대통령이 즉각 하야를 발표했더라면 우리는 내년 1월말 대선을 치러야 한다"며 "이런 '벼락치기 대선'을 우리 정치권이 과연 감당할 수 있겠느냐. 국민이 원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회가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의결하면 여야는 국민에게 정리된 정치일정을 제시하지 못한 채 헌법재판소만 바라보게 될 것"이라며 "국정혼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 원내대표는 일부 언론이 박 대통령의 전날 제3차 대국민담화에 대해 '개헌으로 꼼수를 부린 것'이라고 비판한 것과 관련, "이건 전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대통령은 퇴임 시기와 방법을 전부 국회에 일임한 것"이라며 "국회가 질서있는 대통령의 사퇴 로드맵을 만들어내는 게 1차적 숙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담화에 꼼수나 오해가 있을 수 없다"며 "대통령의 속뜻이 꼼수이건 아니건 국회가 여야 합의로 대통령 사임 시기를 결정하면 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개헌이 전지전능한 해법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광장의 함성을 통해 반영된 국민의 바람을 이어갈 수 있는 첫걸음은 될 것"이라며 "야당이 협조하지 않으면 거국내각 구성과 개헌 논의는 어렵다"며 야당의 협상 참여를 종용했다.
정 원내대표는 30일(오늘) 의원총회에서 "박 대통령이 지금 하야하면, 내년 1월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하는데 이를 바라는 국민은 없을 것"이라면서 "차기 대선은 내년 6월 쯤이 적절하고 이를 역산하면 대통령은 4월 말 이전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지난 주말 국가원로들이 대통령의 내년 4월 사퇴, 6월 대선이라는 일정을 제시한 바 있다"면서 "저는 원로들의 이번 제안이 대통령 사임 시기에 대한 논의에서 충분한 준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또 "차기 대통령 선거 일자가 확정되면 대통령 사임시기가 확정되는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에 대해 "대통령 사임시기를 정하는 협상, 즉 조기 퇴진과 조기 대선 일정을 잡는 협상에 즉각 나서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또 "어제 대통령이 즉각 하야를 발표했더라면 우리는 내년 1월말 대선을 치러야 한다"며 "이런 '벼락치기 대선'을 우리 정치권이 과연 감당할 수 있겠느냐. 국민이 원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회가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의결하면 여야는 국민에게 정리된 정치일정을 제시하지 못한 채 헌법재판소만 바라보게 될 것"이라며 "국정혼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 원내대표는 일부 언론이 박 대통령의 전날 제3차 대국민담화에 대해 '개헌으로 꼼수를 부린 것'이라고 비판한 것과 관련, "이건 전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대통령은 퇴임 시기와 방법을 전부 국회에 일임한 것"이라며 "국회가 질서있는 대통령의 사퇴 로드맵을 만들어내는 게 1차적 숙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담화에 꼼수나 오해가 있을 수 없다"며 "대통령의 속뜻이 꼼수이건 아니건 국회가 여야 합의로 대통령 사임 시기를 결정하면 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개헌이 전지전능한 해법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광장의 함성을 통해 반영된 국민의 바람을 이어갈 수 있는 첫걸음은 될 것"이라며 "야당이 협조하지 않으면 거국내각 구성과 개헌 논의는 어렵다"며 야당의 협상 참여를 종용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월 사퇴, 6월 대선 준거”…조기 퇴진 협상 촉구
-
- 입력 2016-11-30 10:24:23
- 수정2016-11-30 11:28:56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의 퇴임 시기는 내년 4월 말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원내대표는 30일(오늘) 의원총회에서 "박 대통령이 지금 하야하면, 내년 1월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하는데 이를 바라는 국민은 없을 것"이라면서 "차기 대선은 내년 6월 쯤이 적절하고 이를 역산하면 대통령은 4월 말 이전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지난 주말 국가원로들이 대통령의 내년 4월 사퇴, 6월 대선이라는 일정을 제시한 바 있다"면서 "저는 원로들의 이번 제안이 대통령 사임 시기에 대한 논의에서 충분한 준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또 "차기 대통령 선거 일자가 확정되면 대통령 사임시기가 확정되는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에 대해 "대통령 사임시기를 정하는 협상, 즉 조기 퇴진과 조기 대선 일정을 잡는 협상에 즉각 나서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또 "어제 대통령이 즉각 하야를 발표했더라면 우리는 내년 1월말 대선을 치러야 한다"며 "이런 '벼락치기 대선'을 우리 정치권이 과연 감당할 수 있겠느냐. 국민이 원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회가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의결하면 여야는 국민에게 정리된 정치일정을 제시하지 못한 채 헌법재판소만 바라보게 될 것"이라며 "국정혼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 원내대표는 일부 언론이 박 대통령의 전날 제3차 대국민담화에 대해 '개헌으로 꼼수를 부린 것'이라고 비판한 것과 관련, "이건 전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대통령은 퇴임 시기와 방법을 전부 국회에 일임한 것"이라며 "국회가 질서있는 대통령의 사퇴 로드맵을 만들어내는 게 1차적 숙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담화에 꼼수나 오해가 있을 수 없다"며 "대통령의 속뜻이 꼼수이건 아니건 국회가 여야 합의로 대통령 사임 시기를 결정하면 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개헌이 전지전능한 해법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광장의 함성을 통해 반영된 국민의 바람을 이어갈 수 있는 첫걸음은 될 것"이라며 "야당이 협조하지 않으면 거국내각 구성과 개헌 논의는 어렵다"며 야당의 협상 참여를 종용했다.
정 원내대표는 30일(오늘) 의원총회에서 "박 대통령이 지금 하야하면, 내년 1월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하는데 이를 바라는 국민은 없을 것"이라면서 "차기 대선은 내년 6월 쯤이 적절하고 이를 역산하면 대통령은 4월 말 이전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지난 주말 국가원로들이 대통령의 내년 4월 사퇴, 6월 대선이라는 일정을 제시한 바 있다"면서 "저는 원로들의 이번 제안이 대통령 사임 시기에 대한 논의에서 충분한 준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또 "차기 대통령 선거 일자가 확정되면 대통령 사임시기가 확정되는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에 대해 "대통령 사임시기를 정하는 협상, 즉 조기 퇴진과 조기 대선 일정을 잡는 협상에 즉각 나서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또 "어제 대통령이 즉각 하야를 발표했더라면 우리는 내년 1월말 대선을 치러야 한다"며 "이런 '벼락치기 대선'을 우리 정치권이 과연 감당할 수 있겠느냐. 국민이 원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회가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의결하면 여야는 국민에게 정리된 정치일정을 제시하지 못한 채 헌법재판소만 바라보게 될 것"이라며 "국정혼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 원내대표는 일부 언론이 박 대통령의 전날 제3차 대국민담화에 대해 '개헌으로 꼼수를 부린 것'이라고 비판한 것과 관련, "이건 전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대통령은 퇴임 시기와 방법을 전부 국회에 일임한 것"이라며 "국회가 질서있는 대통령의 사퇴 로드맵을 만들어내는 게 1차적 숙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담화에 꼼수나 오해가 있을 수 없다"며 "대통령의 속뜻이 꼼수이건 아니건 국회가 여야 합의로 대통령 사임 시기를 결정하면 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개헌이 전지전능한 해법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광장의 함성을 통해 반영된 국민의 바람을 이어갈 수 있는 첫걸음은 될 것"이라며 "야당이 협조하지 않으면 거국내각 구성과 개헌 논의는 어렵다"며 야당의 협상 참여를 종용했다.
-
-
황진우 기자 simon@kbs.co.kr
황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박 대통령 탄핵 심판·최순실 게이트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