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류 살충제 검사 항목 제각각…전수조사 허점

입력 2017.08.18 (23:46) 수정 2017.08.19 (09: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살충제 달걀 실태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전국의 지방자치단체가 검사한 살충제 검사 항목이 정부 기준에 상당 부분 못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전국 1,239개 농가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인 결과, 모두 49개 농가에서 살충제 성분이 초과 검출돼 최종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피프로닐'이 검출된 농가는 8곳이었고, 비펜트린 검출이 37곳, 플루페녹수론 2곳, 에톡사졸과 피리다벤이 검출된 농가가 각각 1곳씩이다.

하지만, KBS 취재결과 이번 전수조사에서 지자체가 검사한 살충제 검사 항목이 정부 기준에 상당 부분 못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강원도의 경우 검사한 살충제 성분항목은 모두 19종으로, 정부가 검사하도록 한 27종에 비해 턱없이 부족했다. 대전과 아산 등에서 새로 검출된 에톡사졸과 플루페녹수론 등 살충제 8종류에 대해서는 검사 자체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KBS가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양계농가가 없는 서울과 부산을 제외한 전국 15개 광역시·도 가운데 강원도와, 인천광역시, 충북, 전북, 경남이 살충제 19종에 대해서만 검사를 실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과 제주, 전남은 23종을 검사하는데 그쳤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준대로 27개 항목을 분석했다는 곳은 대구,경북,충남,세종,경기,광주,울산 등 7개 지역 뿐이었다.

강원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난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달걀에 대한 살충제 잔류 검사 항목을 기존 19종에서 27종으로 확대했지만, 이후 지자체별로 이에 대한 준비가 아직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새로운 성분에 대한 검사를 위해서는 검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표준품' 확보가 중요한데, 새로운 성분에 대한 표준품은 외국에서 수입을 해와야 해, 기간이 상당히 장기간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결국, 정부가 '과학적이고 철저하게' 실시했다고 강조한 전수조사가, 부실한 준비 속에서 지자체마다 제각각으로 이뤄진 것으로 확인되면서, 부실조사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잔류 살충제 검사 항목 제각각…전수조사 허점
    • 입력 2017-08-18 23:46:47
    • 수정2017-08-19 09:05:14
    사회
농림축산식품부가 살충제 달걀 실태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전국의 지방자치단체가 검사한 살충제 검사 항목이 정부 기준에 상당 부분 못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전국 1,239개 농가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인 결과, 모두 49개 농가에서 살충제 성분이 초과 검출돼 최종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피프로닐'이 검출된 농가는 8곳이었고, 비펜트린 검출이 37곳, 플루페녹수론 2곳, 에톡사졸과 피리다벤이 검출된 농가가 각각 1곳씩이다.

하지만, KBS 취재결과 이번 전수조사에서 지자체가 검사한 살충제 검사 항목이 정부 기준에 상당 부분 못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강원도의 경우 검사한 살충제 성분항목은 모두 19종으로, 정부가 검사하도록 한 27종에 비해 턱없이 부족했다. 대전과 아산 등에서 새로 검출된 에톡사졸과 플루페녹수론 등 살충제 8종류에 대해서는 검사 자체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KBS가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양계농가가 없는 서울과 부산을 제외한 전국 15개 광역시·도 가운데 강원도와, 인천광역시, 충북, 전북, 경남이 살충제 19종에 대해서만 검사를 실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과 제주, 전남은 23종을 검사하는데 그쳤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준대로 27개 항목을 분석했다는 곳은 대구,경북,충남,세종,경기,광주,울산 등 7개 지역 뿐이었다.

강원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난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달걀에 대한 살충제 잔류 검사 항목을 기존 19종에서 27종으로 확대했지만, 이후 지자체별로 이에 대한 준비가 아직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새로운 성분에 대한 검사를 위해서는 검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표준품' 확보가 중요한데, 새로운 성분에 대한 표준품은 외국에서 수입을 해와야 해, 기간이 상당히 장기간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결국, 정부가 '과학적이고 철저하게' 실시했다고 강조한 전수조사가, 부실한 준비 속에서 지자체마다 제각각으로 이뤄진 것으로 확인되면서, 부실조사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