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너도나도 케이블카…전국 30여 곳 추진

입력 2017.06.23 (21:31) 수정 2017.06.23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문화재청의 불허 결정으로 주춤했던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이 다시 추진됩니다.

오색약수터에서부터 해발 천4백80미터 끝청 하단까지, 3.5킬로미터 구간인데요.

최근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문화재청이 허가를 거부한 게 잘못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강원도 양양군은 사업의 물꼬가 트였다며 반색했고, 케이블카를 추진 중인 다른 곳들도 들썩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 의견도 여전한데요, 먼저,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케이블카 사업에 뛰어든 이유, 손원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케이블카 대박이냐 쪽박이냐 전국 ‘몸살’▼

<리포트>

경남 통영 미륵산 정상까지 이어진 케이블카입니다.

천 9백75미터 길이에 한려수도를 끼고 있어 관광객에게 큰 인기입니다.

<인터뷰> 임광택(경기도 수원시) : "바다를 같이 보니까 풍경 같은 게 보기 좋더라고요. 다시 한번 나중에 시간이 더 있으면 와볼만한 (거 같아요.)"

9년 만에 탑승객 천백만 명을 돌파해 배당금으로만 사업비를 모두 이미 회수했습니다.

관광객 증가로 지역 상권도 눈에 띄게 살아났습니다.

<인터뷰> 김성한(통영시 해양관광과장) : "김밥집이라든지 숙박업소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지방세수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1500억 원 정도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있지 않나."

지난 2014년 말 운영을 시작한 전남 여수의 케이블카도 연평균 이용객이 2백만 명을 넘습니다.

자치단체들마다 이런 기대로 케이블카 사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인터뷰> 류정섭(국제대학교 호텔관광학과 교수) : "(관광객) 체류시간이 길어집니다. 케이블카는 어떤 관광활동과 연계돼 있기 때문에 자연히 소비가 늘어나게 됩니다."

현재 전국에 20여 곳의 관광용 케이블카가 운영되고 있고 새로 추진되는 케이블카 사업만도 30여 곳에 이릅니다.

장밋빛 전망 속에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경쟁적으로 케이블카에 매달리며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지역 관광 활성화 vs 환경 훼손 논란 갈등▼

<기자 멘트>

케이블카는 산을 오르는 편리한 교통수단인 동시에 관광상품 역할도 합니다.

그럼에도 논란이 되는 가장 큰 이유는 환경 문제입니다.

4개 시군이 뛰어든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은 15년 넘게 막혀 있습니다.

제주와 대구, 경남 남해 등에서는 규제와 반대에 부딪쳐 사업이 무산되기도 했습니다.

실제 케이블카를 만들 때 환경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케이블카에는 대형 철기둥이 필요한데 지형에 따라 1km당 한, 두 개를 설치해야 합니다.

또, 상·하부승강장과 부대시설도 뒤따르게 됩니다.

규모가 큰 공사기 때문에 논란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환경훼손 걱정만 줄인다면 케이블카를 둘러싼 갈등도 줄일 수 있을텐데요.

경제성이 있다는 걸 전제로 환경문제까지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이슬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장밋빛 기대 금물…‘가이드라인’ 실효성 높여야▼

<리포트>

국내에서 가장 넓은 억새 군락지를 자랑하는 경남의 가지산 도립공원입니다.

5년 전, 케이블카를 설치한 뒤 등산객이 늘면서 억새밭은 엉망이 됐습니다.

승강장 바로 옆에 탐방로가 연결돼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임희자(마창진 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 :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온 사람들이 한꺼번에 억새 군락을 향하는 등산로를 가게 되는 거죠. 결국은 억새 군락이 민둥산으로 변하는 이러한 현상들이..."

정상까지 케이블카로 바로 갈 수 있는 덕유산 국립공원을 비롯해, 관광객들이 몰리는 케이블카 설치 지역의 생태 파괴가 심해지자, 환경부는 2011년,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습니다.

승강장과 탐방로 연계를 금지하고, 주요 봉우리를 피해 케이블카를 설치하도록 했지만, 문제는 권고사항에 그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조우(상지대 관광학과 교수) : "강제성 두기가 굉장히 어려워요.(가이드라인 내용 일부를) 법에 집어넣을 수 있는 방안 이런 것도 고민할 필요성이 있지 않을까."

전국에서 운영되는 관광용 케이블카 22곳 중 흑자를 내는 곳은 불과 4곳, 수익도 못 내면서 결국은 자연만 훼손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윱니다.

케이블카 사업 때마다 불거지는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이드라인을 보다 촘촘히 보완해 명확한 원칙을 세우고, 집행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너도나도 케이블카…전국 30여 곳 추진
    • 입력 2017-06-23 21:31:58
    • 수정2017-06-23 22:01:30
    뉴스 9
<앵커 멘트>

문화재청의 불허 결정으로 주춤했던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이 다시 추진됩니다.

오색약수터에서부터 해발 천4백80미터 끝청 하단까지, 3.5킬로미터 구간인데요.

최근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문화재청이 허가를 거부한 게 잘못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강원도 양양군은 사업의 물꼬가 트였다며 반색했고, 케이블카를 추진 중인 다른 곳들도 들썩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 의견도 여전한데요, 먼저,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케이블카 사업에 뛰어든 이유, 손원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케이블카 대박이냐 쪽박이냐 전국 ‘몸살’▼

<리포트>

경남 통영 미륵산 정상까지 이어진 케이블카입니다.

천 9백75미터 길이에 한려수도를 끼고 있어 관광객에게 큰 인기입니다.

<인터뷰> 임광택(경기도 수원시) : "바다를 같이 보니까 풍경 같은 게 보기 좋더라고요. 다시 한번 나중에 시간이 더 있으면 와볼만한 (거 같아요.)"

9년 만에 탑승객 천백만 명을 돌파해 배당금으로만 사업비를 모두 이미 회수했습니다.

관광객 증가로 지역 상권도 눈에 띄게 살아났습니다.

<인터뷰> 김성한(통영시 해양관광과장) : "김밥집이라든지 숙박업소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지방세수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1500억 원 정도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있지 않나."

지난 2014년 말 운영을 시작한 전남 여수의 케이블카도 연평균 이용객이 2백만 명을 넘습니다.

자치단체들마다 이런 기대로 케이블카 사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인터뷰> 류정섭(국제대학교 호텔관광학과 교수) : "(관광객) 체류시간이 길어집니다. 케이블카는 어떤 관광활동과 연계돼 있기 때문에 자연히 소비가 늘어나게 됩니다."

현재 전국에 20여 곳의 관광용 케이블카가 운영되고 있고 새로 추진되는 케이블카 사업만도 30여 곳에 이릅니다.

장밋빛 전망 속에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경쟁적으로 케이블카에 매달리며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지역 관광 활성화 vs 환경 훼손 논란 갈등▼

<기자 멘트>

케이블카는 산을 오르는 편리한 교통수단인 동시에 관광상품 역할도 합니다.

그럼에도 논란이 되는 가장 큰 이유는 환경 문제입니다.

4개 시군이 뛰어든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은 15년 넘게 막혀 있습니다.

제주와 대구, 경남 남해 등에서는 규제와 반대에 부딪쳐 사업이 무산되기도 했습니다.

실제 케이블카를 만들 때 환경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케이블카에는 대형 철기둥이 필요한데 지형에 따라 1km당 한, 두 개를 설치해야 합니다.

또, 상·하부승강장과 부대시설도 뒤따르게 됩니다.

규모가 큰 공사기 때문에 논란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환경훼손 걱정만 줄인다면 케이블카를 둘러싼 갈등도 줄일 수 있을텐데요.

경제성이 있다는 걸 전제로 환경문제까지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이슬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장밋빛 기대 금물…‘가이드라인’ 실효성 높여야▼

<리포트>

국내에서 가장 넓은 억새 군락지를 자랑하는 경남의 가지산 도립공원입니다.

5년 전, 케이블카를 설치한 뒤 등산객이 늘면서 억새밭은 엉망이 됐습니다.

승강장 바로 옆에 탐방로가 연결돼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임희자(마창진 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 :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온 사람들이 한꺼번에 억새 군락을 향하는 등산로를 가게 되는 거죠. 결국은 억새 군락이 민둥산으로 변하는 이러한 현상들이..."

정상까지 케이블카로 바로 갈 수 있는 덕유산 국립공원을 비롯해, 관광객들이 몰리는 케이블카 설치 지역의 생태 파괴가 심해지자, 환경부는 2011년,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습니다.

승강장과 탐방로 연계를 금지하고, 주요 봉우리를 피해 케이블카를 설치하도록 했지만, 문제는 권고사항에 그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조우(상지대 관광학과 교수) : "강제성 두기가 굉장히 어려워요.(가이드라인 내용 일부를) 법에 집어넣을 수 있는 방안 이런 것도 고민할 필요성이 있지 않을까."

전국에서 운영되는 관광용 케이블카 22곳 중 흑자를 내는 곳은 불과 4곳, 수익도 못 내면서 결국은 자연만 훼손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윱니다.

케이블카 사업 때마다 불거지는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이드라인을 보다 촘촘히 보완해 명확한 원칙을 세우고, 집행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