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명 ‘주사감염’ 됐는데 추적조사 포기…9명 건강 확인 안 돼

입력 2019.10.21 (08:49) 수정 2019.10.21 (08: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동네 병원에서 무심코 주사를 맞았다가 오히려 균에 감염되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주사기로 균이 체내에 직접 주입되면, 생명을 잃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주사 감염' 사고에 대해 보건 당국이 잘 대응하고 있는 걸까요.

KBS 탐사보도부는 원인을 규명하지 않고 보건 당국이 덮어 버린 한 집단 감염 사고의 전말을 추적 취재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5년 5월, 팔꿈치가 저렸던 52살 최 모 씨는 동네 병원에서 주사 한 대를 맞았습니다.

하지만 다음 날부터 주사를 맞은 부위가 빨갛게 부어 올랐습니다.

[성남시 보건소 전 담당자/음성변조 : "주사를 맞았는데 이상 증세가 발현됐다, 그걸로 인해서 민원 제기를 한 거죠. 다른 병원으로 가신 분도 있고 이상 증세가 있어서 입원실이 있는 다른 병원으로 갔고 여기저기 막 갔더라고요."]

사흘 뒤, 환자는 25명으로 늘었습니다.

모두 통증주사를 맞았고 이후 고름이 차오르는 화농성 감염증을 앓았습니다.

16명은 상태가 심각해져 인근 병원 8곳에 흩어져 입원 치료까지 받아야 했습니다.

성남시는 복지부에 사고를 보고했습니다.

그리고는 병원이 조제한 '통증주사' 혼합액과, 원료인 주사제를 수거해 식약처에 넘겼습니다.

한달 뒤, 나온 역학조사 결과입니다.

병원측이 의심한 주사제에서는 균이 나오지 않았지만, 대신 병원이 조제한 '통증주사'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나왔습니다.

병원의 감염 관리가 사고 원인이었을 가능성이 있는 결과였습니다.

그러나 복지부와 식약처는 이런 사실을 알고도, 추가 조치를 하지 않았습니다.

[복지부 약무정책 담당 공무원/음성변조 : "(의료 관련 감염이잖아요. 그러면 질병관리본부에서 역학조사에 참여를 했어야 되는데?) 확인해 보라고 했거든요. (성남시 보건소로부터) 받은 거밖에 없고 아마 관여한 게 없었던 것 같긴 했었어요."]

진행하던 피해자 추적 조사도 마무리짓지 못했습니다.

피해 환자 25명 가운데 9명은 어떤 이상 증상을 겪었는지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윤일규/국회 보건복지위 위원 : "현장에서 실제로 치밀하고 또는 전문적으로 또는 수준을 지속적으로 진화시켜야 될 기능 자체가 충분히 역할을 못 하지 않냐 하는 생각이 들고..."]

KBS 탐사보도부는 보건 당국이 원인을 규명하지 않고 외면한, 또 다른 주사감염 사례를 추적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5명 ‘주사감염’ 됐는데 추적조사 포기…9명 건강 확인 안 돼
    • 입력 2019-10-21 08:50:55
    • 수정2019-10-21 08:53:53
    아침뉴스타임
[앵커]

동네 병원에서 무심코 주사를 맞았다가 오히려 균에 감염되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주사기로 균이 체내에 직접 주입되면, 생명을 잃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주사 감염' 사고에 대해 보건 당국이 잘 대응하고 있는 걸까요.

KBS 탐사보도부는 원인을 규명하지 않고 보건 당국이 덮어 버린 한 집단 감염 사고의 전말을 추적 취재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5년 5월, 팔꿈치가 저렸던 52살 최 모 씨는 동네 병원에서 주사 한 대를 맞았습니다.

하지만 다음 날부터 주사를 맞은 부위가 빨갛게 부어 올랐습니다.

[성남시 보건소 전 담당자/음성변조 : "주사를 맞았는데 이상 증세가 발현됐다, 그걸로 인해서 민원 제기를 한 거죠. 다른 병원으로 가신 분도 있고 이상 증세가 있어서 입원실이 있는 다른 병원으로 갔고 여기저기 막 갔더라고요."]

사흘 뒤, 환자는 25명으로 늘었습니다.

모두 통증주사를 맞았고 이후 고름이 차오르는 화농성 감염증을 앓았습니다.

16명은 상태가 심각해져 인근 병원 8곳에 흩어져 입원 치료까지 받아야 했습니다.

성남시는 복지부에 사고를 보고했습니다.

그리고는 병원이 조제한 '통증주사' 혼합액과, 원료인 주사제를 수거해 식약처에 넘겼습니다.

한달 뒤, 나온 역학조사 결과입니다.

병원측이 의심한 주사제에서는 균이 나오지 않았지만, 대신 병원이 조제한 '통증주사'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나왔습니다.

병원의 감염 관리가 사고 원인이었을 가능성이 있는 결과였습니다.

그러나 복지부와 식약처는 이런 사실을 알고도, 추가 조치를 하지 않았습니다.

[복지부 약무정책 담당 공무원/음성변조 : "(의료 관련 감염이잖아요. 그러면 질병관리본부에서 역학조사에 참여를 했어야 되는데?) 확인해 보라고 했거든요. (성남시 보건소로부터) 받은 거밖에 없고 아마 관여한 게 없었던 것 같긴 했었어요."]

진행하던 피해자 추적 조사도 마무리짓지 못했습니다.

피해 환자 25명 가운데 9명은 어떤 이상 증상을 겪었는지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윤일규/국회 보건복지위 위원 : "현장에서 실제로 치밀하고 또는 전문적으로 또는 수준을 지속적으로 진화시켜야 될 기능 자체가 충분히 역할을 못 하지 않냐 하는 생각이 들고..."]

KBS 탐사보도부는 보건 당국이 원인을 규명하지 않고 외면한, 또 다른 주사감염 사례를 추적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