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스페셜] 홋카이도 탄광의 비밀…“제2의 군함도였다”
입력 2018.08.25 (22:09)
수정 2018.08.25 (22: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해도, 일본말로 홋카이도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삿포로 눈축제? 끝없이 펼쳐진 라벤더밭?
낭만적 정취가 가득한 자연 친화적인 '관광지'가 대개 먼저 떠오르실 겁니다.
하지만 홋카이도는 우리에겐 아픈 역사가 숨겨진 곳입니다.
이른바 '군함도'보다 더 가혹했던 강제 징용이 이뤄진 곳인데요,
홋카이도 탄광들에서의 조선인 수난사를 이승철 특파원이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끝없이 펼쳐진 꽃밭.
라벤더 향기가 가득 스며듭니다.
평원을 뛰노는 사슴들과 끝없이 펼쳐진 목초지.
일본 홋카이도는 대자연의 축복 속에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곳입니다.
하지만 불과 70여 년 전 홋카이도는 지금과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채홍철/강제징용 2세 : "아버지가 햇빛을 본 적이 없다고... 새벽에 일어나서 캄캄한 갱안에 들어가서 갱에서 나올 때는 밤이니까."]
수풀을 헤치고 들어가자 갱도 입구가 나타납니다.
["미쓰비시 마크가 보이죠?"]
1941년 이곳 갱도 쪽에서 대규모 폭발사고로 한반도 출신 징용자 32명이 숨졌습니다.
불이 꺼지지 않자 그대로 물을 부어버립니다.
[시라이토/홋카이도 강제 징용 연구자 : "깊은 곳에 있던 사람들은 그대로 수몰된 거죠."]
같은 광산의 또 다른 입구.
땅 밑 170m 갱도에서 1944년 다시 대규모 가스 폭발사고가 일어났습니다.
107명이 숨졌는데, 71명이 한반도 출신이었습니다.
[시라이토/훗카이도 강제징용 연구자 : "이런 사고 상황에서는 어떻게 달아나야 한다는 교육을 받지 못한 (한반도 출신) 사람들이 희생된 겁니다."]
바다 밑 탄광에서 석탕을 캐고, 죽어서야 나올 수 있었다던 군함도.
군함도를 포함해 규슈 지역에 동원된 강제 징용자가 20만 명인데, 홋카이도에도 비슷한 규모의 사람들이 끌려온 것으로 추산됩니다.
특히 조직적인 동원 정도는 홋카이도 쪽이 훨씬 심각했습니다.
홋카이도에서 가장 큰 규모로 탄광을 운영했던 회사의 서륩니다.
부산출장소가 작성한 것인데, 각 지역별로 사람을 강제 할당해 보낸 기록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1944년 8월 전북 고창의 경우를 보면,
["(고창에) 100명을 할당해서 100명을 동원했고, 조선 내에서 28명이 도망, 또 일본 내에서 9명이 도망, 탄광에 도착한 것은 63명."]
도망간 인원은 숫자를 채울 때까지 사람을 끌어갔습니다.
[다케우치/강제동원연구가 : "조선 총독부의 동원 때문에 지역별로 100명, 50명 등을 회사가 받는 겁니다. 받아서 열차로 부산으로 보내는 거죠."]
안동 등지의 서류에는 "인적 자원이 고갈됐다."라는 표현까지 등장할 정돕니다.
이 한 회사가 1944년 9월 23일부터 약 10일간 부산 등을 통해 홋카이도 탄광으로 보낸 강제 징용자 숫자만 만 7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그리고 탄광에는 위안소를 만들어 우리 여성들까지 동원했습니다.
한적한 옛 광산촌 한쪽에 자리 잡은 붉은 지붕의 집 한 채.
["지금은 이 부분만 남아 있는 겁니다."]
2천여 명의 한반도 출신 강제 징용자가 있었던 아시베츠 탄광.
1944년 미쓰이 그룹이 이곳 광산을 인수하면서 위안소를 만들었습니다.
[하세야마/위안소 관련 증언 청취 기록자 : "여성이 4~5명이 있었고, 한복을 입었었다고..."]
탄광 측이 쉬지 않고 일한 광부들에게 위안소 할인권을 지급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습니다.
지금까지 홋카이도에 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산업 위안소만 19곳에 이릅니다.
홋카이도 탄광의 혹독한 강제 노역을 견디다 못해 도망도 쳤지만,
[다케우치/강제 징용 연구자 : "(홋카이도 탄광에서) 도망쳤다가 잡혀 맞아 죽은 사람이 있고, 죽지 않은 사람은 쿠릴 열도로 보냈다는 기록이..."]
제 바로 뒤 저 바다 건너편에 쿠릴열도의 최남단 섬이 있습니다.
저 쿠릴열도 인근 바다에서 태평양 전쟁 중 강제 징용과 관련된 가장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납니다.
일본 홋카이도 북부에서 캄차카 반도까지 뻗어 있는 쿠릴 열도.
일본군이 작성한 쿠릴열도 징용자 사망 명붑니다.
1944년 7월 9일 같은 날 한꺼번에 180여 명이 숨진 걸로 나옵니다.
강원도와 황해도 일원에서 징용돼 배로 쿠릴열도로 가던 중 '어뢰' 공격을 받은 것으로 돼 있습니다.
그 뒤에도 9월에 579명, 10월에도 312명이 숨졌습니다.
모두 징용선에 타고 있다 희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망 기록이 남아 있는 쿠릴 열도 징용자는 모두 1,189명입니다.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는 배 안에서 최후를 맞이해야 했던 조선의 강제 징용자들.
또 홋카이도의 탄광 등지에서 쓰러져간 우리의 할아버지들.
잊혀질 수도 외면할 수도 없음을 역사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홋카이도에서 이승철이었습니다.
북해도, 일본말로 홋카이도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삿포로 눈축제? 끝없이 펼쳐진 라벤더밭?
낭만적 정취가 가득한 자연 친화적인 '관광지'가 대개 먼저 떠오르실 겁니다.
하지만 홋카이도는 우리에겐 아픈 역사가 숨겨진 곳입니다.
이른바 '군함도'보다 더 가혹했던 강제 징용이 이뤄진 곳인데요,
홋카이도 탄광들에서의 조선인 수난사를 이승철 특파원이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끝없이 펼쳐진 꽃밭.
라벤더 향기가 가득 스며듭니다.
평원을 뛰노는 사슴들과 끝없이 펼쳐진 목초지.
일본 홋카이도는 대자연의 축복 속에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곳입니다.
하지만 불과 70여 년 전 홋카이도는 지금과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채홍철/강제징용 2세 : "아버지가 햇빛을 본 적이 없다고... 새벽에 일어나서 캄캄한 갱안에 들어가서 갱에서 나올 때는 밤이니까."]
수풀을 헤치고 들어가자 갱도 입구가 나타납니다.
["미쓰비시 마크가 보이죠?"]
1941년 이곳 갱도 쪽에서 대규모 폭발사고로 한반도 출신 징용자 32명이 숨졌습니다.
불이 꺼지지 않자 그대로 물을 부어버립니다.
[시라이토/홋카이도 강제 징용 연구자 : "깊은 곳에 있던 사람들은 그대로 수몰된 거죠."]
같은 광산의 또 다른 입구.
땅 밑 170m 갱도에서 1944년 다시 대규모 가스 폭발사고가 일어났습니다.
107명이 숨졌는데, 71명이 한반도 출신이었습니다.
[시라이토/훗카이도 강제징용 연구자 : "이런 사고 상황에서는 어떻게 달아나야 한다는 교육을 받지 못한 (한반도 출신) 사람들이 희생된 겁니다."]
바다 밑 탄광에서 석탕을 캐고, 죽어서야 나올 수 있었다던 군함도.
군함도를 포함해 규슈 지역에 동원된 강제 징용자가 20만 명인데, 홋카이도에도 비슷한 규모의 사람들이 끌려온 것으로 추산됩니다.
특히 조직적인 동원 정도는 홋카이도 쪽이 훨씬 심각했습니다.
홋카이도에서 가장 큰 규모로 탄광을 운영했던 회사의 서륩니다.
부산출장소가 작성한 것인데, 각 지역별로 사람을 강제 할당해 보낸 기록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1944년 8월 전북 고창의 경우를 보면,
["(고창에) 100명을 할당해서 100명을 동원했고, 조선 내에서 28명이 도망, 또 일본 내에서 9명이 도망, 탄광에 도착한 것은 63명."]
도망간 인원은 숫자를 채울 때까지 사람을 끌어갔습니다.
[다케우치/강제동원연구가 : "조선 총독부의 동원 때문에 지역별로 100명, 50명 등을 회사가 받는 겁니다. 받아서 열차로 부산으로 보내는 거죠."]
안동 등지의 서류에는 "인적 자원이 고갈됐다."라는 표현까지 등장할 정돕니다.
이 한 회사가 1944년 9월 23일부터 약 10일간 부산 등을 통해 홋카이도 탄광으로 보낸 강제 징용자 숫자만 만 7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그리고 탄광에는 위안소를 만들어 우리 여성들까지 동원했습니다.
한적한 옛 광산촌 한쪽에 자리 잡은 붉은 지붕의 집 한 채.
["지금은 이 부분만 남아 있는 겁니다."]
2천여 명의 한반도 출신 강제 징용자가 있었던 아시베츠 탄광.
1944년 미쓰이 그룹이 이곳 광산을 인수하면서 위안소를 만들었습니다.
[하세야마/위안소 관련 증언 청취 기록자 : "여성이 4~5명이 있었고, 한복을 입었었다고..."]
탄광 측이 쉬지 않고 일한 광부들에게 위안소 할인권을 지급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습니다.
지금까지 홋카이도에 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산업 위안소만 19곳에 이릅니다.
홋카이도 탄광의 혹독한 강제 노역을 견디다 못해 도망도 쳤지만,
[다케우치/강제 징용 연구자 : "(홋카이도 탄광에서) 도망쳤다가 잡혀 맞아 죽은 사람이 있고, 죽지 않은 사람은 쿠릴 열도로 보냈다는 기록이..."]
제 바로 뒤 저 바다 건너편에 쿠릴열도의 최남단 섬이 있습니다.
저 쿠릴열도 인근 바다에서 태평양 전쟁 중 강제 징용과 관련된 가장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납니다.
일본 홋카이도 북부에서 캄차카 반도까지 뻗어 있는 쿠릴 열도.
일본군이 작성한 쿠릴열도 징용자 사망 명붑니다.
1944년 7월 9일 같은 날 한꺼번에 180여 명이 숨진 걸로 나옵니다.
강원도와 황해도 일원에서 징용돼 배로 쿠릴열도로 가던 중 '어뢰' 공격을 받은 것으로 돼 있습니다.
그 뒤에도 9월에 579명, 10월에도 312명이 숨졌습니다.
모두 징용선에 타고 있다 희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망 기록이 남아 있는 쿠릴 열도 징용자는 모두 1,189명입니다.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는 배 안에서 최후를 맞이해야 했던 조선의 강제 징용자들.
또 홋카이도의 탄광 등지에서 쓰러져간 우리의 할아버지들.
잊혀질 수도 외면할 수도 없음을 역사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홋카이도에서 이승철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특파원 스페셜] 홋카이도 탄광의 비밀…“제2의 군함도였다”
-
- 입력 2018-08-25 22:21:11
- 수정2018-08-25 22:39:51

[앵커]
북해도, 일본말로 홋카이도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삿포로 눈축제? 끝없이 펼쳐진 라벤더밭?
낭만적 정취가 가득한 자연 친화적인 '관광지'가 대개 먼저 떠오르실 겁니다.
하지만 홋카이도는 우리에겐 아픈 역사가 숨겨진 곳입니다.
이른바 '군함도'보다 더 가혹했던 강제 징용이 이뤄진 곳인데요,
홋카이도 탄광들에서의 조선인 수난사를 이승철 특파원이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끝없이 펼쳐진 꽃밭.
라벤더 향기가 가득 스며듭니다.
평원을 뛰노는 사슴들과 끝없이 펼쳐진 목초지.
일본 홋카이도는 대자연의 축복 속에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곳입니다.
하지만 불과 70여 년 전 홋카이도는 지금과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채홍철/강제징용 2세 : "아버지가 햇빛을 본 적이 없다고... 새벽에 일어나서 캄캄한 갱안에 들어가서 갱에서 나올 때는 밤이니까."]
수풀을 헤치고 들어가자 갱도 입구가 나타납니다.
["미쓰비시 마크가 보이죠?"]
1941년 이곳 갱도 쪽에서 대규모 폭발사고로 한반도 출신 징용자 32명이 숨졌습니다.
불이 꺼지지 않자 그대로 물을 부어버립니다.
[시라이토/홋카이도 강제 징용 연구자 : "깊은 곳에 있던 사람들은 그대로 수몰된 거죠."]
같은 광산의 또 다른 입구.
땅 밑 170m 갱도에서 1944년 다시 대규모 가스 폭발사고가 일어났습니다.
107명이 숨졌는데, 71명이 한반도 출신이었습니다.
[시라이토/훗카이도 강제징용 연구자 : "이런 사고 상황에서는 어떻게 달아나야 한다는 교육을 받지 못한 (한반도 출신) 사람들이 희생된 겁니다."]
바다 밑 탄광에서 석탕을 캐고, 죽어서야 나올 수 있었다던 군함도.
군함도를 포함해 규슈 지역에 동원된 강제 징용자가 20만 명인데, 홋카이도에도 비슷한 규모의 사람들이 끌려온 것으로 추산됩니다.
특히 조직적인 동원 정도는 홋카이도 쪽이 훨씬 심각했습니다.
홋카이도에서 가장 큰 규모로 탄광을 운영했던 회사의 서륩니다.
부산출장소가 작성한 것인데, 각 지역별로 사람을 강제 할당해 보낸 기록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1944년 8월 전북 고창의 경우를 보면,
["(고창에) 100명을 할당해서 100명을 동원했고, 조선 내에서 28명이 도망, 또 일본 내에서 9명이 도망, 탄광에 도착한 것은 63명."]
도망간 인원은 숫자를 채울 때까지 사람을 끌어갔습니다.
[다케우치/강제동원연구가 : "조선 총독부의 동원 때문에 지역별로 100명, 50명 등을 회사가 받는 겁니다. 받아서 열차로 부산으로 보내는 거죠."]
안동 등지의 서류에는 "인적 자원이 고갈됐다."라는 표현까지 등장할 정돕니다.
이 한 회사가 1944년 9월 23일부터 약 10일간 부산 등을 통해 홋카이도 탄광으로 보낸 강제 징용자 숫자만 만 7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그리고 탄광에는 위안소를 만들어 우리 여성들까지 동원했습니다.
한적한 옛 광산촌 한쪽에 자리 잡은 붉은 지붕의 집 한 채.
["지금은 이 부분만 남아 있는 겁니다."]
2천여 명의 한반도 출신 강제 징용자가 있었던 아시베츠 탄광.
1944년 미쓰이 그룹이 이곳 광산을 인수하면서 위안소를 만들었습니다.
[하세야마/위안소 관련 증언 청취 기록자 : "여성이 4~5명이 있었고, 한복을 입었었다고..."]
탄광 측이 쉬지 않고 일한 광부들에게 위안소 할인권을 지급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습니다.
지금까지 홋카이도에 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산업 위안소만 19곳에 이릅니다.
홋카이도 탄광의 혹독한 강제 노역을 견디다 못해 도망도 쳤지만,
[다케우치/강제 징용 연구자 : "(홋카이도 탄광에서) 도망쳤다가 잡혀 맞아 죽은 사람이 있고, 죽지 않은 사람은 쿠릴 열도로 보냈다는 기록이..."]
제 바로 뒤 저 바다 건너편에 쿠릴열도의 최남단 섬이 있습니다.
저 쿠릴열도 인근 바다에서 태평양 전쟁 중 강제 징용과 관련된 가장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납니다.
일본 홋카이도 북부에서 캄차카 반도까지 뻗어 있는 쿠릴 열도.
일본군이 작성한 쿠릴열도 징용자 사망 명붑니다.
1944년 7월 9일 같은 날 한꺼번에 180여 명이 숨진 걸로 나옵니다.
강원도와 황해도 일원에서 징용돼 배로 쿠릴열도로 가던 중 '어뢰' 공격을 받은 것으로 돼 있습니다.
그 뒤에도 9월에 579명, 10월에도 312명이 숨졌습니다.
모두 징용선에 타고 있다 희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망 기록이 남아 있는 쿠릴 열도 징용자는 모두 1,189명입니다.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는 배 안에서 최후를 맞이해야 했던 조선의 강제 징용자들.
또 홋카이도의 탄광 등지에서 쓰러져간 우리의 할아버지들.
잊혀질 수도 외면할 수도 없음을 역사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홋카이도에서 이승철이었습니다.
북해도, 일본말로 홋카이도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삿포로 눈축제? 끝없이 펼쳐진 라벤더밭?
낭만적 정취가 가득한 자연 친화적인 '관광지'가 대개 먼저 떠오르실 겁니다.
하지만 홋카이도는 우리에겐 아픈 역사가 숨겨진 곳입니다.
이른바 '군함도'보다 더 가혹했던 강제 징용이 이뤄진 곳인데요,
홋카이도 탄광들에서의 조선인 수난사를 이승철 특파원이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끝없이 펼쳐진 꽃밭.
라벤더 향기가 가득 스며듭니다.
평원을 뛰노는 사슴들과 끝없이 펼쳐진 목초지.
일본 홋카이도는 대자연의 축복 속에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곳입니다.
하지만 불과 70여 년 전 홋카이도는 지금과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채홍철/강제징용 2세 : "아버지가 햇빛을 본 적이 없다고... 새벽에 일어나서 캄캄한 갱안에 들어가서 갱에서 나올 때는 밤이니까."]
수풀을 헤치고 들어가자 갱도 입구가 나타납니다.
["미쓰비시 마크가 보이죠?"]
1941년 이곳 갱도 쪽에서 대규모 폭발사고로 한반도 출신 징용자 32명이 숨졌습니다.
불이 꺼지지 않자 그대로 물을 부어버립니다.
[시라이토/홋카이도 강제 징용 연구자 : "깊은 곳에 있던 사람들은 그대로 수몰된 거죠."]
같은 광산의 또 다른 입구.
땅 밑 170m 갱도에서 1944년 다시 대규모 가스 폭발사고가 일어났습니다.
107명이 숨졌는데, 71명이 한반도 출신이었습니다.
[시라이토/훗카이도 강제징용 연구자 : "이런 사고 상황에서는 어떻게 달아나야 한다는 교육을 받지 못한 (한반도 출신) 사람들이 희생된 겁니다."]
바다 밑 탄광에서 석탕을 캐고, 죽어서야 나올 수 있었다던 군함도.
군함도를 포함해 규슈 지역에 동원된 강제 징용자가 20만 명인데, 홋카이도에도 비슷한 규모의 사람들이 끌려온 것으로 추산됩니다.
특히 조직적인 동원 정도는 홋카이도 쪽이 훨씬 심각했습니다.
홋카이도에서 가장 큰 규모로 탄광을 운영했던 회사의 서륩니다.
부산출장소가 작성한 것인데, 각 지역별로 사람을 강제 할당해 보낸 기록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1944년 8월 전북 고창의 경우를 보면,
["(고창에) 100명을 할당해서 100명을 동원했고, 조선 내에서 28명이 도망, 또 일본 내에서 9명이 도망, 탄광에 도착한 것은 63명."]
도망간 인원은 숫자를 채울 때까지 사람을 끌어갔습니다.
[다케우치/강제동원연구가 : "조선 총독부의 동원 때문에 지역별로 100명, 50명 등을 회사가 받는 겁니다. 받아서 열차로 부산으로 보내는 거죠."]
안동 등지의 서류에는 "인적 자원이 고갈됐다."라는 표현까지 등장할 정돕니다.
이 한 회사가 1944년 9월 23일부터 약 10일간 부산 등을 통해 홋카이도 탄광으로 보낸 강제 징용자 숫자만 만 7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그리고 탄광에는 위안소를 만들어 우리 여성들까지 동원했습니다.
한적한 옛 광산촌 한쪽에 자리 잡은 붉은 지붕의 집 한 채.
["지금은 이 부분만 남아 있는 겁니다."]
2천여 명의 한반도 출신 강제 징용자가 있었던 아시베츠 탄광.
1944년 미쓰이 그룹이 이곳 광산을 인수하면서 위안소를 만들었습니다.
[하세야마/위안소 관련 증언 청취 기록자 : "여성이 4~5명이 있었고, 한복을 입었었다고..."]
탄광 측이 쉬지 않고 일한 광부들에게 위안소 할인권을 지급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습니다.
지금까지 홋카이도에 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산업 위안소만 19곳에 이릅니다.
홋카이도 탄광의 혹독한 강제 노역을 견디다 못해 도망도 쳤지만,
[다케우치/강제 징용 연구자 : "(홋카이도 탄광에서) 도망쳤다가 잡혀 맞아 죽은 사람이 있고, 죽지 않은 사람은 쿠릴 열도로 보냈다는 기록이..."]
제 바로 뒤 저 바다 건너편에 쿠릴열도의 최남단 섬이 있습니다.
저 쿠릴열도 인근 바다에서 태평양 전쟁 중 강제 징용과 관련된 가장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납니다.
일본 홋카이도 북부에서 캄차카 반도까지 뻗어 있는 쿠릴 열도.
일본군이 작성한 쿠릴열도 징용자 사망 명붑니다.
1944년 7월 9일 같은 날 한꺼번에 180여 명이 숨진 걸로 나옵니다.
강원도와 황해도 일원에서 징용돼 배로 쿠릴열도로 가던 중 '어뢰' 공격을 받은 것으로 돼 있습니다.
그 뒤에도 9월에 579명, 10월에도 312명이 숨졌습니다.
모두 징용선에 타고 있다 희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망 기록이 남아 있는 쿠릴 열도 징용자는 모두 1,189명입니다.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는 배 안에서 최후를 맞이해야 했던 조선의 강제 징용자들.
또 홋카이도의 탄광 등지에서 쓰러져간 우리의 할아버지들.
잊혀질 수도 외면할 수도 없음을 역사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홋카이도에서 이승철이었습니다.
-
-
이승철 기자 neost@kbs.co.kr
이승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