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돼지 포상금 20만 원…올해 목표 10만 마리 가능할까?

입력 2019.12.03 (07: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27일 경기도 연천군 민통선 내에서 포획한 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됐습니다.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진된 건 전국에서 33번째입니다.

멧돼지가 잇따라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걸리면서 정부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멧돼지들이 번식력과 활동성을 무기로 바이러스를 전국으로 옮길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여파 '멧돼지 집중 포획'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이후인 지난 10월 13일 정부는 멧돼지 포획 강화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ASF 바이러스가 사그러들 때까지 멧돼지 포획단을 연중, 무기한 운영체제로 바꿨습니다. 포획단을 연중 운영하면서 개체 수를 줄이고 ASF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실시간 파악하려는 조치입니다. 그간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던 멧돼지 포획단은 대부분 수확 철 농산물 피해가 접수될 때만 출동했습니다.

최근 충청남도는 포획단 인원을 619명에서 1,206명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지리산과 덕유산 자락의 경남 거창군도 최근 포획단 엽사 인원을 33명에서 49명으로 늘렸습니다. 다른 지자체들도 포획단 엽사 인력을 대폭 충원하고 있습니다.

포획단 내부에서도 각자 담당하던 관할 구역을 없앴습니다. 기존엔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엽사가 각자 맡은 구역의 멧돼지만 포획하도록 규정돼 있었습니다. 이런 규정들이 완화되면서 멧돼지가 많이 서식하는 곳에 포획단이 집중 투입돼 효과적인 포획이 가능해졌습니다.

지자체가 포획단에 개별적으로 주던 마리당 5만 원 안팎의 포상금도 마리당 20만 원으로 올렸습니다.잡은 멧돼지를 못 가져가게 하고 매몰 처분하는 대신 포상금을 올렸습니다.

인원 확충과 운영 규제 완화, 포상금 인상 등의 방법으로 정부가 포획단을 활용한 전방위적 포획 강화에 나선 겁니다.

포획 마릿수 늘어…개체 수 조절 일단 '효과'

효과는 있어 보입니다. 경남에선 지난 9월까지 하루 평균 17마리가량의 멧돼지가 포획됐습니다. 그런데 정부의 포획 강화 조치 이후인 10월 들어 하루 평균 41마리의 멧돼지를 잡았습니다. 포상금을 올리겠다고 발표한 지난달엔 하루 평균 61마리로 늘었습니다. 지난해 하루 평균 멧돼지 포획 수 12마리의 5배가량 늘어난 수치입니다.

전국적인 포획 마릿수도 크게 늘었습니다. 정부가 멧돼지 포획 강화 조치를 시행한 지난 10월 중순 이후 현재까지 전국 하루 평균 590마리의 멧돼지가 포획되고 있습니다. 예년 평균 135마리의 4.3배에 달합니다. 예년의 경우 한해 4만여 마리의 멧돼지를 포획했는데, 올해는 이미 7만 3천여 마리를 포획했습니다.

환경부는 우리나라에 30만 마리의 멧돼지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며, 올해까지 전체 1/3인 10만 마리를 포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멧돼지의 번식을 고려해 정확한 개체 수 감소 효과는 추후 조사가 필요하지만, 포획 강화 조치 이전보다 개체 수 감소 효과는 확실히 클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적정 개체 수 연구·포획단 지원 대책 필요

한계도 있습니다. 우선 지역과 환경에 따라 우리나라에 얼마나 많은 멧돼지가 서식하는지, 그래서 서식환경에 따른 적정 개체 수가 어느 정도인지 기초 연구가 미흡합니다. 전문가들은 적정한 서식밀도나 최소 존속 개체군을 정해 그에 따른 체계적 포획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포획단에 대한 추가 지원 논의도 필요합니다. 일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포획단 엽사들은 최근 포상금 인상 조치에 대해 일단 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포상금이 오른 만큼 이들이 해야 할 일도 늘었습니다. 포획 강화 조치 이후 포획단은 잡은 멧돼지를 그 자리에 묻어야 합니다. 그러나 겨울철 땅이 얼면 사실상 매몰 처리가 어렵습니다. 지자체 차원에서 공동 매립장을 마련해주는 방안 등이 필요합니다.

멧돼지는 천적이 없어 우리나라 생태계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있습니다. 번식력마저 뛰어나 개체 수 급증은 골칫거리였습니다. 농작물에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도심에까지 출몰해 인명피해를 일으키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ASF 감염으로 인한 멧돼지 집중 포획을 계기로, 멧돼지 생태계에 관한 연구와 적절한 개체 수 조절 방향에 대한 논의가 시급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멧돼지 포상금 20만 원…올해 목표 10만 마리 가능할까?
    • 입력 2019-12-03 07:00:46
    취재K
지난달 27일 경기도 연천군 민통선 내에서 포획한 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됐습니다.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진된 건 전국에서 33번째입니다.

멧돼지가 잇따라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걸리면서 정부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멧돼지들이 번식력과 활동성을 무기로 바이러스를 전국으로 옮길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여파 '멧돼지 집중 포획'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이후인 지난 10월 13일 정부는 멧돼지 포획 강화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ASF 바이러스가 사그러들 때까지 멧돼지 포획단을 연중, 무기한 운영체제로 바꿨습니다. 포획단을 연중 운영하면서 개체 수를 줄이고 ASF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실시간 파악하려는 조치입니다. 그간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던 멧돼지 포획단은 대부분 수확 철 농산물 피해가 접수될 때만 출동했습니다.

최근 충청남도는 포획단 인원을 619명에서 1,206명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지리산과 덕유산 자락의 경남 거창군도 최근 포획단 엽사 인원을 33명에서 49명으로 늘렸습니다. 다른 지자체들도 포획단 엽사 인력을 대폭 충원하고 있습니다.

포획단 내부에서도 각자 담당하던 관할 구역을 없앴습니다. 기존엔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엽사가 각자 맡은 구역의 멧돼지만 포획하도록 규정돼 있었습니다. 이런 규정들이 완화되면서 멧돼지가 많이 서식하는 곳에 포획단이 집중 투입돼 효과적인 포획이 가능해졌습니다.

지자체가 포획단에 개별적으로 주던 마리당 5만 원 안팎의 포상금도 마리당 20만 원으로 올렸습니다.잡은 멧돼지를 못 가져가게 하고 매몰 처분하는 대신 포상금을 올렸습니다.

인원 확충과 운영 규제 완화, 포상금 인상 등의 방법으로 정부가 포획단을 활용한 전방위적 포획 강화에 나선 겁니다.

포획 마릿수 늘어…개체 수 조절 일단 '효과'

효과는 있어 보입니다. 경남에선 지난 9월까지 하루 평균 17마리가량의 멧돼지가 포획됐습니다. 그런데 정부의 포획 강화 조치 이후인 10월 들어 하루 평균 41마리의 멧돼지를 잡았습니다. 포상금을 올리겠다고 발표한 지난달엔 하루 평균 61마리로 늘었습니다. 지난해 하루 평균 멧돼지 포획 수 12마리의 5배가량 늘어난 수치입니다.

전국적인 포획 마릿수도 크게 늘었습니다. 정부가 멧돼지 포획 강화 조치를 시행한 지난 10월 중순 이후 현재까지 전국 하루 평균 590마리의 멧돼지가 포획되고 있습니다. 예년 평균 135마리의 4.3배에 달합니다. 예년의 경우 한해 4만여 마리의 멧돼지를 포획했는데, 올해는 이미 7만 3천여 마리를 포획했습니다.

환경부는 우리나라에 30만 마리의 멧돼지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며, 올해까지 전체 1/3인 10만 마리를 포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멧돼지의 번식을 고려해 정확한 개체 수 감소 효과는 추후 조사가 필요하지만, 포획 강화 조치 이전보다 개체 수 감소 효과는 확실히 클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적정 개체 수 연구·포획단 지원 대책 필요

한계도 있습니다. 우선 지역과 환경에 따라 우리나라에 얼마나 많은 멧돼지가 서식하는지, 그래서 서식환경에 따른 적정 개체 수가 어느 정도인지 기초 연구가 미흡합니다. 전문가들은 적정한 서식밀도나 최소 존속 개체군을 정해 그에 따른 체계적 포획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포획단에 대한 추가 지원 논의도 필요합니다. 일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포획단 엽사들은 최근 포상금 인상 조치에 대해 일단 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포상금이 오른 만큼 이들이 해야 할 일도 늘었습니다. 포획 강화 조치 이후 포획단은 잡은 멧돼지를 그 자리에 묻어야 합니다. 그러나 겨울철 땅이 얼면 사실상 매몰 처리가 어렵습니다. 지자체 차원에서 공동 매립장을 마련해주는 방안 등이 필요합니다.

멧돼지는 천적이 없어 우리나라 생태계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있습니다. 번식력마저 뛰어나 개체 수 급증은 골칫거리였습니다. 농작물에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도심에까지 출몰해 인명피해를 일으키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ASF 감염으로 인한 멧돼지 집중 포획을 계기로, 멧돼지 생태계에 관한 연구와 적절한 개체 수 조절 방향에 대한 논의가 시급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