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국립 현대미술관 신축공사장 화재 때 희생을 키운 것은 바로 우레탄이라는 물질이 타면서 나온 유독가스인데요.
이처럼 우레탄 유독가스는 화재현장에서 인명피해를 늘리는 핵심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대안은 없을까요?
심인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우레탄은 가격이 싸고 단열 성능이 뛰어나 단열재 등으로 널리 쓰입니다.
문제는 우레탄이 불에 취약하다는 것,
누전이나 용접을 가정해 작은 불꽃을 일으키자, 곧바로 우레탄 덩어리에 불이 붙습니다.
불꽃 하나가 튀었을 뿐인데도 우레탄 덩어리가 순식간에 타오르며 검은 연기를 내뿜습니다.
<인터뷰> 이용재(경민대 소방행정학과) : "우레탄이 탈 경우 포스겐 가스라고 나오는데, 아시다시피 이 포스겐 가스라는 건 나치들이 유태인을 학살하기 위해 썼던 그런 맹독성 가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때문에 우레탄 등 인화성 물질을 시공할 때는 통풍을 철저히 하고 먼지를 제거하는 등 안전 조치를 취하도록 법으로 규정돼 있습니다.
관리 감독은 사실상 어려운 실정입니다.
<녹취> 고용 노동부 관계자 : "제한된 인력으로 많은 현장을 관리감독 한다는 것이 지자체도 아마 하기 쉽지 않을거에요. 현실적으로는 거의 어렵죠."
불에 잘 타지 않는 방화 우레탄도 개발돼 있기는 합니다.
실험을 해보니 가스토치로 불을 붙여도 잘 타지 않고, 연기도 거의 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두 수입산인데다 비싼 가격때문에 사용을 꺼립니다.
<인터뷰> 안경민(건설자재상) : "일반 우레탄폼에 비해서 3배, 4배 이상 되니까 공사 단가를 맞출 수가 없죠.그러니까 일반 작은 공사에서는 쓸 수가 없어요."
대형 화재 때마다 인명 피해를 키우는 우레탄 유독가스, 우레탄을 쓰지않는공사현장이 없을 정도지만 사고 위험에 대한 대책은 여전히 제자리 걸음입니다.
KBS 뉴스 심인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