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행정중심 복합도시로 탄생한 세종시, 지난해 7월에 출범해 오늘로 꼭 1년이 지났습니다.
이제 어엿한 도시의 모습이 갖춰져 가고는 있지만 출범하기까지 곡절도 적지 않았습니다.
세종시는 2002년 대선 당시 행정수도를 만들겠다는 고노무현 전 대통령의 공약에서 출발했습니다.
하지만 취임 직후 반대에 부딪쳤습니다.
2004년에는 행정수도 특별법에 대해 위헌 결정이 나기도 했습니다.
이 결정 후 행정수도는 행정도시로 변경돼 진행됐습니다.
그런데 2009년 말 이명박 정부가 행정도시 계획을 축소하는 수정안을 추진했습니다.
이 수정안이 이듬해 국회에서 부결되자 비로소 세종시 건설이 본격화됐습니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내년 말까지 모든 정부 기관의 이전을 완료하고 오는 2030년까지 인구 50만명의 도시가 건설될 예정입니다.
그럼 행정도시의 면모를 갖춰가고 있는 지금 세종시의 모습을 박지은 기자가 보여드립니다.
<리포트>
정부 세종청사에는 이미 12개 중앙행정기관이 이전을 했고 올해와 내년까지 24개 기관이 추가로 이전을 마치면 명실공히 행정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인터뷰> 이충재(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 "따라서 내년부터는 명실상부한 중앙행정과 국책연구의 중심이 되는 도시로 거듭나게 될 것입니다."
기관이전에 맞춰 정주시설도 확충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4만 가구 가까운 아파트가 분양돼 이중 만가구가 입주했고 상가와 학교,병원도 잇따라 들어오고 있습니다.
그사이 인구도 크게 늘어 세종시 출범 당시 10만명이 조금 넘던 인구가 12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인터뷰> 방명선(세종시 한솔동) : "처음 이사왔을 때보다 사는 사람도 많아 졌고, 제반시설도 하나씩 들어오고 있죠."
세종시 건설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수정안 파동 등으로 한동안 주춤하긴 했지만 이후 건설에 속도를 붙여 순수 사업비 기준으로 15조 4천억 원 중 4조 6천억 원이 집행돼 공정률이 어느덧 30%에 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열렸던 국회의 모습입니다.
상임위 회의장 구석구석까지 공무원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맘때즘 세종시 청사 건물인데요.
일하는 사람은 거의 보이지 않고 텅 비어 있다시피 합니다.
서울을 오고가는 데 시간을 한나절씩 쏟아부어야 하는 세종시 공무원들의 현주소를 보여줍니다.
이처럼 정부 기관은 이전했지만 행정의 비효율성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세종시의 과제, 짚어봅니다.
<리포트>
공무원들 자리가 텅 비어 있습니다.
국회로 출장을 갔기 때문입니다.
서울 출장 횟수가 많다 보니 지난 반년간 출장비만 40억 원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녹취> 정부세종청사 공무원(음성변조) : "많이 움직이는 것 같아요. 그 인원을 줄일 필요도 있어요. 정부쪽에서 너무 다 갈 필요는 없지 않나..."
이 때문에 업무 효율 저하는 물론이고 대국민 행정서비스 질까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최진혁(충남대 교수) : "진정한 주민들을 위한 고도의 양질의 정책 품질을 만들어 내 나가는데는 아직도 상당히 거리가 있다..."
정주여건 개선도 과제입니다.
청사 주변에 변변한 식당조차 하나 없어 점심 때마다 식당에서 나온 차을 타고 10km이상 떨어진 조치원이나 대전으로 식사를 하러 나가는 웃지 못할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녹취> 정부세종청사 공무원(음성변조) : "편의점 같은 것도 간단한 물건 같은거 사려고 해도 저희는 2동이기 때문에 6동쪽으로 가야되거든요. 걸어가는 시간이 많이 걸리죠."
행복청에서 쇼핑시설과 대형병원 등 생활여건 개선을 추진하고 있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동호(행복청 도시계획국장) : "대형 할인점 2곳도 착공이 되면은 내년 중반기에는 문을 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럼 상당히 편의시설들이 좋아질 거고요."
세종시가 자족기능을 갖춘 도시가 되기까지는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조영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