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백신 지재권 면제’ 반발 확산…“기술 도둑질하는 것”

입력 2021.05.07 (06:06) 수정 2021.05.07 (08: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제사회의 코로나19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 논의는 속도를 내긴 하겠지만, 실제로 기술을 이전해 생산까지 가는데는 험로가 예상됩니다.

당장 제약업체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정부가 백신 지재권 면제를 공식 지지하고 나서자, 국제제약협회 연맹은 미국 정부의 결정이 실망스럽다며 즉각 반발했습니다.

연맹은 성명을 통해 '특허 포기는 틀린 해답'이라며 "제약회사들이 백신 특허를 포기한다고 해서 백신 생산량이 증가하거나 보건 위기가 실제로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오히려 기존 생산 유통망이 붕괴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국제제약협회 연맹은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등의 30여 개 제약회사와 50개 나라의 제약협회들로 구성돼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기술을 보유한 제약사들의 반대 움직임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백신 지재권을 푸는 목적은 백신난에 시달리고 있는 저소득 개발도상국에 공급하는 데 있는데, 이렇게 되기까지는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 거라 아예 자신들이 생산량을 늘려 직접 공급을 확대하는 게 낫다는 겁니다.

[오즐 렘 트레시/바이오엔테크 의료 최고책임자 : "백신 특허를 유지한다고 해서 생산량이 제한되지는 않습니다. 우리의 백신 제조 공정은 효능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모두 정확하게 실행돼야 하는 50,000 단계를 포함합니다."]

월스트리트 저널도 '바이든의 백신 특허 도둑질'이라는 사설을 통해 업계 입장에 힘을 실어줬습니다.

다른 나라가 기술을 훔치는 것을 돕는다면 아무도 미래의 치료제에 투자하지 않을 거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백신 개발 초기부터 나라에서 막대한 기술과 자금을 지원받은 제약회사들이 '백신연대'라는 대의를 위해 나서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찮습니다.

[얼 블루메나우어/미국 오레곤주 하원 의원 : "이것은 적대적이어서는 안됩니다. 아시다시피 우리는 백신 개발을 돕기 위해 엄청난 돈을 국가차원에서 투자했습니다. 우리는 제약회사들의 완전한 협력을 얻을 수 있어야합니다."]

세계무역기구, WTO의 160여 개 회원국이 백신 지재권 면제에 만장일치로 동의한다고 하더라도 바로 다른 나라에서 생산이 가능해지는 건 아닙니다.

코로나19 백신 기술을 보유한 회사들이 어느 단계 기술까지 풀지 등에 관한 또 다른 차원의 논의를 시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그래픽:한종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약업계 ‘백신 지재권 면제’ 반발 확산…“기술 도둑질하는 것”
    • 입력 2021-05-07 06:06:11
    • 수정2021-05-07 08:13:24
    뉴스광장 1부
[앵커]

국제사회의 코로나19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 논의는 속도를 내긴 하겠지만, 실제로 기술을 이전해 생산까지 가는데는 험로가 예상됩니다.

당장 제약업체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정부가 백신 지재권 면제를 공식 지지하고 나서자, 국제제약협회 연맹은 미국 정부의 결정이 실망스럽다며 즉각 반발했습니다.

연맹은 성명을 통해 '특허 포기는 틀린 해답'이라며 "제약회사들이 백신 특허를 포기한다고 해서 백신 생산량이 증가하거나 보건 위기가 실제로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오히려 기존 생산 유통망이 붕괴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국제제약협회 연맹은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등의 30여 개 제약회사와 50개 나라의 제약협회들로 구성돼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기술을 보유한 제약사들의 반대 움직임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백신 지재권을 푸는 목적은 백신난에 시달리고 있는 저소득 개발도상국에 공급하는 데 있는데, 이렇게 되기까지는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 거라 아예 자신들이 생산량을 늘려 직접 공급을 확대하는 게 낫다는 겁니다.

[오즐 렘 트레시/바이오엔테크 의료 최고책임자 : "백신 특허를 유지한다고 해서 생산량이 제한되지는 않습니다. 우리의 백신 제조 공정은 효능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모두 정확하게 실행돼야 하는 50,000 단계를 포함합니다."]

월스트리트 저널도 '바이든의 백신 특허 도둑질'이라는 사설을 통해 업계 입장에 힘을 실어줬습니다.

다른 나라가 기술을 훔치는 것을 돕는다면 아무도 미래의 치료제에 투자하지 않을 거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백신 개발 초기부터 나라에서 막대한 기술과 자금을 지원받은 제약회사들이 '백신연대'라는 대의를 위해 나서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찮습니다.

[얼 블루메나우어/미국 오레곤주 하원 의원 : "이것은 적대적이어서는 안됩니다. 아시다시피 우리는 백신 개발을 돕기 위해 엄청난 돈을 국가차원에서 투자했습니다. 우리는 제약회사들의 완전한 협력을 얻을 수 있어야합니다."]

세계무역기구, WTO의 160여 개 회원국이 백신 지재권 면제에 만장일치로 동의한다고 하더라도 바로 다른 나라에서 생산이 가능해지는 건 아닙니다.

코로나19 백신 기술을 보유한 회사들이 어느 단계 기술까지 풀지 등에 관한 또 다른 차원의 논의를 시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그래픽:한종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