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후] 5월 광주…‘사과’ 그리고 ‘용서’

입력 2022.05.22 (09:00) 수정 2022.05.22 (09: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980년 5월. 광주에 투입된 계엄군은 2만여 명. 이들은 광주 시민들에게 씻지 못할 상처를 줬다. 동시에 자신들도 오랜 세월 회한을 안은 채 살아왔다.
이들은 현재 60대로 대부분 숨진 신군부들과 달리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을 증언할, 생생한 목격자기도 하다. 광주에 사죄의 뜻을 전하고 싶은 사람도 여럿. 이들의 사과는 '치유'의 단초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입을 연 계엄군은 1% 정도, 200여 명에 불과하다는 게 5·18 진상규명위의 설명이다.
변명보다는 사과, 사과보다는 진상규명... 취재진이 계엄군 목소리를 들은 이유다.

1980년 5월 21일. 최정희 씨의 남편은 소를 판 돈을 받아오겠다며 전남 담양 집에서 광주로 떠났다.

그리고 일주일도 안 돼 남편은 싸늘한 주검이 돼 집 앞마당에 놓였다. 광주에서 일을 마치고 돌아오다 광주교도소 근처에서 난데없는 계엄군의 총격을 받은 것이다.

"밥이 식을 때까지 오지 않은 당신을 교도소에서 시신으로 만났지요. 이 억울한 마음을 세상천지에 누가 또 알까요. 젊어선 3남매 키우느라 너무 팍팍해서 당신이 원망스러웠는데, 이젠 서른여섯 나이에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당신이 너무 보고 싶어요."
- 남편에게 띄운 최정희 씨 편지 (5·18 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식 中 2020년 5월 18일)

한(恨)으로 보낸 42년. 취재진은 광주 시민에 사과한 계엄군의 영상을 최 씨에게 전했다.

남편이 세상을 떠난 5·18 민주화운동.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준 이들 중 사과를 한 건 이들이 처음이다. 최 씨는 주저하지 않고, '용서'라는 말을 꺼냈다.


'용서'를 말한 이들은 최 씨 말고도 더 있다.

1980년 5월 20일 밤, 광주 금남로. 거리는 어두웠고, 흩뿌려진 최루가스가 자욱했다.

그 사이로 시민군 배 씨가 버스를 몰았다. 전남도청을 향하던 버스, 저지선을 구축하던 경찰들을 덮쳤다. 이 사고로 함평경찰서 소속 경찰 4명이 숨졌다.

배 씨는 그해 사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1982년 12월 특별사면 조치로 석방됐고, 1998년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법적 책임은 피했지만, 배 씨의 죄책감은 덜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지난 19일, 배 씨는 힘겹게 유가족 앞에 섰다. "죄스럽다"는 배 씨의 말에 유가족은 화해의 손을 내밀었고, 서로를 부둥켜 안았다.

배OO 씨/ 당시 버스 운전사
"뭐라고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고 그냥 얼굴을 들 수 없습니다."

정원영 / 고 정충길 경사 아들
"선생님이 이제 아픔 속에서 다시 일어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한번 안아주십시오."


'5월의 광주' ... 그 자리에는 수많은 시민과 계엄군, 경찰 등이 있었다. 살아남은 이들, 그 가족은 아픔을 안은 채 각자의 삶을 살아왔다.

그리고 42년...이제서야 '사과'와 '용서'라는 말이 오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정작 진정 사과해야 할, 용서받기엔 너무 큰 죄를 저지른 책임자들은 입을 닫고 있다. 전두환은 사과 없이 눈을 감았다.

남아 있는 신군부의 사죄. 그리고 진상규명. 어렵사리 '사과'와 '용서'를 말하는 이들의 한결같은 바람이다.

"분명한 건 배 씨의 사과가 전부여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오늘을 시작으로 사과해야 할 당사자들의 사과가 시작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오늘 배 씨를 만났다. 우리도 그를 만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그도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그 용기에 말없이 응할 뿐이다."

'용서'를 결심한 5·18 순직 경찰관 유족의 말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후] 5월 광주…‘사과’ 그리고 ‘용서’
    • 입력 2022-05-22 09:00:07
    • 수정2022-05-22 09:00:13
    취재후·사건후

1980년 5월. 광주에 투입된 계엄군은 2만여 명. 이들은 광주 시민들에게 씻지 못할 상처를 줬다. 동시에 자신들도 오랜 세월 회한을 안은 채 살아왔다.
이들은 현재 60대로 대부분 숨진 신군부들과 달리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을 증언할, 생생한 목격자기도 하다. 광주에 사죄의 뜻을 전하고 싶은 사람도 여럿. 이들의 사과는 '치유'의 단초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입을 연 계엄군은 1% 정도, 200여 명에 불과하다는 게 5·18 진상규명위의 설명이다.
변명보다는 사과, 사과보다는 진상규명... 취재진이 계엄군 목소리를 들은 이유다.

1980년 5월 21일. 최정희 씨의 남편은 소를 판 돈을 받아오겠다며 전남 담양 집에서 광주로 떠났다.

그리고 일주일도 안 돼 남편은 싸늘한 주검이 돼 집 앞마당에 놓였다. 광주에서 일을 마치고 돌아오다 광주교도소 근처에서 난데없는 계엄군의 총격을 받은 것이다.

"밥이 식을 때까지 오지 않은 당신을 교도소에서 시신으로 만났지요. 이 억울한 마음을 세상천지에 누가 또 알까요. 젊어선 3남매 키우느라 너무 팍팍해서 당신이 원망스러웠는데, 이젠 서른여섯 나이에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당신이 너무 보고 싶어요."
- 남편에게 띄운 최정희 씨 편지 (5·18 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식 中 2020년 5월 18일)

한(恨)으로 보낸 42년. 취재진은 광주 시민에 사과한 계엄군의 영상을 최 씨에게 전했다.

남편이 세상을 떠난 5·18 민주화운동.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준 이들 중 사과를 한 건 이들이 처음이다. 최 씨는 주저하지 않고, '용서'라는 말을 꺼냈다.


'용서'를 말한 이들은 최 씨 말고도 더 있다.

1980년 5월 20일 밤, 광주 금남로. 거리는 어두웠고, 흩뿌려진 최루가스가 자욱했다.

그 사이로 시민군 배 씨가 버스를 몰았다. 전남도청을 향하던 버스, 저지선을 구축하던 경찰들을 덮쳤다. 이 사고로 함평경찰서 소속 경찰 4명이 숨졌다.

배 씨는 그해 사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1982년 12월 특별사면 조치로 석방됐고, 1998년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법적 책임은 피했지만, 배 씨의 죄책감은 덜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지난 19일, 배 씨는 힘겹게 유가족 앞에 섰다. "죄스럽다"는 배 씨의 말에 유가족은 화해의 손을 내밀었고, 서로를 부둥켜 안았다.

배OO 씨/ 당시 버스 운전사
"뭐라고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고 그냥 얼굴을 들 수 없습니다."

정원영 / 고 정충길 경사 아들
"선생님이 이제 아픔 속에서 다시 일어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한번 안아주십시오."


'5월의 광주' ... 그 자리에는 수많은 시민과 계엄군, 경찰 등이 있었다. 살아남은 이들, 그 가족은 아픔을 안은 채 각자의 삶을 살아왔다.

그리고 42년...이제서야 '사과'와 '용서'라는 말이 오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정작 진정 사과해야 할, 용서받기엔 너무 큰 죄를 저지른 책임자들은 입을 닫고 있다. 전두환은 사과 없이 눈을 감았다.

남아 있는 신군부의 사죄. 그리고 진상규명. 어렵사리 '사과'와 '용서'를 말하는 이들의 한결같은 바람이다.

"분명한 건 배 씨의 사과가 전부여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오늘을 시작으로 사과해야 할 당사자들의 사과가 시작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오늘 배 씨를 만났다. 우리도 그를 만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그도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그 용기에 말없이 응할 뿐이다."

'용서'를 결심한 5·18 순직 경찰관 유족의 말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