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곳 이상 금융기관 대출 다중채무자 450만 명 ‘역대 최다’
입력 2024.02.12 (10:12)
수정 2024.02.12 (10: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 규모가 역대 가장 많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2023년 2분기)보다 2만 명 늘어난 규모로 역대 가장 많은 수준입니다.
전체 가계대출자(1,983만 명) 가운데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7.2%로, 사상 최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DSR, 즉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58.4%로, 소득의 약 60%를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상황입니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26.2%(118만 명)는 DSR이 70%를 넘었고, 14.2%(64만 명)는 100%를 웃돌았습니다.
다만 다중채무자의 전체 대출 잔액(568조 1,000억 원)과 1인당 평균 대출액(1억 2,625만 원)은 2분기보다 각각 4조 3,000억 원, 160만 원 줄었습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5%로 추산됐습니다.
이는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취약차주’는 지난해 3분기 말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6.5%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6.4%)보다 0.1%p 늘어난 것으로 2020년 3분기(6.5%) 이후 최대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2023년 2분기)보다 2만 명 늘어난 규모로 역대 가장 많은 수준입니다.
전체 가계대출자(1,983만 명) 가운데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7.2%로, 사상 최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DSR, 즉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58.4%로, 소득의 약 60%를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상황입니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26.2%(118만 명)는 DSR이 70%를 넘었고, 14.2%(64만 명)는 100%를 웃돌았습니다.
다만 다중채무자의 전체 대출 잔액(568조 1,000억 원)과 1인당 평균 대출액(1억 2,625만 원)은 2분기보다 각각 4조 3,000억 원, 160만 원 줄었습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5%로 추산됐습니다.
이는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취약차주’는 지난해 3분기 말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6.5%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6.4%)보다 0.1%p 늘어난 것으로 2020년 3분기(6.5%) 이후 최대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곳 이상 금융기관 대출 다중채무자 450만 명 ‘역대 최다’
-
- 입력 2024-02-12 10:12:37
- 수정2024-02-12 10:16:29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 규모가 역대 가장 많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2023년 2분기)보다 2만 명 늘어난 규모로 역대 가장 많은 수준입니다.
전체 가계대출자(1,983만 명) 가운데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7.2%로, 사상 최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DSR, 즉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58.4%로, 소득의 약 60%를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상황입니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26.2%(118만 명)는 DSR이 70%를 넘었고, 14.2%(64만 명)는 100%를 웃돌았습니다.
다만 다중채무자의 전체 대출 잔액(568조 1,000억 원)과 1인당 평균 대출액(1억 2,625만 원)은 2분기보다 각각 4조 3,000억 원, 160만 원 줄었습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5%로 추산됐습니다.
이는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취약차주’는 지난해 3분기 말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6.5%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6.4%)보다 0.1%p 늘어난 것으로 2020년 3분기(6.5%) 이후 최대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2023년 2분기)보다 2만 명 늘어난 규모로 역대 가장 많은 수준입니다.
전체 가계대출자(1,983만 명) 가운데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7.2%로, 사상 최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DSR, 즉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58.4%로, 소득의 약 60%를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상황입니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26.2%(118만 명)는 DSR이 70%를 넘었고, 14.2%(64만 명)는 100%를 웃돌았습니다.
다만 다중채무자의 전체 대출 잔액(568조 1,000억 원)과 1인당 평균 대출액(1억 2,625만 원)은 2분기보다 각각 4조 3,000억 원, 160만 원 줄었습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5%로 추산됐습니다.
이는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취약차주’는 지난해 3분기 말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6.5%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6.4%)보다 0.1%p 늘어난 것으로 2020년 3분기(6.5%) 이후 최대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