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문화] 노래로 긴장감 UP…‘맥베스’ 뮤지컬로 재탄생
입력 2023.12.09 (21:36)
수정 2023.12.09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주말앤문홥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맥베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뮤지컬로 재탄생했습니다.
긴 서사를 다양한 음악과 춤으로 녹여내며 극적 긴장감을 높였는데요.
이정은 기자가 화려한 뮤지컬 무대로 안내해드립니다.
[리포트]
적에게 밀린 전장, 스코틀랜드 장군 맥베스는 최후까지 각오합니다.
[" (퇴로는 있는가?) 없습니다. (흐리고도 맑은 날이다. 오늘이 나 죽는 날인가.)"]
극적으로 이기고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변방의 영주로 쫓겨납니다.
["이번 전쟁에 이겨서 돌아오면 당신이 후계자가 될 거라고 믿었어. 우리만 그렇게 생각했어? 다들 그렇게 될 거라고 믿었어."]
실의에 빠진 그에게 아내는 왕을 죽이고 권력을 빼앗자고 부추기면서 극은 정점을 향해갑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뮤지컬로 탄생한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갈등의 중심에 있는 아내는 원작의 '레이디 맥베스' 대신 '맥버니'라는 새 이름을 붙였고, 직접 칼을 들고 싸우는 능동적인 여성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이봐 거기 가여운 사람, 그리 당하고도 그걸 몰라. 비참하게 넌 버려진 거야."]
극 곳곳에 배치된 불규칙한 단조 음악.
["시퍼런 피 제발 지워져라."]
관객들을 불안한 주인공의 심리로 이끌어냅니다.
[박천휘/뮤지컬 '맥베스' 작곡가 : "5박자, 7박자 약간 불규칙적인 박자들을 썼는데 그런 박자를 쓰게 되면 한 박자가 모자라기 때문에 급하게 돌아오는 느낌이 들어요. 그래서 굉장히 긴장감을 만들어주는…."]
자칫 지루할 수 있는 고전의 긴 서사는 발라드, 팝, 왈츠까지 '다양한 음악'으로 극의 속도감을 높였습니다.
[김덕희/뮤지컬 '맥베스' 예술감독 : "(뮤지컬은) 백 마디의 대사를 하나의 노래로 압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여러 사건이 압축돼서 진행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려고 했던 시도였습니다."]
뮤지컬로 다시 태어난 맥베스는 오는 30일까지 이어집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최연송/영상편집:전유진
주말앤문홥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맥베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뮤지컬로 재탄생했습니다.
긴 서사를 다양한 음악과 춤으로 녹여내며 극적 긴장감을 높였는데요.
이정은 기자가 화려한 뮤지컬 무대로 안내해드립니다.
[리포트]
적에게 밀린 전장, 스코틀랜드 장군 맥베스는 최후까지 각오합니다.
[" (퇴로는 있는가?) 없습니다. (흐리고도 맑은 날이다. 오늘이 나 죽는 날인가.)"]
극적으로 이기고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변방의 영주로 쫓겨납니다.
["이번 전쟁에 이겨서 돌아오면 당신이 후계자가 될 거라고 믿었어. 우리만 그렇게 생각했어? 다들 그렇게 될 거라고 믿었어."]
실의에 빠진 그에게 아내는 왕을 죽이고 권력을 빼앗자고 부추기면서 극은 정점을 향해갑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뮤지컬로 탄생한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갈등의 중심에 있는 아내는 원작의 '레이디 맥베스' 대신 '맥버니'라는 새 이름을 붙였고, 직접 칼을 들고 싸우는 능동적인 여성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이봐 거기 가여운 사람, 그리 당하고도 그걸 몰라. 비참하게 넌 버려진 거야."]
극 곳곳에 배치된 불규칙한 단조 음악.
["시퍼런 피 제발 지워져라."]
관객들을 불안한 주인공의 심리로 이끌어냅니다.
[박천휘/뮤지컬 '맥베스' 작곡가 : "5박자, 7박자 약간 불규칙적인 박자들을 썼는데 그런 박자를 쓰게 되면 한 박자가 모자라기 때문에 급하게 돌아오는 느낌이 들어요. 그래서 굉장히 긴장감을 만들어주는…."]
자칫 지루할 수 있는 고전의 긴 서사는 발라드, 팝, 왈츠까지 '다양한 음악'으로 극의 속도감을 높였습니다.
[김덕희/뮤지컬 '맥베스' 예술감독 : "(뮤지컬은) 백 마디의 대사를 하나의 노래로 압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여러 사건이 압축돼서 진행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려고 했던 시도였습니다."]
뮤지컬로 다시 태어난 맥베스는 오는 30일까지 이어집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최연송/영상편집:전유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말&문화] 노래로 긴장감 UP…‘맥베스’ 뮤지컬로 재탄생
-
- 입력 2023-12-09 21:36:53
- 수정2023-12-09 21:58:10

[앵커]
주말앤문홥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맥베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뮤지컬로 재탄생했습니다.
긴 서사를 다양한 음악과 춤으로 녹여내며 극적 긴장감을 높였는데요.
이정은 기자가 화려한 뮤지컬 무대로 안내해드립니다.
[리포트]
적에게 밀린 전장, 스코틀랜드 장군 맥베스는 최후까지 각오합니다.
[" (퇴로는 있는가?) 없습니다. (흐리고도 맑은 날이다. 오늘이 나 죽는 날인가.)"]
극적으로 이기고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변방의 영주로 쫓겨납니다.
["이번 전쟁에 이겨서 돌아오면 당신이 후계자가 될 거라고 믿었어. 우리만 그렇게 생각했어? 다들 그렇게 될 거라고 믿었어."]
실의에 빠진 그에게 아내는 왕을 죽이고 권력을 빼앗자고 부추기면서 극은 정점을 향해갑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뮤지컬로 탄생한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갈등의 중심에 있는 아내는 원작의 '레이디 맥베스' 대신 '맥버니'라는 새 이름을 붙였고, 직접 칼을 들고 싸우는 능동적인 여성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이봐 거기 가여운 사람, 그리 당하고도 그걸 몰라. 비참하게 넌 버려진 거야."]
극 곳곳에 배치된 불규칙한 단조 음악.
["시퍼런 피 제발 지워져라."]
관객들을 불안한 주인공의 심리로 이끌어냅니다.
[박천휘/뮤지컬 '맥베스' 작곡가 : "5박자, 7박자 약간 불규칙적인 박자들을 썼는데 그런 박자를 쓰게 되면 한 박자가 모자라기 때문에 급하게 돌아오는 느낌이 들어요. 그래서 굉장히 긴장감을 만들어주는…."]
자칫 지루할 수 있는 고전의 긴 서사는 발라드, 팝, 왈츠까지 '다양한 음악'으로 극의 속도감을 높였습니다.
[김덕희/뮤지컬 '맥베스' 예술감독 : "(뮤지컬은) 백 마디의 대사를 하나의 노래로 압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여러 사건이 압축돼서 진행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려고 했던 시도였습니다."]
뮤지컬로 다시 태어난 맥베스는 오는 30일까지 이어집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최연송/영상편집:전유진
주말앤문홥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맥베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뮤지컬로 재탄생했습니다.
긴 서사를 다양한 음악과 춤으로 녹여내며 극적 긴장감을 높였는데요.
이정은 기자가 화려한 뮤지컬 무대로 안내해드립니다.
[리포트]
적에게 밀린 전장, 스코틀랜드 장군 맥베스는 최후까지 각오합니다.
[" (퇴로는 있는가?) 없습니다. (흐리고도 맑은 날이다. 오늘이 나 죽는 날인가.)"]
극적으로 이기고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변방의 영주로 쫓겨납니다.
["이번 전쟁에 이겨서 돌아오면 당신이 후계자가 될 거라고 믿었어. 우리만 그렇게 생각했어? 다들 그렇게 될 거라고 믿었어."]
실의에 빠진 그에게 아내는 왕을 죽이고 권력을 빼앗자고 부추기면서 극은 정점을 향해갑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뮤지컬로 탄생한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갈등의 중심에 있는 아내는 원작의 '레이디 맥베스' 대신 '맥버니'라는 새 이름을 붙였고, 직접 칼을 들고 싸우는 능동적인 여성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이봐 거기 가여운 사람, 그리 당하고도 그걸 몰라. 비참하게 넌 버려진 거야."]
극 곳곳에 배치된 불규칙한 단조 음악.
["시퍼런 피 제발 지워져라."]
관객들을 불안한 주인공의 심리로 이끌어냅니다.
[박천휘/뮤지컬 '맥베스' 작곡가 : "5박자, 7박자 약간 불규칙적인 박자들을 썼는데 그런 박자를 쓰게 되면 한 박자가 모자라기 때문에 급하게 돌아오는 느낌이 들어요. 그래서 굉장히 긴장감을 만들어주는…."]
자칫 지루할 수 있는 고전의 긴 서사는 발라드, 팝, 왈츠까지 '다양한 음악'으로 극의 속도감을 높였습니다.
[김덕희/뮤지컬 '맥베스' 예술감독 : "(뮤지컬은) 백 마디의 대사를 하나의 노래로 압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여러 사건이 압축돼서 진행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려고 했던 시도였습니다."]
뮤지컬로 다시 태어난 맥베스는 오는 30일까지 이어집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최연송/영상편집:전유진
-
-
이정은 기자 2790@kbs.co.kr
이정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