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이처럼 정부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발벗고 나섰는데...
주요 원인이 늦게 결혼하는 '만혼 현상' 에 있다고 보고 이를 완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기로 했습니다.
이런 만혼 현상이 왜 확산 되는지 결혼 적령기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홍혜림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취업 준비에 청춘을 묻은 30대 대졸 여성입니다.
3년째 사귄 남자 친구도 직장을 못구해 결혼은 엄두를 못냅니다.
<녹취> 취업준비생 : "방한칸이라도 월세라도 있어야지 결혼을 할텐데 취업준비생인 사람들한테 결혼은 사치인것 같아요."
인턴 생활 끝에 정규직이 된 30대 남성입니다.
결혼을 한다해도 아이낳을 생각이 없습니다.
<녹취> 홍석호(직장인) : "자녀를 낳는다고 해도 요즘 교육비가 너무 많이 드니까 만약에 그러면 안 낳을 생각도 있고요."
이처럼 결혼을 망설이며 미루는 이삼십대 청년층이 증가해 20년 전 24.9세였던 여성 평균 초혼 연령은 29.6세로 5살 이상 높아졌습니다.
서른 까지 결혼한 여성은 평균 자녀가 두 명이지만 서른 다섯 이후 결혼 여성의 자녀는 0.8명에 불과했습니다.
이에따라 정부는 만혼 추세를 완화하고 맞벌이 가구 출산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안을 9월까지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신혼부부 맞춤형 주거지원 등 피부에 와닿는 정책에 초점이 맞춰집니다.
<녹취> 조영태(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 "지난 10년동안 (저출산정책에) 150조를 썼다고 하는데 포장만 저출산고령이라고 했지 정부가 여기에 위기의식을 느끼고 한 정책은 없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실효성 있는 저출산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저성장 늪에 빠진 일본처럼 우리도 성장기반이 흔들릴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