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대통령실은 협상 관련 상황 등을 일부 공개할 필요가 있다는 일각의 지적에 “투명성, 알권리라는 요소보다 지금은 협상을 잘 마무리해야 하는 국익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오늘(29일) 브리핑 과정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협상 카드에 대한 과도한 호기심이나 알권리 문제가 되려 국민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자세한 말씀을 못 드리는 점에 대한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밝혔습니다.
강 대변인은 “신문 1면을 차지한 다양한 협상에 대한 대상들의 투명성을 말씀하시지만 협상 과정 자체가 드러날수록 오히려 국익에 도움이 되냐, 안 되냐 차원으로 접근해야 하지 않냐”며 “어쨌든 국익을 내세워서 실용주의 원칙 안에서 협상 과정을 잘 완수해 나가고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공개회의가 없는 점 등을 들어 전략적 침묵이나 카드라는 해석이 나오는 데 대해서는 “실무 단위에서 계속 치밀하게 준비된 협상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며 “(대통령께서) 최종 보고를 받으시긴 하지만 저희가 협상으로 만나는 분들도 상무장관이나 이런 분들이지 않냐, 트럼프 대통령이 계속 회의를 주재하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실무진에서 제대로 된 협상을 하고 있고 그런 부분을 보고받고 최종적으로 다 인지하고 계신다”며 “(직접) 회의 주재는 좀 다른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