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 양국에서 일부 다른 말이 나온다고 말씀드렸습니다만, 특히 쌀 시장을 놓고 양국 설명이 계속 엇갈리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에 이어 대변인도 한국이 쌀 시장을 개방한다고 발표하자, 우리 대통령실은 추가 개방은 없고 미국이 오해하는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이희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관세 협상 타결 직후 한국의 농산물 시장 개방을 시사했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번에는 백악관이 나섰습니다.
구체적으로 쌀을 특정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한국은 자동차를 포함해 15%의 관세율을 부담할 것이며, 자동차와 쌀 같은 미국산 상품에 대해 역사적인 시장 접근권을 제공할 것입니다."]
어제(31일) 트럼프 대통령의 글을 정치적 수사로 평가했던 대통령실은, 농산물 추가 개방은 없다고 다시 한 번 선을 그었습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농축산물 시장의 99.7%가 개방되어 있는 상황이고요. 나머지 0.3%에 대해서 더 개방하거나 이런 게 없다는 우리 측 의견이 맞습니다."]
그러면서, 농산물 검역 등 일부 협상 사안에 대해, 미국 측의 오해가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검역 절차 개선은 미국이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문제"라며, "과일과 채소류 수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쌀과는 무관하다"고 했습니다.
양국의 엇갈린 입장은 정치권에서도 논란이 됐습니다.
[곽규택/국회 법제사법위원/국민의힘 : "뭐가 더 개방된 것처럼 그런 지금 이야기가 있어서 과연 세부적인 내용이 무엇이냐…."]
[박은정/국회 법제사법위원/조국혁신당 : "쌀과 쇠고기 말고 다른 품목을 모두 개방하는 것인지…."]
[송미령/농림축산식품부 장관 : "정치적인 표현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협상을 마치고 오늘(1일) 저녁 귀국한 구윤철 경제부총리도 한미 협상 과정에서 쌀 추가 개방을 논의한 사실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촬영기자:이영재/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김경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