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공조, 대북 설득 기대
입력 2006.10.13 (22:12)
수정 2006.10.13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제재와 대화를 함께 중시한 한중 두 나라 정상의 합의가 앞으로 북한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초미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대북설득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정환 기자가 분석해봤습니다.
<리포트>
유엔 안보리가 대북 제재 결의안을 사실상 타결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제재는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거기다 한국과 중국 정상도 안보리의 대응 조치를 지지한다고 밝힌 상황입니다.
이제는 유엔 결의안에 따른 각국의 구체적인 제재, 특히 한국과 중국이 제재에 어느 수준까지 동참하느냐가 관심의 촛점입니다.
우리 정부는 유엔의 제재 결의안이 군사적 제재를 배제했고 선박 항공기 검색 조건도 엄격해 졌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다음주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다음주 한.중.일 세 나라를 연쇄 방문할 예정이어서 조율 결과가 주목됩니다.
상대적으로 강경한 미.일과 대화 노력에도 방점을 둔 한.중간에 조율이 어떻게 되는지는 북한도 주의깊게 살피려 할 것입니다.
북한은 이미 외무성 담화와 김영남 상임위원장의 발언을 통해, 대화 의지도 내비쳤습니다.
또 한·중 정상회담의 합의에다, 탕자쉬안 특사의 방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이 대북 설득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큽니다.
<인터뷰>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성공할 경우 북한의 6자회담 복귀가 가능하지 않을까.."
대북 제재를 한 축으로 하면서도 외교 복원을 또 다른 축으로 돌파구 마련에 나선 한국과 중국이, 북한과 미국을 협상장으로 다시 끌어들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정환입니다.
제재와 대화를 함께 중시한 한중 두 나라 정상의 합의가 앞으로 북한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초미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대북설득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정환 기자가 분석해봤습니다.
<리포트>
유엔 안보리가 대북 제재 결의안을 사실상 타결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제재는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거기다 한국과 중국 정상도 안보리의 대응 조치를 지지한다고 밝힌 상황입니다.
이제는 유엔 결의안에 따른 각국의 구체적인 제재, 특히 한국과 중국이 제재에 어느 수준까지 동참하느냐가 관심의 촛점입니다.
우리 정부는 유엔의 제재 결의안이 군사적 제재를 배제했고 선박 항공기 검색 조건도 엄격해 졌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다음주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다음주 한.중.일 세 나라를 연쇄 방문할 예정이어서 조율 결과가 주목됩니다.
상대적으로 강경한 미.일과 대화 노력에도 방점을 둔 한.중간에 조율이 어떻게 되는지는 북한도 주의깊게 살피려 할 것입니다.
북한은 이미 외무성 담화와 김영남 상임위원장의 발언을 통해, 대화 의지도 내비쳤습니다.
또 한·중 정상회담의 합의에다, 탕자쉬안 특사의 방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이 대북 설득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큽니다.
<인터뷰>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성공할 경우 북한의 6자회담 복귀가 가능하지 않을까.."
대북 제재를 한 축으로 하면서도 외교 복원을 또 다른 축으로 돌파구 마련에 나선 한국과 중국이, 북한과 미국을 협상장으로 다시 끌어들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정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중 공조, 대북 설득 기대
-
- 입력 2006-10-13 21:00:56
- 수정2006-10-13 22:17:21
<앵커 멘트>
제재와 대화를 함께 중시한 한중 두 나라 정상의 합의가 앞으로 북한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초미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대북설득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정환 기자가 분석해봤습니다.
<리포트>
유엔 안보리가 대북 제재 결의안을 사실상 타결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제재는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거기다 한국과 중국 정상도 안보리의 대응 조치를 지지한다고 밝힌 상황입니다.
이제는 유엔 결의안에 따른 각국의 구체적인 제재, 특히 한국과 중국이 제재에 어느 수준까지 동참하느냐가 관심의 촛점입니다.
우리 정부는 유엔의 제재 결의안이 군사적 제재를 배제했고 선박 항공기 검색 조건도 엄격해 졌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다음주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다음주 한.중.일 세 나라를 연쇄 방문할 예정이어서 조율 결과가 주목됩니다.
상대적으로 강경한 미.일과 대화 노력에도 방점을 둔 한.중간에 조율이 어떻게 되는지는 북한도 주의깊게 살피려 할 것입니다.
북한은 이미 외무성 담화와 김영남 상임위원장의 발언을 통해, 대화 의지도 내비쳤습니다.
또 한·중 정상회담의 합의에다, 탕자쉬안 특사의 방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이 대북 설득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큽니다.
<인터뷰>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성공할 경우 북한의 6자회담 복귀가 가능하지 않을까.."
대북 제재를 한 축으로 하면서도 외교 복원을 또 다른 축으로 돌파구 마련에 나선 한국과 중국이, 북한과 미국을 협상장으로 다시 끌어들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정환입니다.
-
-
김정환 기자 kim7@kbs.co.kr
김정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핵 6자회담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