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갈 길 먼 ‘빈곤’ 퇴치
입력 2006.10.17 (22:10)
수정 2006.10.17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은 유엔이 정한 세계 빈곤 퇴치의 날입니다. 우리사회의 빈곤율은 정부의 각종 복지정책에도 불구하고, 높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윤진 기자가 심층취재 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형병원에서 간병 일을 하는 박복열 씨.
하루 24시간을 쉬지 않고 일해야 5만원을 받습니다.
한 달 수입은 80만원 가량, 두 남매와 함께 생계를 꾸려나가기엔 빠듯한 액숩니다.
<인터뷰>박복열(서울 창동): "안하면 안되죠. 안하면 도둑질해야 하는 데, 도둑질 안되고. 빚으로 하면 안 되죠. 그래서 진통제 먹으면서 일 하는 거죠."
자활을 꿈꾸는 노숙인들이 쪽방촌이나 값싼 고시원에 살며 건설 일용직 노동 등을 해 보지만, 한달 수입은 70여만원 안팎.
집세와 생활비를 빼면 남는 게 없어, 저축은 꿈도 못 꿉니다.
이같은 빈곤 인구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셉니다.
지난 96년 3% 대였던 절대빈곤율은 2000년 8%, 2003년엔 10.4%로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
특히 문제는 열심히 일을 하는데도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른바 '일하는 빈곤층'이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인터뷰>유의선(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 "지금의 빈곤은 일을 해도 집에 환자가 있 건 없건 점점 더 가난해 지는 상황이라, 삶의 질이 개선될 수 있는 상황이 보이지 않는다는 거죠."
빈곤층이 늘어나는 배경에는 먼저 안정적인 일자리 부족문제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미곤(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연구본부장): "빈곤이 늘어나는 첫번째 이유는 시장에서 찾을 수가 있는데, 일을 하고 싶어도 일을 못 구하는 부분, 일자리를 잡아도 비정규 직인 경우, 빈곤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빈곤층을 도울 수 있는 사회적 안전장치가 없는 것도 문젭니다.
최저 생계비 미만을 버는 빈곤가구 가운데 정부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가구는 모두 135만 가구로, 보조금을 받는 가구보다 약 두 배나 많습니다.
빈곤을 개인적 무능력문제로 보는 차원을 넘어 이젠 사회구조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오늘은 유엔이 정한 세계 빈곤 퇴치의 날입니다. 우리사회의 빈곤율은 정부의 각종 복지정책에도 불구하고, 높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윤진 기자가 심층취재 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형병원에서 간병 일을 하는 박복열 씨.
하루 24시간을 쉬지 않고 일해야 5만원을 받습니다.
한 달 수입은 80만원 가량, 두 남매와 함께 생계를 꾸려나가기엔 빠듯한 액숩니다.
<인터뷰>박복열(서울 창동): "안하면 안되죠. 안하면 도둑질해야 하는 데, 도둑질 안되고. 빚으로 하면 안 되죠. 그래서 진통제 먹으면서 일 하는 거죠."
자활을 꿈꾸는 노숙인들이 쪽방촌이나 값싼 고시원에 살며 건설 일용직 노동 등을 해 보지만, 한달 수입은 70여만원 안팎.
집세와 생활비를 빼면 남는 게 없어, 저축은 꿈도 못 꿉니다.
이같은 빈곤 인구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셉니다.
지난 96년 3% 대였던 절대빈곤율은 2000년 8%, 2003년엔 10.4%로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
특히 문제는 열심히 일을 하는데도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른바 '일하는 빈곤층'이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인터뷰>유의선(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 "지금의 빈곤은 일을 해도 집에 환자가 있 건 없건 점점 더 가난해 지는 상황이라, 삶의 질이 개선될 수 있는 상황이 보이지 않는다는 거죠."
빈곤층이 늘어나는 배경에는 먼저 안정적인 일자리 부족문제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미곤(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연구본부장): "빈곤이 늘어나는 첫번째 이유는 시장에서 찾을 수가 있는데, 일을 하고 싶어도 일을 못 구하는 부분, 일자리를 잡아도 비정규 직인 경우, 빈곤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빈곤층을 도울 수 있는 사회적 안전장치가 없는 것도 문젭니다.
최저 생계비 미만을 버는 빈곤가구 가운데 정부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가구는 모두 135만 가구로, 보조금을 받는 가구보다 약 두 배나 많습니다.
빈곤을 개인적 무능력문제로 보는 차원을 넘어 이젠 사회구조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갈 길 먼 ‘빈곤’ 퇴치
-
- 입력 2006-10-17 21:26:32
- 수정2006-10-17 22:11:06
<앵커 멘트>
오늘은 유엔이 정한 세계 빈곤 퇴치의 날입니다. 우리사회의 빈곤율은 정부의 각종 복지정책에도 불구하고, 높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윤진 기자가 심층취재 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형병원에서 간병 일을 하는 박복열 씨.
하루 24시간을 쉬지 않고 일해야 5만원을 받습니다.
한 달 수입은 80만원 가량, 두 남매와 함께 생계를 꾸려나가기엔 빠듯한 액숩니다.
<인터뷰>박복열(서울 창동): "안하면 안되죠. 안하면 도둑질해야 하는 데, 도둑질 안되고. 빚으로 하면 안 되죠. 그래서 진통제 먹으면서 일 하는 거죠."
자활을 꿈꾸는 노숙인들이 쪽방촌이나 값싼 고시원에 살며 건설 일용직 노동 등을 해 보지만, 한달 수입은 70여만원 안팎.
집세와 생활비를 빼면 남는 게 없어, 저축은 꿈도 못 꿉니다.
이같은 빈곤 인구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셉니다.
지난 96년 3% 대였던 절대빈곤율은 2000년 8%, 2003년엔 10.4%로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
특히 문제는 열심히 일을 하는데도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른바 '일하는 빈곤층'이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인터뷰>유의선(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 "지금의 빈곤은 일을 해도 집에 환자가 있 건 없건 점점 더 가난해 지는 상황이라, 삶의 질이 개선될 수 있는 상황이 보이지 않는다는 거죠."
빈곤층이 늘어나는 배경에는 먼저 안정적인 일자리 부족문제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미곤(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연구본부장): "빈곤이 늘어나는 첫번째 이유는 시장에서 찾을 수가 있는데, 일을 하고 싶어도 일을 못 구하는 부분, 일자리를 잡아도 비정규 직인 경우, 빈곤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빈곤층을 도울 수 있는 사회적 안전장치가 없는 것도 문젭니다.
최저 생계비 미만을 버는 빈곤가구 가운데 정부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가구는 모두 135만 가구로, 보조금을 받는 가구보다 약 두 배나 많습니다.
빈곤을 개인적 무능력문제로 보는 차원을 넘어 이젠 사회구조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
-
윤진 기자 jin@kbs.co.kr
윤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