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계탕용 한약재에서 이산화황 검출
입력 2007.10.18 (12:57)
수정 2007.10.18 (13: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가정용으로 판매되는 삼계탕용 한약재 일부에서 폐렴과 천식을 유발할 수 있는 이산화황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됐습니다.
조현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화점과 대형 마트, 재래시장에서 가정용으로 판매되는 삼계탕용 한약재 31개 제품을 한국소비자원이 검사한 결과 10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이산화황이 검출됐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 제품은 이산화황 허용 기준치인 30ppm을 최대 14배나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백제로 쓰이는 이산화황은 한약재를 연탄불에 말리거나 벌레가 먹는 것을 막기 위해 유황을 태워 쬘 경우 한약재에 남아있게 되는 유해물질입니다.
소비자원은 이산화황이 검출된 10개 제품 모두 국내산과 중국산 한약재가 섞여있는 제품이라며 국내산 또는 중국산만으로 된 제품에서는 이산화황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소비자원은 또 삼계탕용 한약재 제품 가운데 일부는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는 표시사항을 제대로 적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원 조사 결과 31개 제품 가운데 15개가 식품의 유형을 표시하지 않았고, 3개 제품은 포장일만 표시해 유통기한을 알 수 없었습니다.
소비자원은 삼계탕용 한약재에 대한 유해물질 검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품질을 규격화하는 등 안전관리가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조현진입니다.
가정용으로 판매되는 삼계탕용 한약재 일부에서 폐렴과 천식을 유발할 수 있는 이산화황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됐습니다.
조현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화점과 대형 마트, 재래시장에서 가정용으로 판매되는 삼계탕용 한약재 31개 제품을 한국소비자원이 검사한 결과 10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이산화황이 검출됐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 제품은 이산화황 허용 기준치인 30ppm을 최대 14배나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백제로 쓰이는 이산화황은 한약재를 연탄불에 말리거나 벌레가 먹는 것을 막기 위해 유황을 태워 쬘 경우 한약재에 남아있게 되는 유해물질입니다.
소비자원은 이산화황이 검출된 10개 제품 모두 국내산과 중국산 한약재가 섞여있는 제품이라며 국내산 또는 중국산만으로 된 제품에서는 이산화황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소비자원은 또 삼계탕용 한약재 제품 가운데 일부는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는 표시사항을 제대로 적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원 조사 결과 31개 제품 가운데 15개가 식품의 유형을 표시하지 않았고, 3개 제품은 포장일만 표시해 유통기한을 알 수 없었습니다.
소비자원은 삼계탕용 한약재에 대한 유해물질 검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품질을 규격화하는 등 안전관리가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조현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삼계탕용 한약재에서 이산화황 검출
-
- 입력 2007-10-18 12:00:41
- 수정2007-10-18 13:11:15

<앵커 멘트>
가정용으로 판매되는 삼계탕용 한약재 일부에서 폐렴과 천식을 유발할 수 있는 이산화황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됐습니다.
조현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화점과 대형 마트, 재래시장에서 가정용으로 판매되는 삼계탕용 한약재 31개 제품을 한국소비자원이 검사한 결과 10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이산화황이 검출됐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 제품은 이산화황 허용 기준치인 30ppm을 최대 14배나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백제로 쓰이는 이산화황은 한약재를 연탄불에 말리거나 벌레가 먹는 것을 막기 위해 유황을 태워 쬘 경우 한약재에 남아있게 되는 유해물질입니다.
소비자원은 이산화황이 검출된 10개 제품 모두 국내산과 중국산 한약재가 섞여있는 제품이라며 국내산 또는 중국산만으로 된 제품에서는 이산화황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소비자원은 또 삼계탕용 한약재 제품 가운데 일부는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는 표시사항을 제대로 적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원 조사 결과 31개 제품 가운데 15개가 식품의 유형을 표시하지 않았고, 3개 제품은 포장일만 표시해 유통기한을 알 수 없었습니다.
소비자원은 삼계탕용 한약재에 대한 유해물질 검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품질을 규격화하는 등 안전관리가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조현진입니다.
-
-
조현진 기자 jhj@kbs.co.kr
조현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