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대기업 미술관, ‘투명성’이 생명
입력 2007.12.04 (22:16)
수정 2007.12.04 (22: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삼성 비자금 의혹 사건을 계기로 재벌의 미술품 거래가 이제는 투명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재벌이 미술발전에 큰 기여를 한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비자금 관련 의혹은 반드시 털어내야 할 것입니다.
김성모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번 주 경매를 앞둔 작품들, 국내외 수작들이 많이 포함됐지만 회사 측은 경매 결과를 선뜻 자신하지 못합니다.
지난주 열린 다른 회사의 경매에선 낙찰률이 70%로 지난 7월보다 20% 떨어졌습니다.
<인터뷰> 김윤섭(한국미술경영연구소 소장): "경매 시장이 위축된 것은 삼성 비자금 사건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삼성이 미술계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합니다.
지난해 삼성이 미술관 운영에 들인 돈은 349억 원, 국립현대미술관의 올해 예산 275억 원보다 많습니다.
삼성 등 대기업이 미술관을 세우는 이유는 문화 예술 진흥을 통한 기업 이익의 사회 환원입니다.
<녹취> 이건희(삼성문화재단 이사장/개관 당시): "한국미술과 세계 미술이 어우러진 열린 공간으로 만들겠습니다."
현재 대기업이 설립한 미술관은 9군데, 대기업의 총수 가족이 경영의 전반을 맡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이 과정에서 총수의 부인들은 미묘한 경쟁을 벌이기도 합니다.
<인터뷰> 김준기(부산시립미술관 큐레이터): "이쪽에서 산다니까 다른 쪽에서 먼저 그 작품을 사기도 한다."
개인 소장을 위해서도 작품을 사들이며 시장의 큰손으로 행세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미술 시장이 작품 가격과 구매자의 신분을 감출 수 있어 검은 거래가 가능하다는데 있습니다.
비자금으로 구매한 개인 소장품을 미술관 소장품으로 둔갑시켜 비자금을 세탁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80억 원짜리 작품 '행복한 눈물'을 몰래 구입한 뒤 미술관 작품으로 등록할 경우 이를 외부에서 들춰낼 방법이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술관의 감사와 이사가 제 역할을 못해 내부 적발도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녹취> 삼성문화재단 감사 비서: "삼성문화재단 운영과 관련해서 감사로서 하실 말씀 없으시냐니까, 아는 게 별로 없어서 인터뷰할 내용 없는 것 같다(고 하셨어요.)"
실제로 신정아 씨가 연루됐던 성곡 미술관은 관장이었던 박문순 씨가 미술품 거래의 리베이트를 챙겼고 비자금 일부를 차명 계좌로 관리해 왔습니다.
<녹취> 박문순(성곡미술관 관장): "나중에 다 밝히겠습니다. (목걸이는 왜 주신 겁니까?)"
미국 미술관을 대표하는 뉴욕 현대 미술관.
록펠러 부인의 막대한 기부로 세워졌지만 록펠러 일가는 경영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외부 전문가가 경영을 책임지고 미술관 운영 사항을 모두 공개합니다.
<인터뷰> 장동광(큐레이터협회 부회장): "외국 선진미술관들은 매년 애뉴얼리포트를 발간함으로써 투명성을 일반대중들에게 공개를 하게 됩니다."
우리 대기업의 미술관도 이런 투명성을 갖추지 못한다면 언제든 의혹에 시달릴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김성모입니다.
삼성 비자금 의혹 사건을 계기로 재벌의 미술품 거래가 이제는 투명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재벌이 미술발전에 큰 기여를 한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비자금 관련 의혹은 반드시 털어내야 할 것입니다.
김성모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번 주 경매를 앞둔 작품들, 국내외 수작들이 많이 포함됐지만 회사 측은 경매 결과를 선뜻 자신하지 못합니다.
지난주 열린 다른 회사의 경매에선 낙찰률이 70%로 지난 7월보다 20% 떨어졌습니다.
<인터뷰> 김윤섭(한국미술경영연구소 소장): "경매 시장이 위축된 것은 삼성 비자금 사건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삼성이 미술계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합니다.
지난해 삼성이 미술관 운영에 들인 돈은 349억 원, 국립현대미술관의 올해 예산 275억 원보다 많습니다.
삼성 등 대기업이 미술관을 세우는 이유는 문화 예술 진흥을 통한 기업 이익의 사회 환원입니다.
<녹취> 이건희(삼성문화재단 이사장/개관 당시): "한국미술과 세계 미술이 어우러진 열린 공간으로 만들겠습니다."
현재 대기업이 설립한 미술관은 9군데, 대기업의 총수 가족이 경영의 전반을 맡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이 과정에서 총수의 부인들은 미묘한 경쟁을 벌이기도 합니다.
<인터뷰> 김준기(부산시립미술관 큐레이터): "이쪽에서 산다니까 다른 쪽에서 먼저 그 작품을 사기도 한다."
개인 소장을 위해서도 작품을 사들이며 시장의 큰손으로 행세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미술 시장이 작품 가격과 구매자의 신분을 감출 수 있어 검은 거래가 가능하다는데 있습니다.
비자금으로 구매한 개인 소장품을 미술관 소장품으로 둔갑시켜 비자금을 세탁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80억 원짜리 작품 '행복한 눈물'을 몰래 구입한 뒤 미술관 작품으로 등록할 경우 이를 외부에서 들춰낼 방법이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술관의 감사와 이사가 제 역할을 못해 내부 적발도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녹취> 삼성문화재단 감사 비서: "삼성문화재단 운영과 관련해서 감사로서 하실 말씀 없으시냐니까, 아는 게 별로 없어서 인터뷰할 내용 없는 것 같다(고 하셨어요.)"
실제로 신정아 씨가 연루됐던 성곡 미술관은 관장이었던 박문순 씨가 미술품 거래의 리베이트를 챙겼고 비자금 일부를 차명 계좌로 관리해 왔습니다.
<녹취> 박문순(성곡미술관 관장): "나중에 다 밝히겠습니다. (목걸이는 왜 주신 겁니까?)"
미국 미술관을 대표하는 뉴욕 현대 미술관.
록펠러 부인의 막대한 기부로 세워졌지만 록펠러 일가는 경영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외부 전문가가 경영을 책임지고 미술관 운영 사항을 모두 공개합니다.
<인터뷰> 장동광(큐레이터협회 부회장): "외국 선진미술관들은 매년 애뉴얼리포트를 발간함으로써 투명성을 일반대중들에게 공개를 하게 됩니다."
우리 대기업의 미술관도 이런 투명성을 갖추지 못한다면 언제든 의혹에 시달릴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김성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대기업 미술관, ‘투명성’이 생명
-
- 입력 2007-12-04 21:12:18
- 수정2007-12-04 22:29:24
<앵커 멘트>
삼성 비자금 의혹 사건을 계기로 재벌의 미술품 거래가 이제는 투명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재벌이 미술발전에 큰 기여를 한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비자금 관련 의혹은 반드시 털어내야 할 것입니다.
김성모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번 주 경매를 앞둔 작품들, 국내외 수작들이 많이 포함됐지만 회사 측은 경매 결과를 선뜻 자신하지 못합니다.
지난주 열린 다른 회사의 경매에선 낙찰률이 70%로 지난 7월보다 20% 떨어졌습니다.
<인터뷰> 김윤섭(한국미술경영연구소 소장): "경매 시장이 위축된 것은 삼성 비자금 사건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삼성이 미술계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합니다.
지난해 삼성이 미술관 운영에 들인 돈은 349억 원, 국립현대미술관의 올해 예산 275억 원보다 많습니다.
삼성 등 대기업이 미술관을 세우는 이유는 문화 예술 진흥을 통한 기업 이익의 사회 환원입니다.
<녹취> 이건희(삼성문화재단 이사장/개관 당시): "한국미술과 세계 미술이 어우러진 열린 공간으로 만들겠습니다."
현재 대기업이 설립한 미술관은 9군데, 대기업의 총수 가족이 경영의 전반을 맡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이 과정에서 총수의 부인들은 미묘한 경쟁을 벌이기도 합니다.
<인터뷰> 김준기(부산시립미술관 큐레이터): "이쪽에서 산다니까 다른 쪽에서 먼저 그 작품을 사기도 한다."
개인 소장을 위해서도 작품을 사들이며 시장의 큰손으로 행세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미술 시장이 작품 가격과 구매자의 신분을 감출 수 있어 검은 거래가 가능하다는데 있습니다.
비자금으로 구매한 개인 소장품을 미술관 소장품으로 둔갑시켜 비자금을 세탁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80억 원짜리 작품 '행복한 눈물'을 몰래 구입한 뒤 미술관 작품으로 등록할 경우 이를 외부에서 들춰낼 방법이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술관의 감사와 이사가 제 역할을 못해 내부 적발도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녹취> 삼성문화재단 감사 비서: "삼성문화재단 운영과 관련해서 감사로서 하실 말씀 없으시냐니까, 아는 게 별로 없어서 인터뷰할 내용 없는 것 같다(고 하셨어요.)"
실제로 신정아 씨가 연루됐던 성곡 미술관은 관장이었던 박문순 씨가 미술품 거래의 리베이트를 챙겼고 비자금 일부를 차명 계좌로 관리해 왔습니다.
<녹취> 박문순(성곡미술관 관장): "나중에 다 밝히겠습니다. (목걸이는 왜 주신 겁니까?)"
미국 미술관을 대표하는 뉴욕 현대 미술관.
록펠러 부인의 막대한 기부로 세워졌지만 록펠러 일가는 경영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외부 전문가가 경영을 책임지고 미술관 운영 사항을 모두 공개합니다.
<인터뷰> 장동광(큐레이터협회 부회장): "외국 선진미술관들은 매년 애뉴얼리포트를 발간함으로써 투명성을 일반대중들에게 공개를 하게 됩니다."
우리 대기업의 미술관도 이런 투명성을 갖추지 못한다면 언제든 의혹에 시달릴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김성모입니다.
-
-
김성모 기자 ksm@kbs.co.kr
김성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삼성 비자금’ 조성 의혹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