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농림부, 허술한 방역 대책이 원인
입력 2008.05.12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도시 한복판으로 AI가 퍼질 때까지 서울시는 닭과 오리 사육 실태 조차 모르고 있었습니다.
계속해서 드러나고 있는 AI 방역 허점을 최형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AI가 발생한 서울 송파구 장지.문정지구는 보상금을 노린 무허가 조류 사육이 이뤄진 곳입니다.
사육되던 닭,오리는 모두 8천여 마리, 서울시 전체 사육조류의 40%가 넘습니다.
<녹취>장지동 주민 : "저 까만 비닐하우스들 있잖아요. 거기 전부 닭 키웠어요. 한 2천 두? 2천 두 넘었어요."
그런데도 서울시는 최근까지 이런 대규모 사육단지가 있다는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광진구에서 AI가 발생한 후에야 처음으로 실태 조사에 나섰습니다.
<인터뷰>김윤규(서울시 생활경제과장) : "저희가 파악을 하지 못해서 대처를 하지 못했습니다."
발생초기부터 허둥댄 서울시 방역.
광진구에서 꿩 두 마리가 폐사한 닷새 뒤에야 AI검사를 의뢰했고, 뒤늦은 송파구 사육농가 조사에서 AI검사의뢰까지도 또 이틀이 걸렸습니다.
자치구와 서울시와의 협조체계도 제때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인터뷰>허영(송파구 부구청장) : "4월 17일에 조사를 했는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 서울시에 보고는 하지 않았습니다."
방역을 총괄하는 농림부에서도 대형 사육농가를 중심으로 한 방역 관리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때문에 재래시장이나 소규모 농가에 대한 감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재홍(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 "늦은 감은 있지만 이제라도 재래시장에서의 유통 고리에 대해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합니다."
허술한 방역체계 속에서 AI는 농촌지역에 머물던 예년과 달리 서울과 부산,대구 등 대도시에 모두 침투했습니다.
확산기간도 종전 석달에서 올해는 한달 반만에 전국이 AI 공포에 빠져들었습니다.
KBS 뉴스 최형원입니다.
대도시 한복판으로 AI가 퍼질 때까지 서울시는 닭과 오리 사육 실태 조차 모르고 있었습니다.
계속해서 드러나고 있는 AI 방역 허점을 최형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AI가 발생한 서울 송파구 장지.문정지구는 보상금을 노린 무허가 조류 사육이 이뤄진 곳입니다.
사육되던 닭,오리는 모두 8천여 마리, 서울시 전체 사육조류의 40%가 넘습니다.
<녹취>장지동 주민 : "저 까만 비닐하우스들 있잖아요. 거기 전부 닭 키웠어요. 한 2천 두? 2천 두 넘었어요."
그런데도 서울시는 최근까지 이런 대규모 사육단지가 있다는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광진구에서 AI가 발생한 후에야 처음으로 실태 조사에 나섰습니다.
<인터뷰>김윤규(서울시 생활경제과장) : "저희가 파악을 하지 못해서 대처를 하지 못했습니다."
발생초기부터 허둥댄 서울시 방역.
광진구에서 꿩 두 마리가 폐사한 닷새 뒤에야 AI검사를 의뢰했고, 뒤늦은 송파구 사육농가 조사에서 AI검사의뢰까지도 또 이틀이 걸렸습니다.
자치구와 서울시와의 협조체계도 제때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인터뷰>허영(송파구 부구청장) : "4월 17일에 조사를 했는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 서울시에 보고는 하지 않았습니다."
방역을 총괄하는 농림부에서도 대형 사육농가를 중심으로 한 방역 관리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때문에 재래시장이나 소규모 농가에 대한 감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재홍(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 "늦은 감은 있지만 이제라도 재래시장에서의 유통 고리에 대해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합니다."
허술한 방역체계 속에서 AI는 농촌지역에 머물던 예년과 달리 서울과 부산,대구 등 대도시에 모두 침투했습니다.
확산기간도 종전 석달에서 올해는 한달 반만에 전국이 AI 공포에 빠져들었습니다.
KBS 뉴스 최형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농림부, 허술한 방역 대책이 원인
-
- 입력 2008-05-12 20:51:53
<앵커 멘트>
대도시 한복판으로 AI가 퍼질 때까지 서울시는 닭과 오리 사육 실태 조차 모르고 있었습니다.
계속해서 드러나고 있는 AI 방역 허점을 최형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AI가 발생한 서울 송파구 장지.문정지구는 보상금을 노린 무허가 조류 사육이 이뤄진 곳입니다.
사육되던 닭,오리는 모두 8천여 마리, 서울시 전체 사육조류의 40%가 넘습니다.
<녹취>장지동 주민 : "저 까만 비닐하우스들 있잖아요. 거기 전부 닭 키웠어요. 한 2천 두? 2천 두 넘었어요."
그런데도 서울시는 최근까지 이런 대규모 사육단지가 있다는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광진구에서 AI가 발생한 후에야 처음으로 실태 조사에 나섰습니다.
<인터뷰>김윤규(서울시 생활경제과장) : "저희가 파악을 하지 못해서 대처를 하지 못했습니다."
발생초기부터 허둥댄 서울시 방역.
광진구에서 꿩 두 마리가 폐사한 닷새 뒤에야 AI검사를 의뢰했고, 뒤늦은 송파구 사육농가 조사에서 AI검사의뢰까지도 또 이틀이 걸렸습니다.
자치구와 서울시와의 협조체계도 제때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인터뷰>허영(송파구 부구청장) : "4월 17일에 조사를 했는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 서울시에 보고는 하지 않았습니다."
방역을 총괄하는 농림부에서도 대형 사육농가를 중심으로 한 방역 관리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때문에 재래시장이나 소규모 농가에 대한 감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재홍(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 "늦은 감은 있지만 이제라도 재래시장에서의 유통 고리에 대해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합니다."
허술한 방역체계 속에서 AI는 농촌지역에 머물던 예년과 달리 서울과 부산,대구 등 대도시에 모두 침투했습니다.
확산기간도 종전 석달에서 올해는 한달 반만에 전국이 AI 공포에 빠져들었습니다.
KBS 뉴스 최형원입니다.
-
-
최형원 기자 roediec@kbs.co.kr
최형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및 대응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