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 후손들, 고국의 말·문화 맥 잇는다
입력 2008.12.22 (21:47)
수정 2008.12.22 (2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에겐 너무나 익숙한 한국어.
그만큼 소중함을 잊기도 쉬운데요.
71년 강제 이주 역사 속에도 '고국의 말' 지키는 중앙 아시아 고려인들이 있습니다.
양민효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카자흐스탄의 유일한 우리말 극단인 국립 고려 극장!
위구르족 출신의 알렉쉐르 씨는 우리 문화에 반해, 고려극장 최초의 외국인 배우가 됐습니다.
<인터뷰> "심청 아버지를 좋아해요. 내 마음에 아버지 마음이 있거든요.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 고려 극장에서는 일주일에 두 번 공연이 열립니다.
200석 규모의 이 작은 극장이 현지에 잊혀져가는 한국 문화를 지키는 버팀목이 되고 있는 셈입니다.
외국인 배우까지 수혈하며 한국말로 공연을 꾸려가고 있지만, 고려 극장의 고민은 큽니다.
<인터뷰>감독 : "그 전에 한국말을 배우들이 잘 알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니 지금 젊은 사람들은 고려말도 모르고요."
강제 이주의 역사와 함께 해온 고려일보에서는 단 한 명의 기자가 한국어 면을 만들고 있습니다.
올해로 예순일곱, 이제는 후배를 키워야 할 때지만 선뜻 나서는 이가 없습니다.
<인터뷰>남경자 : "첫 면에 고려일보라고 한국말로 나오지 않습니까? 그러면 그 속에 한국어로 된 판이 있어야하는데..."
어려움 속에 한국어를 지키는 이들.
고려인 사회 속 꺼져가는 우리 문화의 불씨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우리에겐 너무나 익숙한 한국어.
그만큼 소중함을 잊기도 쉬운데요.
71년 강제 이주 역사 속에도 '고국의 말' 지키는 중앙 아시아 고려인들이 있습니다.
양민효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카자흐스탄의 유일한 우리말 극단인 국립 고려 극장!
위구르족 출신의 알렉쉐르 씨는 우리 문화에 반해, 고려극장 최초의 외국인 배우가 됐습니다.
<인터뷰> "심청 아버지를 좋아해요. 내 마음에 아버지 마음이 있거든요.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 고려 극장에서는 일주일에 두 번 공연이 열립니다.
200석 규모의 이 작은 극장이 현지에 잊혀져가는 한국 문화를 지키는 버팀목이 되고 있는 셈입니다.
외국인 배우까지 수혈하며 한국말로 공연을 꾸려가고 있지만, 고려 극장의 고민은 큽니다.
<인터뷰>감독 : "그 전에 한국말을 배우들이 잘 알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니 지금 젊은 사람들은 고려말도 모르고요."
강제 이주의 역사와 함께 해온 고려일보에서는 단 한 명의 기자가 한국어 면을 만들고 있습니다.
올해로 예순일곱, 이제는 후배를 키워야 할 때지만 선뜻 나서는 이가 없습니다.
<인터뷰>남경자 : "첫 면에 고려일보라고 한국말로 나오지 않습니까? 그러면 그 속에 한국어로 된 판이 있어야하는데..."
어려움 속에 한국어를 지키는 이들.
고려인 사회 속 꺼져가는 우리 문화의 불씨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려인 후손들, 고국의 말·문화 맥 잇는다
-
- 입력 2008-12-22 21:21:59
- 수정2008-12-22 21:48:16
<앵커 멘트>
우리에겐 너무나 익숙한 한국어.
그만큼 소중함을 잊기도 쉬운데요.
71년 강제 이주 역사 속에도 '고국의 말' 지키는 중앙 아시아 고려인들이 있습니다.
양민효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카자흐스탄의 유일한 우리말 극단인 국립 고려 극장!
위구르족 출신의 알렉쉐르 씨는 우리 문화에 반해, 고려극장 최초의 외국인 배우가 됐습니다.
<인터뷰> "심청 아버지를 좋아해요. 내 마음에 아버지 마음이 있거든요.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 고려 극장에서는 일주일에 두 번 공연이 열립니다.
200석 규모의 이 작은 극장이 현지에 잊혀져가는 한국 문화를 지키는 버팀목이 되고 있는 셈입니다.
외국인 배우까지 수혈하며 한국말로 공연을 꾸려가고 있지만, 고려 극장의 고민은 큽니다.
<인터뷰>감독 : "그 전에 한국말을 배우들이 잘 알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니 지금 젊은 사람들은 고려말도 모르고요."
강제 이주의 역사와 함께 해온 고려일보에서는 단 한 명의 기자가 한국어 면을 만들고 있습니다.
올해로 예순일곱, 이제는 후배를 키워야 할 때지만 선뜻 나서는 이가 없습니다.
<인터뷰>남경자 : "첫 면에 고려일보라고 한국말로 나오지 않습니까? 그러면 그 속에 한국어로 된 판이 있어야하는데..."
어려움 속에 한국어를 지키는 이들.
고려인 사회 속 꺼져가는 우리 문화의 불씨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