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대학생 60%, 창업 희망”…성공 방법은?
입력 2013.01.18 (21:16)
수정 2013.01.18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애플의 스티브잡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 페이스북의 마크 주커버그 이들의 공동점은 모두 20대 초반에 창업해 세계적인 기업을 일궈냈다는건데요.
극심한 취업난 속에 우리나라에서도 청년ceo를 꿈꾸는 젊은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심사장 밖 대기자들, 뭔가 제품 하나씩을 든 젊은이들이 줄지어 앉아 있습니다.
<녹취> "이것만 간편하게 파우치에만 담고 다녀도 충분히 열 손가락을 지울 수 있도록 제작했습니다."
창업 자금 1억 원이 걸린 창업 아이디어 평가장입니다.
경쟁률 10대 1, 입이 바짝 마릅니다.
<녹취> "이 제품의 상품성은…아, 제가 지금 현기증 이 좀 나서요. 다음에 다시 하세요."
지난해 이 심사를 통과해 창업한 29살 동갑내기 사장들, 여성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전동 드라이버로 일본 시장을 공략해 50억 원 계약을 성사시켰습니다.
<인터뷰> 이상민(29살/창업자) : "일본 주택 자체가 목조 주택이 많이 있어 요. 한국은 시멘트 뚫기가 어렵지만 일본에 서는 그냥 벽에 사용할 수 있는 거 잖아요"
대학에도 창업지원단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사업성을 판단해 최고 7천만 원까지 대학에서 지원해 줍니다.
실제로 대학생 10명 중 6명은 창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자본과 경험이 부족한 이들이 선뜻 창업 문을 열기란 쉬운 일은 아닙니다.
힘들고 어려운 창업을 왜 하느냐는 가족들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합니다.
<인터뷰> 장혜진,박신비(24살) : "만약 빚이 생기든 잘못되는 간섭을 안 하신다고…"
직장을 찾아 취업하는 대신 창업 전선에 뛰어든 젊은 CEO들, 그들의 쉽지 않은 도전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앵커 멘트>
이렇게 뜨거운 창업열기가 실제 창업으로도 이어졌을까요.
지난해 20대 창업자수는 4년전에 비해 오히려 20%이상 줄었습니다.
왜 이런 정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건지 이재환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고무처럼 휘는 특성을 가진 조립식 완구입니다.
세계적인 완구 업체를 꿈꾸는 윤이식 씨는 창업 4년 만에 이 시제품 개발을 마쳤습니다.
<인터뷰> 윤이식(완구업체 창업자) : "우리 제품은 26개의 부품으로 수 백가지, 많게는 수천 가지 제품을 만들 수 있다고"
요즘 본격적인 제품 생산을 위해 은행을 돌아다니고 있지만 시설 투자자금을 구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초기 기업이라 매출도 없는 상황이면 신용도 어떻게 보면 제로기 때문에 (은행에서) 담보를 요구하더라고요!"
윤씨처럼 창업한 지 3,4년이 되면 제품 개발이나 시제품 제작 단계가 되는데, 이 시기를 이른바 '죽음의 계곡'이라고 부릅니다.
정부 지원이나 민간 투자자금 등 돈의 흐름이 뚝 끊겨 창업자의 70%가 이 시기에 폐업을 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돈만이 아닙니다.
디자인을 전공한 김봉진 씨도 죽음의 계곡을 넘지 못하고 한번 실패를 경험했습니다.
<인터뷰> 김봉진 : "제가 좋아하는 디자인을 마구 하고싶었어요. 세상에 사람들이 원하는 디자인을 했던 게 아니고 제 맘대로 했기 때문에 실패를 했다고 생각이 들고요."
<녹취> "배달왔습니다."
소비자가 원하는 게 뭘까를 고민하던 김씨는 스마트폰 앱으로 소비자와 전국의 음식점을 연결해주는 배달서비스 상품을 개발했습니다.
시장을 읽는 창업자의 눈과 좋은 제품에 투자하는 사회 분위기가 죽음의 계곡을 건너는, 창업 성공의 조건입니다.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애플의 스티브잡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 페이스북의 마크 주커버그 이들의 공동점은 모두 20대 초반에 창업해 세계적인 기업을 일궈냈다는건데요.
극심한 취업난 속에 우리나라에서도 청년ceo를 꿈꾸는 젊은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심사장 밖 대기자들, 뭔가 제품 하나씩을 든 젊은이들이 줄지어 앉아 있습니다.
<녹취> "이것만 간편하게 파우치에만 담고 다녀도 충분히 열 손가락을 지울 수 있도록 제작했습니다."
창업 자금 1억 원이 걸린 창업 아이디어 평가장입니다.
경쟁률 10대 1, 입이 바짝 마릅니다.
<녹취> "이 제품의 상품성은…아, 제가 지금 현기증 이 좀 나서요. 다음에 다시 하세요."
지난해 이 심사를 통과해 창업한 29살 동갑내기 사장들, 여성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전동 드라이버로 일본 시장을 공략해 50억 원 계약을 성사시켰습니다.
<인터뷰> 이상민(29살/창업자) : "일본 주택 자체가 목조 주택이 많이 있어 요. 한국은 시멘트 뚫기가 어렵지만 일본에 서는 그냥 벽에 사용할 수 있는 거 잖아요"
대학에도 창업지원단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사업성을 판단해 최고 7천만 원까지 대학에서 지원해 줍니다.
실제로 대학생 10명 중 6명은 창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자본과 경험이 부족한 이들이 선뜻 창업 문을 열기란 쉬운 일은 아닙니다.
힘들고 어려운 창업을 왜 하느냐는 가족들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합니다.
<인터뷰> 장혜진,박신비(24살) : "만약 빚이 생기든 잘못되는 간섭을 안 하신다고…"
직장을 찾아 취업하는 대신 창업 전선에 뛰어든 젊은 CEO들, 그들의 쉽지 않은 도전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앵커 멘트>
이렇게 뜨거운 창업열기가 실제 창업으로도 이어졌을까요.
지난해 20대 창업자수는 4년전에 비해 오히려 20%이상 줄었습니다.
왜 이런 정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건지 이재환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고무처럼 휘는 특성을 가진 조립식 완구입니다.
세계적인 완구 업체를 꿈꾸는 윤이식 씨는 창업 4년 만에 이 시제품 개발을 마쳤습니다.
<인터뷰> 윤이식(완구업체 창업자) : "우리 제품은 26개의 부품으로 수 백가지, 많게는 수천 가지 제품을 만들 수 있다고"
요즘 본격적인 제품 생산을 위해 은행을 돌아다니고 있지만 시설 투자자금을 구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초기 기업이라 매출도 없는 상황이면 신용도 어떻게 보면 제로기 때문에 (은행에서) 담보를 요구하더라고요!"
윤씨처럼 창업한 지 3,4년이 되면 제품 개발이나 시제품 제작 단계가 되는데, 이 시기를 이른바 '죽음의 계곡'이라고 부릅니다.
정부 지원이나 민간 투자자금 등 돈의 흐름이 뚝 끊겨 창업자의 70%가 이 시기에 폐업을 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돈만이 아닙니다.
디자인을 전공한 김봉진 씨도 죽음의 계곡을 넘지 못하고 한번 실패를 경험했습니다.
<인터뷰> 김봉진 : "제가 좋아하는 디자인을 마구 하고싶었어요. 세상에 사람들이 원하는 디자인을 했던 게 아니고 제 맘대로 했기 때문에 실패를 했다고 생각이 들고요."
<녹취> "배달왔습니다."
소비자가 원하는 게 뭘까를 고민하던 김씨는 스마트폰 앱으로 소비자와 전국의 음식점을 연결해주는 배달서비스 상품을 개발했습니다.
시장을 읽는 창업자의 눈과 좋은 제품에 투자하는 사회 분위기가 죽음의 계곡을 건너는, 창업 성공의 조건입니다.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진단] “대학생 60%, 창업 희망”…성공 방법은?
-
- 입력 2013-01-18 21:19:29
- 수정2013-01-18 22:03:56
<앵커 멘트>
애플의 스티브잡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 페이스북의 마크 주커버그 이들의 공동점은 모두 20대 초반에 창업해 세계적인 기업을 일궈냈다는건데요.
극심한 취업난 속에 우리나라에서도 청년ceo를 꿈꾸는 젊은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심사장 밖 대기자들, 뭔가 제품 하나씩을 든 젊은이들이 줄지어 앉아 있습니다.
<녹취> "이것만 간편하게 파우치에만 담고 다녀도 충분히 열 손가락을 지울 수 있도록 제작했습니다."
창업 자금 1억 원이 걸린 창업 아이디어 평가장입니다.
경쟁률 10대 1, 입이 바짝 마릅니다.
<녹취> "이 제품의 상품성은…아, 제가 지금 현기증 이 좀 나서요. 다음에 다시 하세요."
지난해 이 심사를 통과해 창업한 29살 동갑내기 사장들, 여성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전동 드라이버로 일본 시장을 공략해 50억 원 계약을 성사시켰습니다.
<인터뷰> 이상민(29살/창업자) : "일본 주택 자체가 목조 주택이 많이 있어 요. 한국은 시멘트 뚫기가 어렵지만 일본에 서는 그냥 벽에 사용할 수 있는 거 잖아요"
대학에도 창업지원단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사업성을 판단해 최고 7천만 원까지 대학에서 지원해 줍니다.
실제로 대학생 10명 중 6명은 창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자본과 경험이 부족한 이들이 선뜻 창업 문을 열기란 쉬운 일은 아닙니다.
힘들고 어려운 창업을 왜 하느냐는 가족들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합니다.
<인터뷰> 장혜진,박신비(24살) : "만약 빚이 생기든 잘못되는 간섭을 안 하신다고…"
직장을 찾아 취업하는 대신 창업 전선에 뛰어든 젊은 CEO들, 그들의 쉽지 않은 도전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앵커 멘트>
이렇게 뜨거운 창업열기가 실제 창업으로도 이어졌을까요.
지난해 20대 창업자수는 4년전에 비해 오히려 20%이상 줄었습니다.
왜 이런 정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건지 이재환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고무처럼 휘는 특성을 가진 조립식 완구입니다.
세계적인 완구 업체를 꿈꾸는 윤이식 씨는 창업 4년 만에 이 시제품 개발을 마쳤습니다.
<인터뷰> 윤이식(완구업체 창업자) : "우리 제품은 26개의 부품으로 수 백가지, 많게는 수천 가지 제품을 만들 수 있다고"
요즘 본격적인 제품 생산을 위해 은행을 돌아다니고 있지만 시설 투자자금을 구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초기 기업이라 매출도 없는 상황이면 신용도 어떻게 보면 제로기 때문에 (은행에서) 담보를 요구하더라고요!"
윤씨처럼 창업한 지 3,4년이 되면 제품 개발이나 시제품 제작 단계가 되는데, 이 시기를 이른바 '죽음의 계곡'이라고 부릅니다.
정부 지원이나 민간 투자자금 등 돈의 흐름이 뚝 끊겨 창업자의 70%가 이 시기에 폐업을 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돈만이 아닙니다.
디자인을 전공한 김봉진 씨도 죽음의 계곡을 넘지 못하고 한번 실패를 경험했습니다.
<인터뷰> 김봉진 : "제가 좋아하는 디자인을 마구 하고싶었어요. 세상에 사람들이 원하는 디자인을 했던 게 아니고 제 맘대로 했기 때문에 실패를 했다고 생각이 들고요."
<녹취> "배달왔습니다."
소비자가 원하는 게 뭘까를 고민하던 김씨는 스마트폰 앱으로 소비자와 전국의 음식점을 연결해주는 배달서비스 상품을 개발했습니다.
시장을 읽는 창업자의 눈과 좋은 제품에 투자하는 사회 분위기가 죽음의 계곡을 건너는, 창업 성공의 조건입니다.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
-
이윤희 기자 heeya@kbs.co.kr
이윤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재환 기자 happyjhl@kbs.co.kr
이재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