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확대경] 대한민국 ‘푸어시대’…중산층을 살려라!
입력 2013.11.19 (21:16)
수정 2013.11.21 (22: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제에 이어 사회갈등 문제를 진단해 봅니다.
오늘은 빈부 격차에 따른 갈등입니다.
핵심은 부의 쏠림이죠? 네, 결국 중산층을 살려야 할 텐데요.
오늘 나온 조사를 보니 부의 쏠림이 더욱 커지고 있었습니다.
임승창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리포트>
영화 '설국열차'는 안락한 앞칸과 배고픔의 꼬리 칸을 극단적으로 대비시키죠?
양극화, 즉, 부의 쏠림을 상징하는 설정인데 우리 현실은 어떨까요?
종합소득 최상위 100명의 연소득은 1인당 평균 215억 원입니다.
중산층이라 할 중간소득자는 연 2,510만 원 차이가 860배입니다.
오늘 나온 통계에도 지난해 전체 소득과 자산의 절반은 상위 20%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소득의 경우 상위 20%는 1억 400여만원으로 하위 20%의 약 13배였고, 자산은 상위 20%가 7억 5천여만원으로 하위 20%의 7.5배였습니다.
반면 빚은 하위 20%가 25% 가까이 늘고 상위 20%는 그대로였습니다.
때문에 인구 6분의 1이 빈곤층일 정도로 부의 쏠림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같은 부의 쏠림을 줄이는 건 역시 중산층 복원뿐인데 묘안은 없을까요?
조빛나 기자가 찾아봤습니다.
<리포트>
이 인테리어 가게는 절반이 비었습니다.
한 달 스무 건 하던 공사가 이제는 서너 건.
한 때 유망 사업자였던 주인은 이제 저축을 해지하고 추가 대출까지 받았습니다.
<인터뷰> 박제민(자영업) : "지금은 있는 돈도 다 까먹고 대출받는 입장이다 보니까 중산층 그 이하, 사장도 아녜요, 이건 지금!"
지난 20년 동안 국민 1인당 GDP는 3배 늘었지만 중산층 비율은 76%에서 69%로 오히려 떨어졌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일자리입니다.
특히 임시직이나 비정규직을 전전하는, 이른바, 워킹푸어형 일자리로는 부족하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 "일자리의 질이 나쁘기 때문인 것이죠. 따라서 그분들을 중산층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나쁜 일자리가 아닌 괜찮은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서비스업도 직접적 일자리 유발에서 강점이 있지만 안정적이고, 파급효과가 큰 일자리는 제조업에서 나온다는 분석이 적지 않습니다.
때문에 신성장 동력 투자 등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물꼬를 터 주는 게 중요하다는 겁니다.
또 일할 능력을 늘려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유경준(KDI 박사) : "일을 할 수 있는 빈곤층한테 일자리를 제공하고 그 사람들이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평생 직업능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와 함께 심화되는 부의 쏠림을 재분배할 순기능적 제도 보완도 고려할 때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어제에 이어 사회갈등 문제를 진단해 봅니다.
오늘은 빈부 격차에 따른 갈등입니다.
핵심은 부의 쏠림이죠? 네, 결국 중산층을 살려야 할 텐데요.
오늘 나온 조사를 보니 부의 쏠림이 더욱 커지고 있었습니다.
임승창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리포트>
영화 '설국열차'는 안락한 앞칸과 배고픔의 꼬리 칸을 극단적으로 대비시키죠?
양극화, 즉, 부의 쏠림을 상징하는 설정인데 우리 현실은 어떨까요?
종합소득 최상위 100명의 연소득은 1인당 평균 215억 원입니다.
중산층이라 할 중간소득자는 연 2,510만 원 차이가 860배입니다.
오늘 나온 통계에도 지난해 전체 소득과 자산의 절반은 상위 20%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소득의 경우 상위 20%는 1억 400여만원으로 하위 20%의 약 13배였고, 자산은 상위 20%가 7억 5천여만원으로 하위 20%의 7.5배였습니다.
반면 빚은 하위 20%가 25% 가까이 늘고 상위 20%는 그대로였습니다.
때문에 인구 6분의 1이 빈곤층일 정도로 부의 쏠림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같은 부의 쏠림을 줄이는 건 역시 중산층 복원뿐인데 묘안은 없을까요?
조빛나 기자가 찾아봤습니다.
<리포트>
이 인테리어 가게는 절반이 비었습니다.
한 달 스무 건 하던 공사가 이제는 서너 건.
한 때 유망 사업자였던 주인은 이제 저축을 해지하고 추가 대출까지 받았습니다.
<인터뷰> 박제민(자영업) : "지금은 있는 돈도 다 까먹고 대출받는 입장이다 보니까 중산층 그 이하, 사장도 아녜요, 이건 지금!"
지난 20년 동안 국민 1인당 GDP는 3배 늘었지만 중산층 비율은 76%에서 69%로 오히려 떨어졌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일자리입니다.
특히 임시직이나 비정규직을 전전하는, 이른바, 워킹푸어형 일자리로는 부족하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 "일자리의 질이 나쁘기 때문인 것이죠. 따라서 그분들을 중산층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나쁜 일자리가 아닌 괜찮은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서비스업도 직접적 일자리 유발에서 강점이 있지만 안정적이고, 파급효과가 큰 일자리는 제조업에서 나온다는 분석이 적지 않습니다.
때문에 신성장 동력 투자 등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물꼬를 터 주는 게 중요하다는 겁니다.
또 일할 능력을 늘려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유경준(KDI 박사) : "일을 할 수 있는 빈곤층한테 일자리를 제공하고 그 사람들이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평생 직업능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와 함께 심화되는 부의 쏠림을 재분배할 순기능적 제도 보완도 고려할 때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9확대경] 대한민국 ‘푸어시대’…중산층을 살려라!
-
- 입력 2013-11-19 21:19:58
- 수정2013-11-21 22:26:26
<앵커 멘트>
어제에 이어 사회갈등 문제를 진단해 봅니다.
오늘은 빈부 격차에 따른 갈등입니다.
핵심은 부의 쏠림이죠? 네, 결국 중산층을 살려야 할 텐데요.
오늘 나온 조사를 보니 부의 쏠림이 더욱 커지고 있었습니다.
임승창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리포트>
영화 '설국열차'는 안락한 앞칸과 배고픔의 꼬리 칸을 극단적으로 대비시키죠?
양극화, 즉, 부의 쏠림을 상징하는 설정인데 우리 현실은 어떨까요?
종합소득 최상위 100명의 연소득은 1인당 평균 215억 원입니다.
중산층이라 할 중간소득자는 연 2,510만 원 차이가 860배입니다.
오늘 나온 통계에도 지난해 전체 소득과 자산의 절반은 상위 20%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소득의 경우 상위 20%는 1억 400여만원으로 하위 20%의 약 13배였고, 자산은 상위 20%가 7억 5천여만원으로 하위 20%의 7.5배였습니다.
반면 빚은 하위 20%가 25% 가까이 늘고 상위 20%는 그대로였습니다.
때문에 인구 6분의 1이 빈곤층일 정도로 부의 쏠림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같은 부의 쏠림을 줄이는 건 역시 중산층 복원뿐인데 묘안은 없을까요?
조빛나 기자가 찾아봤습니다.
<리포트>
이 인테리어 가게는 절반이 비었습니다.
한 달 스무 건 하던 공사가 이제는 서너 건.
한 때 유망 사업자였던 주인은 이제 저축을 해지하고 추가 대출까지 받았습니다.
<인터뷰> 박제민(자영업) : "지금은 있는 돈도 다 까먹고 대출받는 입장이다 보니까 중산층 그 이하, 사장도 아녜요, 이건 지금!"
지난 20년 동안 국민 1인당 GDP는 3배 늘었지만 중산층 비율은 76%에서 69%로 오히려 떨어졌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일자리입니다.
특히 임시직이나 비정규직을 전전하는, 이른바, 워킹푸어형 일자리로는 부족하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 "일자리의 질이 나쁘기 때문인 것이죠. 따라서 그분들을 중산층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나쁜 일자리가 아닌 괜찮은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서비스업도 직접적 일자리 유발에서 강점이 있지만 안정적이고, 파급효과가 큰 일자리는 제조업에서 나온다는 분석이 적지 않습니다.
때문에 신성장 동력 투자 등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물꼬를 터 주는 게 중요하다는 겁니다.
또 일할 능력을 늘려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유경준(KDI 박사) : "일을 할 수 있는 빈곤층한테 일자리를 제공하고 그 사람들이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평생 직업능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와 함께 심화되는 부의 쏠림을 재분배할 순기능적 제도 보완도 고려할 때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어제에 이어 사회갈등 문제를 진단해 봅니다.
오늘은 빈부 격차에 따른 갈등입니다.
핵심은 부의 쏠림이죠? 네, 결국 중산층을 살려야 할 텐데요.
오늘 나온 조사를 보니 부의 쏠림이 더욱 커지고 있었습니다.
임승창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리포트>
영화 '설국열차'는 안락한 앞칸과 배고픔의 꼬리 칸을 극단적으로 대비시키죠?
양극화, 즉, 부의 쏠림을 상징하는 설정인데 우리 현실은 어떨까요?
종합소득 최상위 100명의 연소득은 1인당 평균 215억 원입니다.
중산층이라 할 중간소득자는 연 2,510만 원 차이가 860배입니다.
오늘 나온 통계에도 지난해 전체 소득과 자산의 절반은 상위 20%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소득의 경우 상위 20%는 1억 400여만원으로 하위 20%의 약 13배였고, 자산은 상위 20%가 7억 5천여만원으로 하위 20%의 7.5배였습니다.
반면 빚은 하위 20%가 25% 가까이 늘고 상위 20%는 그대로였습니다.
때문에 인구 6분의 1이 빈곤층일 정도로 부의 쏠림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같은 부의 쏠림을 줄이는 건 역시 중산층 복원뿐인데 묘안은 없을까요?
조빛나 기자가 찾아봤습니다.
<리포트>
이 인테리어 가게는 절반이 비었습니다.
한 달 스무 건 하던 공사가 이제는 서너 건.
한 때 유망 사업자였던 주인은 이제 저축을 해지하고 추가 대출까지 받았습니다.
<인터뷰> 박제민(자영업) : "지금은 있는 돈도 다 까먹고 대출받는 입장이다 보니까 중산층 그 이하, 사장도 아녜요, 이건 지금!"
지난 20년 동안 국민 1인당 GDP는 3배 늘었지만 중산층 비율은 76%에서 69%로 오히려 떨어졌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일자리입니다.
특히 임시직이나 비정규직을 전전하는, 이른바, 워킹푸어형 일자리로는 부족하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 "일자리의 질이 나쁘기 때문인 것이죠. 따라서 그분들을 중산층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나쁜 일자리가 아닌 괜찮은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서비스업도 직접적 일자리 유발에서 강점이 있지만 안정적이고, 파급효과가 큰 일자리는 제조업에서 나온다는 분석이 적지 않습니다.
때문에 신성장 동력 투자 등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물꼬를 터 주는 게 중요하다는 겁니다.
또 일할 능력을 늘려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유경준(KDI 박사) : "일을 할 수 있는 빈곤층한테 일자리를 제공하고 그 사람들이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평생 직업능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와 함께 심화되는 부의 쏠림을 재분배할 순기능적 제도 보완도 고려할 때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
조빛나 기자 hymn@kbs.co.kr
조빛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갈등 사회를 넘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