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일…그리고 한반도 경제 전망은?

입력 2014.01.01 (06:14) 수정 2014.01.01 (10: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 연방준비제도가 이번달부터 양적 완화를 축소하기로 했잖습니까?

그 만큼 자신이 생겼다고 보이는데, 올해 미국 경제 전망 어떻습니까?

<리포트>

지난해 주택, 자동차 판매 다 좋았구요.

증시도 16년 만 최대폭 올랐습니다.

올해 전망은 더 장미빛입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경제 회복속도가 1단에서 2단 기어로 넘어갈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성장 3%대 회복, 금융위기 때 10% 대까지 치솟았던 실업률은 6%대까지 떨어질 걸로 보고 있는데 초저금리는 유지될 전망입니다.

반면, 수출 기업들은 달러화 강세로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양적완화 축소가 풀린 돈을 거둬들이는 본격적 출구전략으로 전환될지는 경제 회복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다만, 정치가 유일한 걸림돌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국가부채 상한 조정, 중간선거 같은 정치적 변수는 잠복해 있습니다.

다음은 베이징입니다.

<리포트>

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집권 2년차인 2014년에도 부패척결과 당 쇄신운동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경제 운용면에서는 성장 일변도 정책에서 탈피해 '안정속의 개혁'을 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올해 경제성장률은 7에서 7.4% 수준으로, 지난해보다 약간 낮출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합니다.

중국은 지난해 일본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일방적으로 방공식별구역까지 선포해 주변국들의 반발을 샀는데요.

올해도 자국의 주권과 핵심 이익은 절대 양보하지 않는 '강대강' 외교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은 도쿄입니다.

<리포트>

예, 새해 일본의 가장 큰 관심은 '아베노믹스'로 대변되는 경제문제입니다.

지난해 주가가 50% 이상 급등하고, 엔-달러 환율은 25% 이상 급락한데다, 성장률도 1%를 넘어서는 등 일본의 경제지표는 급속도로 호전됐습니다.

하지만, 설비투자나 수출 같은 실물경제가 살아나지 않는 것이 현재 일본 경제의 고민입니다.

또 올 4월에는 소비세도 현행 5%에서 8%로 오를 예정이어서 물가는 오르고 소비는 위축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내수 확대를 통한 2년 내 2% 물가 상승이라는 아베노믹스의 당초 목표 달성에 적신호가 켜진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경기부양을 위해 올해까지 추가로 2,700조 원을 더 풀기로 했습니다.

<질문> 그 동안 한미가 긴밀한 공조 관계를 유지해 왔는데, 올해 전망 어떻습니까?

<답변> 북한 핵 문제 등에 대해 한국 정부의 판단을 존중해 온 기조에는 큰 변화가 없을 걸로 전망됩니다.

최근 중국 견제 전략으로 미국이 일본 쪽에 기우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 게 사실인데요.

최근 일본의 우경화 행보에 대한 미국 내 우려가 한미일 삼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의 불안정성 증가가 추가적인 미사일이나 핵실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 이렇게 되면 한미간 외교시계는 더욱 긴박하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 이달 초 미국을 방문해 케리 국무장관을 만나구요.

한미방위비분담협상 이달 초 재개됩니다.

다음은 베이징입니다.

<답변> 네, 시진핑 주석이 지난해 6월 방중한 박근혜 대통령에게 '라오펑요우', 오래된 친구라는 표현을 썼듯이 올해도 한중 관계는 긍정적입니다.

이어도 상공을 포함하는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로 한·중 간 잡음이 생기는 듯 했지만 우리가 방공식별구역을 확대하면서 논란의 불씨는 잦아들었습니다.

일본 아베 정권의 우경화가 계속되면서 한중 두 나라의 외교 공조는 더욱 긴밀해 질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다만, 북한이 장성택 처형 이후 추가적인 도발을 감행할 경우 중국이 어떤 입장을 취하느냐가 한중 관계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도쿄입니다.

<답변> 지난해 한-일 관계는 그야말로 갈등의 연속이었는데요.

지난 연말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전격 참배하면서 그야말로 기름을 부은 격이 됐습니다.

이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과의 한-일 정상회담도 당분간은 성사 가능성이 희박해졌습니다.

여기에 다음달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다케시마의 날' 행사가 예정돼 있고요.

또 일제 때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우리 대법원의 최종 배상 판결도 나올 예정입니다.

또 평화헌법 해석을 바꿔 집단적 자위권을 확보하기 위한 아베 총리의 행보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올해 한-일 관계는 특별한 전환점이 마련되지 않는 한 냉각기가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중·일…그리고 한반도 경제 전망은?
    • 입력 2014-01-01 08:20:58
    • 수정2014-01-01 10:46:59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미 연방준비제도가 이번달부터 양적 완화를 축소하기로 했잖습니까?

그 만큼 자신이 생겼다고 보이는데, 올해 미국 경제 전망 어떻습니까?

<리포트>

지난해 주택, 자동차 판매 다 좋았구요.

증시도 16년 만 최대폭 올랐습니다.

올해 전망은 더 장미빛입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경제 회복속도가 1단에서 2단 기어로 넘어갈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성장 3%대 회복, 금융위기 때 10% 대까지 치솟았던 실업률은 6%대까지 떨어질 걸로 보고 있는데 초저금리는 유지될 전망입니다.

반면, 수출 기업들은 달러화 강세로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양적완화 축소가 풀린 돈을 거둬들이는 본격적 출구전략으로 전환될지는 경제 회복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다만, 정치가 유일한 걸림돌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국가부채 상한 조정, 중간선거 같은 정치적 변수는 잠복해 있습니다.

다음은 베이징입니다.

<리포트>

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집권 2년차인 2014년에도 부패척결과 당 쇄신운동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경제 운용면에서는 성장 일변도 정책에서 탈피해 '안정속의 개혁'을 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올해 경제성장률은 7에서 7.4% 수준으로, 지난해보다 약간 낮출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합니다.

중국은 지난해 일본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일방적으로 방공식별구역까지 선포해 주변국들의 반발을 샀는데요.

올해도 자국의 주권과 핵심 이익은 절대 양보하지 않는 '강대강' 외교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은 도쿄입니다.

<리포트>

예, 새해 일본의 가장 큰 관심은 '아베노믹스'로 대변되는 경제문제입니다.

지난해 주가가 50% 이상 급등하고, 엔-달러 환율은 25% 이상 급락한데다, 성장률도 1%를 넘어서는 등 일본의 경제지표는 급속도로 호전됐습니다.

하지만, 설비투자나 수출 같은 실물경제가 살아나지 않는 것이 현재 일본 경제의 고민입니다.

또 올 4월에는 소비세도 현행 5%에서 8%로 오를 예정이어서 물가는 오르고 소비는 위축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내수 확대를 통한 2년 내 2% 물가 상승이라는 아베노믹스의 당초 목표 달성에 적신호가 켜진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경기부양을 위해 올해까지 추가로 2,700조 원을 더 풀기로 했습니다.

<질문> 그 동안 한미가 긴밀한 공조 관계를 유지해 왔는데, 올해 전망 어떻습니까?

<답변> 북한 핵 문제 등에 대해 한국 정부의 판단을 존중해 온 기조에는 큰 변화가 없을 걸로 전망됩니다.

최근 중국 견제 전략으로 미국이 일본 쪽에 기우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 게 사실인데요.

최근 일본의 우경화 행보에 대한 미국 내 우려가 한미일 삼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의 불안정성 증가가 추가적인 미사일이나 핵실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 이렇게 되면 한미간 외교시계는 더욱 긴박하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 이달 초 미국을 방문해 케리 국무장관을 만나구요.

한미방위비분담협상 이달 초 재개됩니다.

다음은 베이징입니다.

<답변> 네, 시진핑 주석이 지난해 6월 방중한 박근혜 대통령에게 '라오펑요우', 오래된 친구라는 표현을 썼듯이 올해도 한중 관계는 긍정적입니다.

이어도 상공을 포함하는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로 한·중 간 잡음이 생기는 듯 했지만 우리가 방공식별구역을 확대하면서 논란의 불씨는 잦아들었습니다.

일본 아베 정권의 우경화가 계속되면서 한중 두 나라의 외교 공조는 더욱 긴밀해 질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다만, 북한이 장성택 처형 이후 추가적인 도발을 감행할 경우 중국이 어떤 입장을 취하느냐가 한중 관계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도쿄입니다.

<답변> 지난해 한-일 관계는 그야말로 갈등의 연속이었는데요.

지난 연말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전격 참배하면서 그야말로 기름을 부은 격이 됐습니다.

이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과의 한-일 정상회담도 당분간은 성사 가능성이 희박해졌습니다.

여기에 다음달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다케시마의 날' 행사가 예정돼 있고요.

또 일제 때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우리 대법원의 최종 배상 판결도 나올 예정입니다.

또 평화헌법 해석을 바꿔 집단적 자위권을 확보하기 위한 아베 총리의 행보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올해 한-일 관계는 특별한 전환점이 마련되지 않는 한 냉각기가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