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확대경] ‘사용 후 핵연료’ 저장시설 10년 후 포화
입력 2014.08.26 (21:24)
수정 2014.08.26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원자력을 이용해 발전을 하고 나면 사용 후 핵연료가 생깁니다.
우리나라 전체 원전 스물 세기에서 해마다 700톤 정도 발생하는데요.
문제는 10년 후에는 사용 후 핵원료의 원전 내 처리시설이 포화가 된다는 건데요.
사용 후 핵연료가 어떻게 관리돼 왔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안다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멘트>
우리나라에서 원자력 발전이 시작된 건 1978년, 그 후 지금까지 국내 원전에서 발생한 사용 후 핵연료는 만 천 톤 정도입니다.
모두 원전 내부의 임시저장시설에 보관 중입니다.
그러나 이들 임시저장공간도 2024년 영광 원전을 시작으로 잇따라 포화 상태에 이릅니다.
앞으로 10년 정도 남았는데요.
사용 후 핵연료보다 방사능 수치가 훨씬 낮은 중저준위 폐기물 처리장을 경주에 건설하는데도 부지 선정을 놓고 9차례나 사회적 갈등을 겪으며 20년이나 걸렸습니다.
사용 후 핵연료 처리시설을 서둘러 추진해야 하는 이윤데요,
사용 후 핵연료 처리 방안으로는 땅속에 영구처분시설을 만드는 방안과 중간저장시설을 만들어 임시저장공간에서 사용 후 핵연료를 꺼내 모아두는 방법.
그리고, 재처리를 통한 재활용이 있는데요.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꼽히는 건 31개 원전 국가 중 22개 나라가 선택하고 있는 이 중간저장시설입니다.
문제는 중간저장시설 부지 확보를 위한 사회적 합의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우리와 원전 비중이 비슷한 미국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요?
현지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 국방부와 4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버지니아주의 노스아나 원전.
연간 20톤의 사용 후 핵연료가 나옵니다.
뒤에 보이는 금속 용기에는 사용한 뒤 물속에서 식힌 핵연료가 담겨 있습니다.
영구 처분장으로 가기 전 중간저장시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브라이언 웨이크맨(노스아나 원전 기술자) : "저장 용기들은 (지진 등으로) 바닥으로 넘어진다 해도 손상되지 않도록 설계돼있습니다. 또 안에 있는 핵폐기물들도 안전하게 유지됩니다."
미국 원전은 모두 부지 안에 이런 중간저장시설을 두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2025년에는 사용 후 핵연료를 모두 한 곳에 모아 관리하고 , 2048년에는 영구처분시설을 가동한다는 장기 계획까지 수립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미국 역시 5년 전 주민들의 반대로 네바다주에 영구처분장을 설치하려던 계획이 백지화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주민들의 반대를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여 극복하려 하고 있습니다.
연방정부가 나서 적합한 부지를 찾기 위한 지질 분석부터 핵폐기물을 운반할 용기 개발까지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웬델 위어트(샌디아 국립연구소 수석회원) : "핵폐기물을 수송할 때는 많은 사람들 사이를 지나게 됩니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우리는 핵폐기물 수송 시설 등의 연구에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핵폐기물과 관련 연구 예산은 1년에 1,881억 원으로 우리나라의 15배나 됩니다.
핵폐기물 처리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는 점을 미국의 경험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원자력을 이용해 발전을 하고 나면 사용 후 핵연료가 생깁니다.
우리나라 전체 원전 스물 세기에서 해마다 700톤 정도 발생하는데요.
문제는 10년 후에는 사용 후 핵원료의 원전 내 처리시설이 포화가 된다는 건데요.
사용 후 핵연료가 어떻게 관리돼 왔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안다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멘트>
우리나라에서 원자력 발전이 시작된 건 1978년, 그 후 지금까지 국내 원전에서 발생한 사용 후 핵연료는 만 천 톤 정도입니다.
모두 원전 내부의 임시저장시설에 보관 중입니다.
그러나 이들 임시저장공간도 2024년 영광 원전을 시작으로 잇따라 포화 상태에 이릅니다.
앞으로 10년 정도 남았는데요.
사용 후 핵연료보다 방사능 수치가 훨씬 낮은 중저준위 폐기물 처리장을 경주에 건설하는데도 부지 선정을 놓고 9차례나 사회적 갈등을 겪으며 20년이나 걸렸습니다.
사용 후 핵연료 처리시설을 서둘러 추진해야 하는 이윤데요,
사용 후 핵연료 처리 방안으로는 땅속에 영구처분시설을 만드는 방안과 중간저장시설을 만들어 임시저장공간에서 사용 후 핵연료를 꺼내 모아두는 방법.
그리고, 재처리를 통한 재활용이 있는데요.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꼽히는 건 31개 원전 국가 중 22개 나라가 선택하고 있는 이 중간저장시설입니다.
문제는 중간저장시설 부지 확보를 위한 사회적 합의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우리와 원전 비중이 비슷한 미국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요?
현지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 국방부와 4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버지니아주의 노스아나 원전.
연간 20톤의 사용 후 핵연료가 나옵니다.
뒤에 보이는 금속 용기에는 사용한 뒤 물속에서 식힌 핵연료가 담겨 있습니다.
영구 처분장으로 가기 전 중간저장시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브라이언 웨이크맨(노스아나 원전 기술자) : "저장 용기들은 (지진 등으로) 바닥으로 넘어진다 해도 손상되지 않도록 설계돼있습니다. 또 안에 있는 핵폐기물들도 안전하게 유지됩니다."
미국 원전은 모두 부지 안에 이런 중간저장시설을 두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2025년에는 사용 후 핵연료를 모두 한 곳에 모아 관리하고 , 2048년에는 영구처분시설을 가동한다는 장기 계획까지 수립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미국 역시 5년 전 주민들의 반대로 네바다주에 영구처분장을 설치하려던 계획이 백지화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주민들의 반대를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여 극복하려 하고 있습니다.
연방정부가 나서 적합한 부지를 찾기 위한 지질 분석부터 핵폐기물을 운반할 용기 개발까지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웬델 위어트(샌디아 국립연구소 수석회원) : "핵폐기물을 수송할 때는 많은 사람들 사이를 지나게 됩니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우리는 핵폐기물 수송 시설 등의 연구에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핵폐기물과 관련 연구 예산은 1년에 1,881억 원으로 우리나라의 15배나 됩니다.
핵폐기물 처리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는 점을 미국의 경험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9확대경] ‘사용 후 핵연료’ 저장시설 10년 후 포화
-
- 입력 2014-08-26 21:26:01
- 수정2014-08-26 22:10:08
<앵커 멘트>
원자력을 이용해 발전을 하고 나면 사용 후 핵연료가 생깁니다.
우리나라 전체 원전 스물 세기에서 해마다 700톤 정도 발생하는데요.
문제는 10년 후에는 사용 후 핵원료의 원전 내 처리시설이 포화가 된다는 건데요.
사용 후 핵연료가 어떻게 관리돼 왔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안다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멘트>
우리나라에서 원자력 발전이 시작된 건 1978년, 그 후 지금까지 국내 원전에서 발생한 사용 후 핵연료는 만 천 톤 정도입니다.
모두 원전 내부의 임시저장시설에 보관 중입니다.
그러나 이들 임시저장공간도 2024년 영광 원전을 시작으로 잇따라 포화 상태에 이릅니다.
앞으로 10년 정도 남았는데요.
사용 후 핵연료보다 방사능 수치가 훨씬 낮은 중저준위 폐기물 처리장을 경주에 건설하는데도 부지 선정을 놓고 9차례나 사회적 갈등을 겪으며 20년이나 걸렸습니다.
사용 후 핵연료 처리시설을 서둘러 추진해야 하는 이윤데요,
사용 후 핵연료 처리 방안으로는 땅속에 영구처분시설을 만드는 방안과 중간저장시설을 만들어 임시저장공간에서 사용 후 핵연료를 꺼내 모아두는 방법.
그리고, 재처리를 통한 재활용이 있는데요.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꼽히는 건 31개 원전 국가 중 22개 나라가 선택하고 있는 이 중간저장시설입니다.
문제는 중간저장시설 부지 확보를 위한 사회적 합의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우리와 원전 비중이 비슷한 미국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요?
현지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 국방부와 4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버지니아주의 노스아나 원전.
연간 20톤의 사용 후 핵연료가 나옵니다.
뒤에 보이는 금속 용기에는 사용한 뒤 물속에서 식힌 핵연료가 담겨 있습니다.
영구 처분장으로 가기 전 중간저장시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브라이언 웨이크맨(노스아나 원전 기술자) : "저장 용기들은 (지진 등으로) 바닥으로 넘어진다 해도 손상되지 않도록 설계돼있습니다. 또 안에 있는 핵폐기물들도 안전하게 유지됩니다."
미국 원전은 모두 부지 안에 이런 중간저장시설을 두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2025년에는 사용 후 핵연료를 모두 한 곳에 모아 관리하고 , 2048년에는 영구처분시설을 가동한다는 장기 계획까지 수립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미국 역시 5년 전 주민들의 반대로 네바다주에 영구처분장을 설치하려던 계획이 백지화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주민들의 반대를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여 극복하려 하고 있습니다.
연방정부가 나서 적합한 부지를 찾기 위한 지질 분석부터 핵폐기물을 운반할 용기 개발까지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웬델 위어트(샌디아 국립연구소 수석회원) : "핵폐기물을 수송할 때는 많은 사람들 사이를 지나게 됩니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우리는 핵폐기물 수송 시설 등의 연구에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핵폐기물과 관련 연구 예산은 1년에 1,881억 원으로 우리나라의 15배나 됩니다.
핵폐기물 처리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는 점을 미국의 경험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원자력을 이용해 발전을 하고 나면 사용 후 핵연료가 생깁니다.
우리나라 전체 원전 스물 세기에서 해마다 700톤 정도 발생하는데요.
문제는 10년 후에는 사용 후 핵원료의 원전 내 처리시설이 포화가 된다는 건데요.
사용 후 핵연료가 어떻게 관리돼 왔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안다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멘트>
우리나라에서 원자력 발전이 시작된 건 1978년, 그 후 지금까지 국내 원전에서 발생한 사용 후 핵연료는 만 천 톤 정도입니다.
모두 원전 내부의 임시저장시설에 보관 중입니다.
그러나 이들 임시저장공간도 2024년 영광 원전을 시작으로 잇따라 포화 상태에 이릅니다.
앞으로 10년 정도 남았는데요.
사용 후 핵연료보다 방사능 수치가 훨씬 낮은 중저준위 폐기물 처리장을 경주에 건설하는데도 부지 선정을 놓고 9차례나 사회적 갈등을 겪으며 20년이나 걸렸습니다.
사용 후 핵연료 처리시설을 서둘러 추진해야 하는 이윤데요,
사용 후 핵연료 처리 방안으로는 땅속에 영구처분시설을 만드는 방안과 중간저장시설을 만들어 임시저장공간에서 사용 후 핵연료를 꺼내 모아두는 방법.
그리고, 재처리를 통한 재활용이 있는데요.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꼽히는 건 31개 원전 국가 중 22개 나라가 선택하고 있는 이 중간저장시설입니다.
문제는 중간저장시설 부지 확보를 위한 사회적 합의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우리와 원전 비중이 비슷한 미국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요?
현지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 국방부와 4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버지니아주의 노스아나 원전.
연간 20톤의 사용 후 핵연료가 나옵니다.
뒤에 보이는 금속 용기에는 사용한 뒤 물속에서 식힌 핵연료가 담겨 있습니다.
영구 처분장으로 가기 전 중간저장시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브라이언 웨이크맨(노스아나 원전 기술자) : "저장 용기들은 (지진 등으로) 바닥으로 넘어진다 해도 손상되지 않도록 설계돼있습니다. 또 안에 있는 핵폐기물들도 안전하게 유지됩니다."
미국 원전은 모두 부지 안에 이런 중간저장시설을 두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2025년에는 사용 후 핵연료를 모두 한 곳에 모아 관리하고 , 2048년에는 영구처분시설을 가동한다는 장기 계획까지 수립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미국 역시 5년 전 주민들의 반대로 네바다주에 영구처분장을 설치하려던 계획이 백지화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주민들의 반대를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여 극복하려 하고 있습니다.
연방정부가 나서 적합한 부지를 찾기 위한 지질 분석부터 핵폐기물을 운반할 용기 개발까지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웬델 위어트(샌디아 국립연구소 수석회원) : "핵폐기물을 수송할 때는 많은 사람들 사이를 지나게 됩니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우리는 핵폐기물 수송 시설 등의 연구에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핵폐기물과 관련 연구 예산은 1년에 1,881억 원으로 우리나라의 15배나 됩니다.
핵폐기물 처리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는 점을 미국의 경험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
-
안다영 기자 browneyes@kbs.co.kr
안다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