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화산’ 백두산…남북 공동연구 ‘절실’
입력 2018.09.24 (21:42)
수정 2018.09.24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남북정상회담 이후 백두산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졌는데요.
백두산은 지금은 잠잠해졌지만, 활화산으로 분류돼있는 만큼 꾸준한 관측이 필요합니다.
이 연구에도 남북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민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두산은 현재 학계에서 활화산으로 분류합니다.
화산 활동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백두산 봉우리 밑엔 지금도 이렇게 김이 모락모락 나는 온천물이 쉴새 없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땅 속에 용암이 여전히 끊고 있다는 증겁니다.
2002년부터는 3년여간 백두산 주변에 8천회 가량의 지진이 관측되면서, 중국 등에서 화산 폭발 위험성에 대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습니다.
[이윤수/포항공대 환경공학부 교수 : "(백두산 화산 폭발은) 언제, 어디서, 어떤 규모로 일어날지 모른다는 게 문제입니다. 그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관측망들을 다양하게 깔아야 되는데요."]
북한은 2011년부터 미국과 유럽의 학자들을 초청해 공동연구팀을 만들고 백두산 화산활동을 함께 연구해오고 있습니다.
[제임스 해먼드/런던 버벡대 선임연구원/백두산 공동연구팀: "백두산 연구가 진행된 지난 7년간 북한 쪽 학자들은 국제 협력에 매우 열정적이었습니다."]
북한은 우리나라에도 3차례나 공동연구를 제안해왔지만, 여러 여건상 번번이 좌절됐습니다.
[코시마 베버류/백두산 공동연구팀 환경학자 : "한국뿐만 아니라 북한에도 좋은 과학자들이 많습니다. 우리는 남과 북이 함께 백두산을 연구하는 것에 대환영입니다."]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백두산 연구의 남북협력과 국제공조에 우리나라의 동참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백두산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백두산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졌는데요.
백두산은 지금은 잠잠해졌지만, 활화산으로 분류돼있는 만큼 꾸준한 관측이 필요합니다.
이 연구에도 남북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민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두산은 현재 학계에서 활화산으로 분류합니다.
화산 활동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백두산 봉우리 밑엔 지금도 이렇게 김이 모락모락 나는 온천물이 쉴새 없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땅 속에 용암이 여전히 끊고 있다는 증겁니다.
2002년부터는 3년여간 백두산 주변에 8천회 가량의 지진이 관측되면서, 중국 등에서 화산 폭발 위험성에 대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습니다.
[이윤수/포항공대 환경공학부 교수 : "(백두산 화산 폭발은) 언제, 어디서, 어떤 규모로 일어날지 모른다는 게 문제입니다. 그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관측망들을 다양하게 깔아야 되는데요."]
북한은 2011년부터 미국과 유럽의 학자들을 초청해 공동연구팀을 만들고 백두산 화산활동을 함께 연구해오고 있습니다.
[제임스 해먼드/런던 버벡대 선임연구원/백두산 공동연구팀: "백두산 연구가 진행된 지난 7년간 북한 쪽 학자들은 국제 협력에 매우 열정적이었습니다."]
북한은 우리나라에도 3차례나 공동연구를 제안해왔지만, 여러 여건상 번번이 좌절됐습니다.
[코시마 베버류/백두산 공동연구팀 환경학자 : "한국뿐만 아니라 북한에도 좋은 과학자들이 많습니다. 우리는 남과 북이 함께 백두산을 연구하는 것에 대환영입니다."]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백두산 연구의 남북협력과 국제공조에 우리나라의 동참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백두산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활화산’ 백두산…남북 공동연구 ‘절실’
-
- 입력 2018-09-24 21:44:11
- 수정2018-09-24 21:55:43

[앵커]
남북정상회담 이후 백두산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졌는데요.
백두산은 지금은 잠잠해졌지만, 활화산으로 분류돼있는 만큼 꾸준한 관측이 필요합니다.
이 연구에도 남북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민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두산은 현재 학계에서 활화산으로 분류합니다.
화산 활동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백두산 봉우리 밑엔 지금도 이렇게 김이 모락모락 나는 온천물이 쉴새 없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땅 속에 용암이 여전히 끊고 있다는 증겁니다.
2002년부터는 3년여간 백두산 주변에 8천회 가량의 지진이 관측되면서, 중국 등에서 화산 폭발 위험성에 대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습니다.
[이윤수/포항공대 환경공학부 교수 : "(백두산 화산 폭발은) 언제, 어디서, 어떤 규모로 일어날지 모른다는 게 문제입니다. 그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관측망들을 다양하게 깔아야 되는데요."]
북한은 2011년부터 미국과 유럽의 학자들을 초청해 공동연구팀을 만들고 백두산 화산활동을 함께 연구해오고 있습니다.
[제임스 해먼드/런던 버벡대 선임연구원/백두산 공동연구팀: "백두산 연구가 진행된 지난 7년간 북한 쪽 학자들은 국제 협력에 매우 열정적이었습니다."]
북한은 우리나라에도 3차례나 공동연구를 제안해왔지만, 여러 여건상 번번이 좌절됐습니다.
[코시마 베버류/백두산 공동연구팀 환경학자 : "한국뿐만 아니라 북한에도 좋은 과학자들이 많습니다. 우리는 남과 북이 함께 백두산을 연구하는 것에 대환영입니다."]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백두산 연구의 남북협력과 국제공조에 우리나라의 동참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백두산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백두산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졌는데요.
백두산은 지금은 잠잠해졌지만, 활화산으로 분류돼있는 만큼 꾸준한 관측이 필요합니다.
이 연구에도 남북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민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두산은 현재 학계에서 활화산으로 분류합니다.
화산 활동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백두산 봉우리 밑엔 지금도 이렇게 김이 모락모락 나는 온천물이 쉴새 없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땅 속에 용암이 여전히 끊고 있다는 증겁니다.
2002년부터는 3년여간 백두산 주변에 8천회 가량의 지진이 관측되면서, 중국 등에서 화산 폭발 위험성에 대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습니다.
[이윤수/포항공대 환경공학부 교수 : "(백두산 화산 폭발은) 언제, 어디서, 어떤 규모로 일어날지 모른다는 게 문제입니다. 그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관측망들을 다양하게 깔아야 되는데요."]
북한은 2011년부터 미국과 유럽의 학자들을 초청해 공동연구팀을 만들고 백두산 화산활동을 함께 연구해오고 있습니다.
[제임스 해먼드/런던 버벡대 선임연구원/백두산 공동연구팀: "백두산 연구가 진행된 지난 7년간 북한 쪽 학자들은 국제 협력에 매우 열정적이었습니다."]
북한은 우리나라에도 3차례나 공동연구를 제안해왔지만, 여러 여건상 번번이 좌절됐습니다.
[코시마 베버류/백두산 공동연구팀 환경학자 : "한국뿐만 아니라 북한에도 좋은 과학자들이 많습니다. 우리는 남과 북이 함께 백두산을 연구하는 것에 대환영입니다."]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백두산 연구의 남북협력과 국제공조에 우리나라의 동참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백두산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
김민철 기자 kmc@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