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째 창고에만…‘고열증기 제거장치’ 출동조차 안했다
입력 2018.12.07 (07:25)
수정 2018.12.07 (07: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제 일어난 경기 고양시 온수관 파열 사고에 대해 경찰이 지역난방공사에 과실이 있는지 여부를 수사하고 있는데요.
지역난방공사는 이런 사고가 났을때 쓰려고 사 놓은 '증기 제거장치'도 사고 현장에 투입하지 않았던 걸로 KBS 취재 결과 드러났습니다.
박원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펄펄 끓는 물 위로 섭씨 100도가 넘는 두꺼운 증기가 시야를 가립니다.
앞도 잘 보이지 않지만 소방관들은 화상 위험을 무릅쓰고 구조에 나섭니다.
[이봉영/경기 일산소방서장/지난 4일 : "수증기가 꽉 차 있는 상태에서 각 건물마다 다 (소방관을) 투입해서 옥상으로 방송을 해서 대피하도록 하고..."]
지역난방공사는 이런 사고가 났을때 복구와 구조 작업에 쓰기 위해 '고열 수증기 제거 장치'란 걸 갖고 있습니다.
초저습도 공기 등을 분사해 뜨거운 증기를 순식간에 찬 물방울로 만들어 날려버리는 장비입니다.
하지만 KBS 취재 결과, 이 장비는 구조, 복구 작업이 한창일 당시 사고 지점에서 약 5km 떨어진 보관창고에 그대로 방치돼 있었습니다.
무게 500kg인 이 장비를 화물차에 실어 나르려면 소형 크레인 같은 민간 장비 임대업체를 불러야 하는데 이조차도 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밸브 차단 후 물 빼기 작업이 진행되면서 스팀(증기)이 급격히 줄어들어 백연(증기) 제거 장치가 필요 없고 그냥 보수에 집중하는 것으로 결정해서 일을 진행했습니다."]
고양지사 직원들이 현장에 처음 도착한 시간은 신고가 접수된 지 40분이나 지난 뒤였습니다.
늑장 대응에 더해 신속 복구에 필수적인 열 수증기 제거 장비는 사용조차 못한 겁니다.
[최OO/사고 현장 인근 주민/음성변조 : "연기가 쫙... 사람들이 '불났다' 이럴 정도로. 상상을 못 하는 거죠. 온도가, 수증기가 그렇게 올라올 거라는..."]
난방공사는 한 대에 3천만 원 하는 이 장비를 지난해 11월, 고양지사에 들여놨습니다.
사고에 대비해 사들였지만, 정작 아무런 소용이 없었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그제 일어난 경기 고양시 온수관 파열 사고에 대해 경찰이 지역난방공사에 과실이 있는지 여부를 수사하고 있는데요.
지역난방공사는 이런 사고가 났을때 쓰려고 사 놓은 '증기 제거장치'도 사고 현장에 투입하지 않았던 걸로 KBS 취재 결과 드러났습니다.
박원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펄펄 끓는 물 위로 섭씨 100도가 넘는 두꺼운 증기가 시야를 가립니다.
앞도 잘 보이지 않지만 소방관들은 화상 위험을 무릅쓰고 구조에 나섭니다.
[이봉영/경기 일산소방서장/지난 4일 : "수증기가 꽉 차 있는 상태에서 각 건물마다 다 (소방관을) 투입해서 옥상으로 방송을 해서 대피하도록 하고..."]
지역난방공사는 이런 사고가 났을때 복구와 구조 작업에 쓰기 위해 '고열 수증기 제거 장치'란 걸 갖고 있습니다.
초저습도 공기 등을 분사해 뜨거운 증기를 순식간에 찬 물방울로 만들어 날려버리는 장비입니다.
하지만 KBS 취재 결과, 이 장비는 구조, 복구 작업이 한창일 당시 사고 지점에서 약 5km 떨어진 보관창고에 그대로 방치돼 있었습니다.
무게 500kg인 이 장비를 화물차에 실어 나르려면 소형 크레인 같은 민간 장비 임대업체를 불러야 하는데 이조차도 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밸브 차단 후 물 빼기 작업이 진행되면서 스팀(증기)이 급격히 줄어들어 백연(증기) 제거 장치가 필요 없고 그냥 보수에 집중하는 것으로 결정해서 일을 진행했습니다."]
고양지사 직원들이 현장에 처음 도착한 시간은 신고가 접수된 지 40분이나 지난 뒤였습니다.
늑장 대응에 더해 신속 복구에 필수적인 열 수증기 제거 장비는 사용조차 못한 겁니다.
[최OO/사고 현장 인근 주민/음성변조 : "연기가 쫙... 사람들이 '불났다' 이럴 정도로. 상상을 못 하는 거죠. 온도가, 수증기가 그렇게 올라올 거라는..."]
난방공사는 한 대에 3천만 원 하는 이 장비를 지난해 11월, 고양지사에 들여놨습니다.
사고에 대비해 사들였지만, 정작 아무런 소용이 없었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년 째 창고에만…‘고열증기 제거장치’ 출동조차 안했다
-
- 입력 2018-12-07 07:27:39
- 수정2018-12-07 07:36:44
[앵커]
그제 일어난 경기 고양시 온수관 파열 사고에 대해 경찰이 지역난방공사에 과실이 있는지 여부를 수사하고 있는데요.
지역난방공사는 이런 사고가 났을때 쓰려고 사 놓은 '증기 제거장치'도 사고 현장에 투입하지 않았던 걸로 KBS 취재 결과 드러났습니다.
박원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펄펄 끓는 물 위로 섭씨 100도가 넘는 두꺼운 증기가 시야를 가립니다.
앞도 잘 보이지 않지만 소방관들은 화상 위험을 무릅쓰고 구조에 나섭니다.
[이봉영/경기 일산소방서장/지난 4일 : "수증기가 꽉 차 있는 상태에서 각 건물마다 다 (소방관을) 투입해서 옥상으로 방송을 해서 대피하도록 하고..."]
지역난방공사는 이런 사고가 났을때 복구와 구조 작업에 쓰기 위해 '고열 수증기 제거 장치'란 걸 갖고 있습니다.
초저습도 공기 등을 분사해 뜨거운 증기를 순식간에 찬 물방울로 만들어 날려버리는 장비입니다.
하지만 KBS 취재 결과, 이 장비는 구조, 복구 작업이 한창일 당시 사고 지점에서 약 5km 떨어진 보관창고에 그대로 방치돼 있었습니다.
무게 500kg인 이 장비를 화물차에 실어 나르려면 소형 크레인 같은 민간 장비 임대업체를 불러야 하는데 이조차도 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밸브 차단 후 물 빼기 작업이 진행되면서 스팀(증기)이 급격히 줄어들어 백연(증기) 제거 장치가 필요 없고 그냥 보수에 집중하는 것으로 결정해서 일을 진행했습니다."]
고양지사 직원들이 현장에 처음 도착한 시간은 신고가 접수된 지 40분이나 지난 뒤였습니다.
늑장 대응에 더해 신속 복구에 필수적인 열 수증기 제거 장비는 사용조차 못한 겁니다.
[최OO/사고 현장 인근 주민/음성변조 : "연기가 쫙... 사람들이 '불났다' 이럴 정도로. 상상을 못 하는 거죠. 온도가, 수증기가 그렇게 올라올 거라는..."]
난방공사는 한 대에 3천만 원 하는 이 장비를 지난해 11월, 고양지사에 들여놨습니다.
사고에 대비해 사들였지만, 정작 아무런 소용이 없었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그제 일어난 경기 고양시 온수관 파열 사고에 대해 경찰이 지역난방공사에 과실이 있는지 여부를 수사하고 있는데요.
지역난방공사는 이런 사고가 났을때 쓰려고 사 놓은 '증기 제거장치'도 사고 현장에 투입하지 않았던 걸로 KBS 취재 결과 드러났습니다.
박원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펄펄 끓는 물 위로 섭씨 100도가 넘는 두꺼운 증기가 시야를 가립니다.
앞도 잘 보이지 않지만 소방관들은 화상 위험을 무릅쓰고 구조에 나섭니다.
[이봉영/경기 일산소방서장/지난 4일 : "수증기가 꽉 차 있는 상태에서 각 건물마다 다 (소방관을) 투입해서 옥상으로 방송을 해서 대피하도록 하고..."]
지역난방공사는 이런 사고가 났을때 복구와 구조 작업에 쓰기 위해 '고열 수증기 제거 장치'란 걸 갖고 있습니다.
초저습도 공기 등을 분사해 뜨거운 증기를 순식간에 찬 물방울로 만들어 날려버리는 장비입니다.
하지만 KBS 취재 결과, 이 장비는 구조, 복구 작업이 한창일 당시 사고 지점에서 약 5km 떨어진 보관창고에 그대로 방치돼 있었습니다.
무게 500kg인 이 장비를 화물차에 실어 나르려면 소형 크레인 같은 민간 장비 임대업체를 불러야 하는데 이조차도 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밸브 차단 후 물 빼기 작업이 진행되면서 스팀(증기)이 급격히 줄어들어 백연(증기) 제거 장치가 필요 없고 그냥 보수에 집중하는 것으로 결정해서 일을 진행했습니다."]
고양지사 직원들이 현장에 처음 도착한 시간은 신고가 접수된 지 40분이나 지난 뒤였습니다.
늑장 대응에 더해 신속 복구에 필수적인 열 수증기 제거 장비는 사용조차 못한 겁니다.
[최OO/사고 현장 인근 주민/음성변조 : "연기가 쫙... 사람들이 '불났다' 이럴 정도로. 상상을 못 하는 거죠. 온도가, 수증기가 그렇게 올라올 거라는..."]
난방공사는 한 대에 3천만 원 하는 이 장비를 지난해 11월, 고양지사에 들여놨습니다.
사고에 대비해 사들였지만, 정작 아무런 소용이 없었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
-
박원기 기자 remember@kbs.co.kr
박원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