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나오토 “오염수 통제, 새빨간 ‘거짓말’…‘해양방류’ 안 돼”
입력 2021.03.11 (21:42)
수정 2021.03.11 (2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동일본 대지진 당시 사고 수습을 책임졌던 간 나오토 전 총리를 KBS 도쿄 특파원이 만났습니다.
오염수가 통제되고 있다는 아베 전 총리의 주장은 '거짓말'이라면서 특히, 위험천만한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내면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황현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간 나오토 전 총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인재가 부른 대참사'였다고 회고했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일본은 지진과 지진해일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입니다. 그런데도 원전 사고는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180도 잘못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정권을 넘겨받은 아베 전 총리는 사고 2년여 만에 원전 안전을 선언했습니다.
[아베 신조/전 일본 총리/2013년 9월 : "일부가 후쿠시마에 대해 우려하고 있지만, 오염은 통제되고 있다고 장담합니다."]
그러나 간 전 총리는 이를 도쿄올림픽 유치를 위해 국제사회를 속인 거라고 일축했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통제하고 있다'는 말은 새빨간 거짓말입니다. 농도와 상관없이 (지하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냈습니다. 태평양은 넓으니까 묽어질 거라면서..."]
현재 원전 주변에 보관 중인 오염수는 124만 톤.
이미 저장 공간의 90% 넘게 차올랐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스가 총리는 빠른 단계에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후쿠시마에서 잡힌 생선에 대해 한국도 엄격한 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탱크에 보관해 (삼중수소) 수치가 충분히 내려간 시점에 방류해도 되지 않을까."]
이를 위해 당초 원자로 7,8호기를 지으려 했던 빈 땅에 저장 탱크를 더 세워야 한다고 했습니다.
원전 사고를 계기로 '탈원전론자'로 변신한 간 전 총리.
안전한 원전은 없다고 강조합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원전 사고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릅니다. 그러나 언젠가 어디선가 일어납니다. 원전 유지 정책은 틀렸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채상우
동일본 대지진 당시 사고 수습을 책임졌던 간 나오토 전 총리를 KBS 도쿄 특파원이 만났습니다.
오염수가 통제되고 있다는 아베 전 총리의 주장은 '거짓말'이라면서 특히, 위험천만한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내면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황현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간 나오토 전 총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인재가 부른 대참사'였다고 회고했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일본은 지진과 지진해일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입니다. 그런데도 원전 사고는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180도 잘못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정권을 넘겨받은 아베 전 총리는 사고 2년여 만에 원전 안전을 선언했습니다.
[아베 신조/전 일본 총리/2013년 9월 : "일부가 후쿠시마에 대해 우려하고 있지만, 오염은 통제되고 있다고 장담합니다."]
그러나 간 전 총리는 이를 도쿄올림픽 유치를 위해 국제사회를 속인 거라고 일축했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통제하고 있다'는 말은 새빨간 거짓말입니다. 농도와 상관없이 (지하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냈습니다. 태평양은 넓으니까 묽어질 거라면서..."]
현재 원전 주변에 보관 중인 오염수는 124만 톤.
이미 저장 공간의 90% 넘게 차올랐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스가 총리는 빠른 단계에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후쿠시마에서 잡힌 생선에 대해 한국도 엄격한 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탱크에 보관해 (삼중수소) 수치가 충분히 내려간 시점에 방류해도 되지 않을까."]
이를 위해 당초 원자로 7,8호기를 지으려 했던 빈 땅에 저장 탱크를 더 세워야 한다고 했습니다.
원전 사고를 계기로 '탈원전론자'로 변신한 간 전 총리.
안전한 원전은 없다고 강조합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원전 사고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릅니다. 그러나 언젠가 어디선가 일어납니다. 원전 유지 정책은 틀렸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간 나오토 “오염수 통제, 새빨간 ‘거짓말’…‘해양방류’ 안 돼”
-
- 입력 2021-03-11 21:42:18
- 수정2021-03-11 22:13:56

[앵커]
동일본 대지진 당시 사고 수습을 책임졌던 간 나오토 전 총리를 KBS 도쿄 특파원이 만났습니다.
오염수가 통제되고 있다는 아베 전 총리의 주장은 '거짓말'이라면서 특히, 위험천만한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내면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황현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간 나오토 전 총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인재가 부른 대참사'였다고 회고했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일본은 지진과 지진해일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입니다. 그런데도 원전 사고는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180도 잘못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정권을 넘겨받은 아베 전 총리는 사고 2년여 만에 원전 안전을 선언했습니다.
[아베 신조/전 일본 총리/2013년 9월 : "일부가 후쿠시마에 대해 우려하고 있지만, 오염은 통제되고 있다고 장담합니다."]
그러나 간 전 총리는 이를 도쿄올림픽 유치를 위해 국제사회를 속인 거라고 일축했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통제하고 있다'는 말은 새빨간 거짓말입니다. 농도와 상관없이 (지하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냈습니다. 태평양은 넓으니까 묽어질 거라면서..."]
현재 원전 주변에 보관 중인 오염수는 124만 톤.
이미 저장 공간의 90% 넘게 차올랐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스가 총리는 빠른 단계에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후쿠시마에서 잡힌 생선에 대해 한국도 엄격한 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탱크에 보관해 (삼중수소) 수치가 충분히 내려간 시점에 방류해도 되지 않을까."]
이를 위해 당초 원자로 7,8호기를 지으려 했던 빈 땅에 저장 탱크를 더 세워야 한다고 했습니다.
원전 사고를 계기로 '탈원전론자'로 변신한 간 전 총리.
안전한 원전은 없다고 강조합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원전 사고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릅니다. 그러나 언젠가 어디선가 일어납니다. 원전 유지 정책은 틀렸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채상우
동일본 대지진 당시 사고 수습을 책임졌던 간 나오토 전 총리를 KBS 도쿄 특파원이 만났습니다.
오염수가 통제되고 있다는 아베 전 총리의 주장은 '거짓말'이라면서 특히, 위험천만한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내면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황현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간 나오토 전 총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인재가 부른 대참사'였다고 회고했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일본은 지진과 지진해일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입니다. 그런데도 원전 사고는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180도 잘못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정권을 넘겨받은 아베 전 총리는 사고 2년여 만에 원전 안전을 선언했습니다.
[아베 신조/전 일본 총리/2013년 9월 : "일부가 후쿠시마에 대해 우려하고 있지만, 오염은 통제되고 있다고 장담합니다."]
그러나 간 전 총리는 이를 도쿄올림픽 유치를 위해 국제사회를 속인 거라고 일축했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통제하고 있다'는 말은 새빨간 거짓말입니다. 농도와 상관없이 (지하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냈습니다. 태평양은 넓으니까 묽어질 거라면서..."]
현재 원전 주변에 보관 중인 오염수는 124만 톤.
이미 저장 공간의 90% 넘게 차올랐습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스가 총리는 빠른 단계에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후쿠시마에서 잡힌 생선에 대해 한국도 엄격한 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탱크에 보관해 (삼중수소) 수치가 충분히 내려간 시점에 방류해도 되지 않을까."]
이를 위해 당초 원자로 7,8호기를 지으려 했던 빈 땅에 저장 탱크를 더 세워야 한다고 했습니다.
원전 사고를 계기로 '탈원전론자'로 변신한 간 전 총리.
안전한 원전은 없다고 강조합니다.
[간 나오토/전 일본 총리 : "원전 사고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릅니다. 그러나 언젠가 어디선가 일어납니다. 원전 유지 정책은 틀렸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채상우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