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돋보기] 돌아온 마르코스 일가…‘독재자의 아들’은 왜 압승했나?

입력 2022.05.12 (10:53) 수정 2022.05.12 (11: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필리핀의 차기 대통령으로 '마르코스 주니어' 후보가 사실상 당선됐습니다.

이름이 낯설지 않죠, 사치와 부정 축재의 대명사였던 마르코스 전 대통령과 이멜다의 아들인데요,

36년 만에 돌아온 마르코스, 필리핀 국민들은 왜 다시 마르코스를 선택했을까요?

<지구촌 돋보기> 홍석우 기자와 함께 짚어봅니다.

먼저, 대선 결과부터 정리해볼까요?

[기자]

네, 판세는 일찌감치 기울어졌습니다.

마르코스 주니어는 선거 기간 내내 여론조사 지지율이 1위였고요,

선거에서도 압도적 득표율을 기록했습니다.

공식 발표는 이달 말 예정돼 있는데요.

경쟁 후보와의 표차가 두 배가 넘어 당선이 확실한 상황입니다.

[마르코스 주니어/필리핀 대통령 후보 : "(이번 대선 결과는) 하나 된 필리핀, 마르코스·두테르테 연합에 대한 국민의 믿음 덕분입니다."]

[앵커]

아버지 마르코스가 어떤 사람인지부터 짚어보죠.

[기자]

네, 아버지 마르코스는 1965년부터 20여 년 동안 필리핀 대통령 권좌에 있었던 독재자인데요.

1965년엔 필리핀의 국민 소득이 우리나라의 2배 가까이 됐었습니다.

아시아에서 잘 살던 나라, 그래서 장충체육관을 필리핀에서 지어줬다는 루머도 돌았었죠,

1972년 마르코스는 장기 집권 야욕에 계엄령을 선포하는데요,

무려 9년이나 이어집니다.

이 기간 반체제 인사 등 7만여 명이 체포됐고, 이중 절반이 고문 피해를 당했으며 3천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고문 피해자 : "그들은 쇠붙이 같은 거로 제 발바닥을 고문했고, 저는 고통에 울부짖었습니다. 제 친구는 손발이 묶인 채 수영장에 던져졌습니다."]

[앵커]

그런데 아내 '이멜다'의 사치가 또 유명했잖아요?

구두만 3천 켤레였다고 들었는데요.

[기자]

네, 1986년 국민들 손에 쫓겨난 마르코스 일가는 하와이로 망명길에 올랐는데요,

당시 대통령 궁에서 옷과 구두가 헤아릴 수 없이 쏟아져 나왔다고 합니다.

값비싼 보석도 750점이나 발견됐다고 하고요.

그런데 남편 마르코스 사후, 이멜다는 필리핀으로 돌아와 하원의원을 3번이나 합니다.

사치는 여전했고, 2018년 2천400억 원가량의 횡령 혐의가 인정돼 징역 77년형을 선고받는데, 불과 15만 페소, 당시 우리 돈 320만 원만 내고 보석이 허가됐습니다. 풀려난 거죠.

그리고 이멜다는 이번엔 대통령의 어머니로 다시 돌아온 겁니다.

[앵커]

와...이유가 뭘까요?

[기자]

마르코스 주니어는 주지사와 상원의원을 거치면서 애칭이 있습니다.

'봉봉'이라고 불리는데, 친근하고 서민적인 이미지로 다가갔다고 하네요.

마르코스 주니어는 선거에, 이 이미지를 적극 활용했고, 특히 SNS 홍보에 공을 많이 들였다고 합니다.

그 결과, 어두운 과거를 겪어보지 않은, 10대, 20대, 30대 젊은 층에서 지지율이 높게 나타났는데요.

[마르코스 주니어 지지자/19살 : "마르코스 주니어는 그의 아버지와 완전히 다르다고 믿습니다."]

마르코스 주니어는 더 나은 일자리와 경제 위기 극복을 외치면서 국민 통합을 강조해왔는데요,

기성 세대에서도, 오랜 경기 침체에 지쳐 마르코스 독재 시절이 오히려 더 나았다는 향수도 작용했다고 합니다.

[앵커]

결국엔 '먹고 사는 문제'가 영향을 준 거군요?

[기자]

그렇죠,

우선 코로나 여파로, 2020년에 필리핀은 마이너스 9.6% 역성장을 했습니다.

1인당 국민소득은 한국의 10분의 1 수준으로 추락했고요.

그런데 민주화 이후 필리핀 경기가 계속 좋지가 않았거든요,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무섭게 성장하는 동안 필리핀만 1인당 국민소득이 줄었습니다.

2003년까지, 20년간 정체된 거 보이시죠, 지금도 1인당 국민소득이 3,300달러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마르코스 독재 시절엔 경제가 좋았었나요?

[기자]

경제 지표를 보면 조금씩 오르긴 했었습니다.

그런데 마르코스 집권 초엔 국민소득이 한국의 2배였는데 축출될 때는 5분의 1수준으로 줄었으니까 잘했다고 보기는 힘들죠.

이번 대선 결과를 놓고 여러 분석이 나오는데요,

AFP통신은 왕조 정치에 열광하는 필리핀 특유의 정치 문화, '마르코스 집권 시절이 황금기였다'는 마르코스 주니어의 SNS 선거 전략, 이 두 가지를 성공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한편 반대 시위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과거 청산이 제대로 이뤄지지도 않았는데, 그 장본인이나 다름없는 마르코스 주니어가 잘 할 수 있겠냐는 겁니다.

마르코스 일가가 집권 당시 부정 축재한 재산은 12조 원으로 추산되고 있는데요,

지금까지 환수된 건 1/3 남짓입니다.

[앵커]

필리핀의 앞날, 어떻게 흘러갈까요?

홍석우 기자, 잘 들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구촌 돋보기] 돌아온 마르코스 일가…‘독재자의 아들’은 왜 압승했나?
    • 입력 2022-05-12 10:53:16
    • 수정2022-05-12 11:03:37
    지구촌뉴스
[앵커]

필리핀의 차기 대통령으로 '마르코스 주니어' 후보가 사실상 당선됐습니다.

이름이 낯설지 않죠, 사치와 부정 축재의 대명사였던 마르코스 전 대통령과 이멜다의 아들인데요,

36년 만에 돌아온 마르코스, 필리핀 국민들은 왜 다시 마르코스를 선택했을까요?

<지구촌 돋보기> 홍석우 기자와 함께 짚어봅니다.

먼저, 대선 결과부터 정리해볼까요?

[기자]

네, 판세는 일찌감치 기울어졌습니다.

마르코스 주니어는 선거 기간 내내 여론조사 지지율이 1위였고요,

선거에서도 압도적 득표율을 기록했습니다.

공식 발표는 이달 말 예정돼 있는데요.

경쟁 후보와의 표차가 두 배가 넘어 당선이 확실한 상황입니다.

[마르코스 주니어/필리핀 대통령 후보 : "(이번 대선 결과는) 하나 된 필리핀, 마르코스·두테르테 연합에 대한 국민의 믿음 덕분입니다."]

[앵커]

아버지 마르코스가 어떤 사람인지부터 짚어보죠.

[기자]

네, 아버지 마르코스는 1965년부터 20여 년 동안 필리핀 대통령 권좌에 있었던 독재자인데요.

1965년엔 필리핀의 국민 소득이 우리나라의 2배 가까이 됐었습니다.

아시아에서 잘 살던 나라, 그래서 장충체육관을 필리핀에서 지어줬다는 루머도 돌았었죠,

1972년 마르코스는 장기 집권 야욕에 계엄령을 선포하는데요,

무려 9년이나 이어집니다.

이 기간 반체제 인사 등 7만여 명이 체포됐고, 이중 절반이 고문 피해를 당했으며 3천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고문 피해자 : "그들은 쇠붙이 같은 거로 제 발바닥을 고문했고, 저는 고통에 울부짖었습니다. 제 친구는 손발이 묶인 채 수영장에 던져졌습니다."]

[앵커]

그런데 아내 '이멜다'의 사치가 또 유명했잖아요?

구두만 3천 켤레였다고 들었는데요.

[기자]

네, 1986년 국민들 손에 쫓겨난 마르코스 일가는 하와이로 망명길에 올랐는데요,

당시 대통령 궁에서 옷과 구두가 헤아릴 수 없이 쏟아져 나왔다고 합니다.

값비싼 보석도 750점이나 발견됐다고 하고요.

그런데 남편 마르코스 사후, 이멜다는 필리핀으로 돌아와 하원의원을 3번이나 합니다.

사치는 여전했고, 2018년 2천400억 원가량의 횡령 혐의가 인정돼 징역 77년형을 선고받는데, 불과 15만 페소, 당시 우리 돈 320만 원만 내고 보석이 허가됐습니다. 풀려난 거죠.

그리고 이멜다는 이번엔 대통령의 어머니로 다시 돌아온 겁니다.

[앵커]

와...이유가 뭘까요?

[기자]

마르코스 주니어는 주지사와 상원의원을 거치면서 애칭이 있습니다.

'봉봉'이라고 불리는데, 친근하고 서민적인 이미지로 다가갔다고 하네요.

마르코스 주니어는 선거에, 이 이미지를 적극 활용했고, 특히 SNS 홍보에 공을 많이 들였다고 합니다.

그 결과, 어두운 과거를 겪어보지 않은, 10대, 20대, 30대 젊은 층에서 지지율이 높게 나타났는데요.

[마르코스 주니어 지지자/19살 : "마르코스 주니어는 그의 아버지와 완전히 다르다고 믿습니다."]

마르코스 주니어는 더 나은 일자리와 경제 위기 극복을 외치면서 국민 통합을 강조해왔는데요,

기성 세대에서도, 오랜 경기 침체에 지쳐 마르코스 독재 시절이 오히려 더 나았다는 향수도 작용했다고 합니다.

[앵커]

결국엔 '먹고 사는 문제'가 영향을 준 거군요?

[기자]

그렇죠,

우선 코로나 여파로, 2020년에 필리핀은 마이너스 9.6% 역성장을 했습니다.

1인당 국민소득은 한국의 10분의 1 수준으로 추락했고요.

그런데 민주화 이후 필리핀 경기가 계속 좋지가 않았거든요,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무섭게 성장하는 동안 필리핀만 1인당 국민소득이 줄었습니다.

2003년까지, 20년간 정체된 거 보이시죠, 지금도 1인당 국민소득이 3,300달러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마르코스 독재 시절엔 경제가 좋았었나요?

[기자]

경제 지표를 보면 조금씩 오르긴 했었습니다.

그런데 마르코스 집권 초엔 국민소득이 한국의 2배였는데 축출될 때는 5분의 1수준으로 줄었으니까 잘했다고 보기는 힘들죠.

이번 대선 결과를 놓고 여러 분석이 나오는데요,

AFP통신은 왕조 정치에 열광하는 필리핀 특유의 정치 문화, '마르코스 집권 시절이 황금기였다'는 마르코스 주니어의 SNS 선거 전략, 이 두 가지를 성공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한편 반대 시위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과거 청산이 제대로 이뤄지지도 않았는데, 그 장본인이나 다름없는 마르코스 주니어가 잘 할 수 있겠냐는 겁니다.

마르코스 일가가 집권 당시 부정 축재한 재산은 12조 원으로 추산되고 있는데요,

지금까지 환수된 건 1/3 남짓입니다.

[앵커]

필리핀의 앞날, 어떻게 흘러갈까요?

홍석우 기자, 잘 들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