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구조·열쇠 따기가 인명 구조 걸림돌
입력 2005.08.23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19 구조대가 엉뚱한 일에 시간을 뺏기고 있습니다.
동물을 구조해 달라거나 잠긴 문을 열어달라는 요청이 늘어나고 있어서 본업인 인명구조 활동에 방해를 받고 있습니다.
최서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주택가에 고양이를 붙잡아가달라는 신고전화가 119에 걸려옵니다.
⊙119 신고 전화: 차 밑에 고양이가 끼여 있어요.
⊙인터뷰: 죽었나요?
⊙119 신고 전화: 아니, 살아있어요.
야옹야옹 울어요.
⊙기자: 출동한 구조대원들이 집 담벼락에 숨어든 고양이를 꺼냅니다.
주택 여기저기를 쏘다니던 고양이들이 잇따라 붙잡힙니다.
버려진 개 구조에서 벌집 제거에 이르기까지.
이 같은 동물구조 요청은 해마다 크게 늘어 최근 5년 사이 2배로 증가했습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서울소방방재본부가 벌인 동물구조 활동은 3400여 건으로 전체 구조활동의 13%를 차지합니다.
여기에 잠긴 문을 열어달라는 요청도 무려 5200여 건에 이르러 두 가지 경우만도 전체 출동 건수의 32%나 차지합니다.
교통사고 인명 구조의 3배, 화재사고 인명 구조의 1.2배입니다.
⊙김덕용(종로소방서 119구조대 부대장): 그런 신고 때문에 다른 중요한 인명구조나 화재출동을 저희들이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자: 소방방재본부는 위급한 인명을 구조하는 데 더욱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일반 민원에 대해서는 긴급 상황에 한해서만 출동하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최서희입니다.
동물을 구조해 달라거나 잠긴 문을 열어달라는 요청이 늘어나고 있어서 본업인 인명구조 활동에 방해를 받고 있습니다.
최서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주택가에 고양이를 붙잡아가달라는 신고전화가 119에 걸려옵니다.
⊙119 신고 전화: 차 밑에 고양이가 끼여 있어요.
⊙인터뷰: 죽었나요?
⊙119 신고 전화: 아니, 살아있어요.
야옹야옹 울어요.
⊙기자: 출동한 구조대원들이 집 담벼락에 숨어든 고양이를 꺼냅니다.
주택 여기저기를 쏘다니던 고양이들이 잇따라 붙잡힙니다.
버려진 개 구조에서 벌집 제거에 이르기까지.
이 같은 동물구조 요청은 해마다 크게 늘어 최근 5년 사이 2배로 증가했습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서울소방방재본부가 벌인 동물구조 활동은 3400여 건으로 전체 구조활동의 13%를 차지합니다.
여기에 잠긴 문을 열어달라는 요청도 무려 5200여 건에 이르러 두 가지 경우만도 전체 출동 건수의 32%나 차지합니다.
교통사고 인명 구조의 3배, 화재사고 인명 구조의 1.2배입니다.
⊙김덕용(종로소방서 119구조대 부대장): 그런 신고 때문에 다른 중요한 인명구조나 화재출동을 저희들이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자: 소방방재본부는 위급한 인명을 구조하는 데 더욱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일반 민원에 대해서는 긴급 상황에 한해서만 출동하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최서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물 구조·열쇠 따기가 인명 구조 걸림돌
-
- 입력 2005-08-23 21:33:48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119 구조대가 엉뚱한 일에 시간을 뺏기고 있습니다.
동물을 구조해 달라거나 잠긴 문을 열어달라는 요청이 늘어나고 있어서 본업인 인명구조 활동에 방해를 받고 있습니다.
최서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주택가에 고양이를 붙잡아가달라는 신고전화가 119에 걸려옵니다.
⊙119 신고 전화: 차 밑에 고양이가 끼여 있어요.
⊙인터뷰: 죽었나요?
⊙119 신고 전화: 아니, 살아있어요.
야옹야옹 울어요.
⊙기자: 출동한 구조대원들이 집 담벼락에 숨어든 고양이를 꺼냅니다.
주택 여기저기를 쏘다니던 고양이들이 잇따라 붙잡힙니다.
버려진 개 구조에서 벌집 제거에 이르기까지.
이 같은 동물구조 요청은 해마다 크게 늘어 최근 5년 사이 2배로 증가했습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서울소방방재본부가 벌인 동물구조 활동은 3400여 건으로 전체 구조활동의 13%를 차지합니다.
여기에 잠긴 문을 열어달라는 요청도 무려 5200여 건에 이르러 두 가지 경우만도 전체 출동 건수의 32%나 차지합니다.
교통사고 인명 구조의 3배, 화재사고 인명 구조의 1.2배입니다.
⊙김덕용(종로소방서 119구조대 부대장): 그런 신고 때문에 다른 중요한 인명구조나 화재출동을 저희들이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자: 소방방재본부는 위급한 인명을 구조하는 데 더욱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일반 민원에 대해서는 긴급 상황에 한해서만 출동하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최서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