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합시다] 중재자라더니 러시아와 짬짜미?…“튀르키예, 전쟁 물자 ‘우회 수출’”
입력 2023.11.28 (18:31)
수정 2023.11.28 (18: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엔 '겉 다르고 속 다르다'는 말이 생각나는 뉴스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중재자로 나선 튀르키예가, 뒤로는 러시아에 전쟁 물자를 팔고 있다는 의혹이 나왔습니다.
영국 언론, 파이낸셜타임스 보도인데요.
반도체 칩, 통신 장비, 망원경 등 45개 품목은 현재 러시아 수출이 막혀 있습니다.
미국 등이 통제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튀르키예가 최근 1년 동안 통제 품목 2천억여 원어치를 아제르바이잔 등 5개 나라에 수출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전보다 5배 넘게 급증한 수치인데, 아제르바이잔 등을 거쳐 러시아로 흘러갔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의혹의 뼈대입니다.
의심의 근거는 더 있습니다.
튀르키예와 카자흐스탄, 두 나라의 무역 장부를 보겠습니다.
튀르키예 쪽에선 850억여 원어치 수출했다고 적었는데, 카자흐스탄 쪽 기록엔 80억 원어치 수입한 게 전부였습니다.
나머지는 어디로 갔을까요.
튀르키예가 '중재자'와 '판매자' 이중 역할을 하며 돈을 번다는 의심이 불가피해 보이죠.
미국 재무부 차관이 현재 튀르키예를 방문 중인데, 어떤 설명을 할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중재자로 나선 튀르키예가, 뒤로는 러시아에 전쟁 물자를 팔고 있다는 의혹이 나왔습니다.
영국 언론, 파이낸셜타임스 보도인데요.
반도체 칩, 통신 장비, 망원경 등 45개 품목은 현재 러시아 수출이 막혀 있습니다.
미국 등이 통제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튀르키예가 최근 1년 동안 통제 품목 2천억여 원어치를 아제르바이잔 등 5개 나라에 수출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전보다 5배 넘게 급증한 수치인데, 아제르바이잔 등을 거쳐 러시아로 흘러갔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의혹의 뼈대입니다.
의심의 근거는 더 있습니다.
튀르키예와 카자흐스탄, 두 나라의 무역 장부를 보겠습니다.
튀르키예 쪽에선 850억여 원어치 수출했다고 적었는데, 카자흐스탄 쪽 기록엔 80억 원어치 수입한 게 전부였습니다.
나머지는 어디로 갔을까요.
튀르키예가 '중재자'와 '판매자' 이중 역할을 하며 돈을 번다는 의심이 불가피해 보이죠.
미국 재무부 차관이 현재 튀르키예를 방문 중인데, 어떤 설명을 할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제합시다] 중재자라더니 러시아와 짬짜미?…“튀르키예, 전쟁 물자 ‘우회 수출’”
-
- 입력 2023-11-28 18:31:48
- 수정2023-11-28 18:36:34

이번엔 '겉 다르고 속 다르다'는 말이 생각나는 뉴스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중재자로 나선 튀르키예가, 뒤로는 러시아에 전쟁 물자를 팔고 있다는 의혹이 나왔습니다.
영국 언론, 파이낸셜타임스 보도인데요.
반도체 칩, 통신 장비, 망원경 등 45개 품목은 현재 러시아 수출이 막혀 있습니다.
미국 등이 통제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튀르키예가 최근 1년 동안 통제 품목 2천억여 원어치를 아제르바이잔 등 5개 나라에 수출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전보다 5배 넘게 급증한 수치인데, 아제르바이잔 등을 거쳐 러시아로 흘러갔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의혹의 뼈대입니다.
의심의 근거는 더 있습니다.
튀르키예와 카자흐스탄, 두 나라의 무역 장부를 보겠습니다.
튀르키예 쪽에선 850억여 원어치 수출했다고 적었는데, 카자흐스탄 쪽 기록엔 80억 원어치 수입한 게 전부였습니다.
나머지는 어디로 갔을까요.
튀르키예가 '중재자'와 '판매자' 이중 역할을 하며 돈을 번다는 의심이 불가피해 보이죠.
미국 재무부 차관이 현재 튀르키예를 방문 중인데, 어떤 설명을 할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중재자로 나선 튀르키예가, 뒤로는 러시아에 전쟁 물자를 팔고 있다는 의혹이 나왔습니다.
영국 언론, 파이낸셜타임스 보도인데요.
반도체 칩, 통신 장비, 망원경 등 45개 품목은 현재 러시아 수출이 막혀 있습니다.
미국 등이 통제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튀르키예가 최근 1년 동안 통제 품목 2천억여 원어치를 아제르바이잔 등 5개 나라에 수출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전보다 5배 넘게 급증한 수치인데, 아제르바이잔 등을 거쳐 러시아로 흘러갔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의혹의 뼈대입니다.
의심의 근거는 더 있습니다.
튀르키예와 카자흐스탄, 두 나라의 무역 장부를 보겠습니다.
튀르키예 쪽에선 850억여 원어치 수출했다고 적었는데, 카자흐스탄 쪽 기록엔 80억 원어치 수입한 게 전부였습니다.
나머지는 어디로 갔을까요.
튀르키예가 '중재자'와 '판매자' 이중 역할을 하며 돈을 번다는 의심이 불가피해 보이죠.
미국 재무부 차관이 현재 튀르키예를 방문 중인데, 어떤 설명을 할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