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서울아산병원 ‘주 1회 휴진’ 결정…정부 “의료계 1대 1 대화도 거절”
입력 2024.04.23 (21:50)
수정 2024.04.23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이 교수들의 피로 누적 등을 이유로 다음 주부터 주 1회 휴진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의료계와의 1대1 대화는 거절당했다며, 의료개혁 특위가 출범하는 모레(25일)까지 입장 변화를 호소했습니다.
정해주 기잡니다.
[리포트]
전국 주요 의과대학 교수들이 일주일에 한 번 휴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일단, 의대 교수들은 다음 주 중 하루를 휴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빅5 병원' 가운데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은 다음 주부터 주 1회 휴진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평일에 하루씩 정해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하고 응급 수술만 하는 방식입니다.
교수들은 전공의 사직 이후 두달 간 피로가 누적돼 더 이상은 버티기 힘들다고 했습니다.
[최창민/전국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장 : "사고날 것 같아요. 이렇게 계속 하다 보면...병동 환자 보는 시간은 줄일 수가 없고, 그러면 외래라도 줄여야죠."]
지방 대학병원 중에는 충북대병원이 이달 초부터 금요일 휴진에 들어간데 이어, 충남대와 원광대병원은 이번 주부터 매주 금요일 진료를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이틀 뒤인 모레부터는 의대 교수들의 대규모 이탈도 예상됩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서를 낸 지 한 달이 되는 시점입니다.
정부는 의료계에 '원점 재검토'만 고집하지 말고 대화에 나서달라고 했습니다.
[장상윤/대통령실 사회수석 : "(의료계가)원점 재논의만 주장하며 1:1 대화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의료계는 지금이라도 어떤 형식이든 무슨 주제이든 대화의 자리에 나와..."]
또, 모레 의료개혁 특위 출범 전까지 전향적인 입장을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각 대학에서 의대 정원을 조정할 수 있게 한 데 대해서는, 숫자에 얽매이지 않은 결단이라면서도 증원 원칙을 어긴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정해주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지훈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이 교수들의 피로 누적 등을 이유로 다음 주부터 주 1회 휴진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의료계와의 1대1 대화는 거절당했다며, 의료개혁 특위가 출범하는 모레(25일)까지 입장 변화를 호소했습니다.
정해주 기잡니다.
[리포트]
전국 주요 의과대학 교수들이 일주일에 한 번 휴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일단, 의대 교수들은 다음 주 중 하루를 휴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빅5 병원' 가운데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은 다음 주부터 주 1회 휴진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평일에 하루씩 정해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하고 응급 수술만 하는 방식입니다.
교수들은 전공의 사직 이후 두달 간 피로가 누적돼 더 이상은 버티기 힘들다고 했습니다.
[최창민/전국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장 : "사고날 것 같아요. 이렇게 계속 하다 보면...병동 환자 보는 시간은 줄일 수가 없고, 그러면 외래라도 줄여야죠."]
지방 대학병원 중에는 충북대병원이 이달 초부터 금요일 휴진에 들어간데 이어, 충남대와 원광대병원은 이번 주부터 매주 금요일 진료를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이틀 뒤인 모레부터는 의대 교수들의 대규모 이탈도 예상됩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서를 낸 지 한 달이 되는 시점입니다.
정부는 의료계에 '원점 재검토'만 고집하지 말고 대화에 나서달라고 했습니다.
[장상윤/대통령실 사회수석 : "(의료계가)원점 재논의만 주장하며 1:1 대화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의료계는 지금이라도 어떤 형식이든 무슨 주제이든 대화의 자리에 나와..."]
또, 모레 의료개혁 특위 출범 전까지 전향적인 입장을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각 대학에서 의대 정원을 조정할 수 있게 한 데 대해서는, 숫자에 얽매이지 않은 결단이라면서도 증원 원칙을 어긴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정해주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대·서울아산병원 ‘주 1회 휴진’ 결정…정부 “의료계 1대 1 대화도 거절”
-
- 입력 2024-04-23 21:50:10
- 수정2024-04-23 21:57:51
[앵커]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이 교수들의 피로 누적 등을 이유로 다음 주부터 주 1회 휴진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의료계와의 1대1 대화는 거절당했다며, 의료개혁 특위가 출범하는 모레(25일)까지 입장 변화를 호소했습니다.
정해주 기잡니다.
[리포트]
전국 주요 의과대학 교수들이 일주일에 한 번 휴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일단, 의대 교수들은 다음 주 중 하루를 휴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빅5 병원' 가운데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은 다음 주부터 주 1회 휴진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평일에 하루씩 정해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하고 응급 수술만 하는 방식입니다.
교수들은 전공의 사직 이후 두달 간 피로가 누적돼 더 이상은 버티기 힘들다고 했습니다.
[최창민/전국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장 : "사고날 것 같아요. 이렇게 계속 하다 보면...병동 환자 보는 시간은 줄일 수가 없고, 그러면 외래라도 줄여야죠."]
지방 대학병원 중에는 충북대병원이 이달 초부터 금요일 휴진에 들어간데 이어, 충남대와 원광대병원은 이번 주부터 매주 금요일 진료를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이틀 뒤인 모레부터는 의대 교수들의 대규모 이탈도 예상됩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서를 낸 지 한 달이 되는 시점입니다.
정부는 의료계에 '원점 재검토'만 고집하지 말고 대화에 나서달라고 했습니다.
[장상윤/대통령실 사회수석 : "(의료계가)원점 재논의만 주장하며 1:1 대화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의료계는 지금이라도 어떤 형식이든 무슨 주제이든 대화의 자리에 나와..."]
또, 모레 의료개혁 특위 출범 전까지 전향적인 입장을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각 대학에서 의대 정원을 조정할 수 있게 한 데 대해서는, 숫자에 얽매이지 않은 결단이라면서도 증원 원칙을 어긴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정해주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지훈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이 교수들의 피로 누적 등을 이유로 다음 주부터 주 1회 휴진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의료계와의 1대1 대화는 거절당했다며, 의료개혁 특위가 출범하는 모레(25일)까지 입장 변화를 호소했습니다.
정해주 기잡니다.
[리포트]
전국 주요 의과대학 교수들이 일주일에 한 번 휴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일단, 의대 교수들은 다음 주 중 하루를 휴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빅5 병원' 가운데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은 다음 주부터 주 1회 휴진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평일에 하루씩 정해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하고 응급 수술만 하는 방식입니다.
교수들은 전공의 사직 이후 두달 간 피로가 누적돼 더 이상은 버티기 힘들다고 했습니다.
[최창민/전국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장 : "사고날 것 같아요. 이렇게 계속 하다 보면...병동 환자 보는 시간은 줄일 수가 없고, 그러면 외래라도 줄여야죠."]
지방 대학병원 중에는 충북대병원이 이달 초부터 금요일 휴진에 들어간데 이어, 충남대와 원광대병원은 이번 주부터 매주 금요일 진료를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이틀 뒤인 모레부터는 의대 교수들의 대규모 이탈도 예상됩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서를 낸 지 한 달이 되는 시점입니다.
정부는 의료계에 '원점 재검토'만 고집하지 말고 대화에 나서달라고 했습니다.
[장상윤/대통령실 사회수석 : "(의료계가)원점 재논의만 주장하며 1:1 대화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의료계는 지금이라도 어떤 형식이든 무슨 주제이든 대화의 자리에 나와..."]
또, 모레 의료개혁 특위 출범 전까지 전향적인 입장을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각 대학에서 의대 정원을 조정할 수 있게 한 데 대해서는, 숫자에 얽매이지 않은 결단이라면서도 증원 원칙을 어긴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정해주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지훈
-
-
정해주 기자 seyo@kbs.co.kr
정해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