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한일중 정상 기자회견

입력 2024.05.27 (13:12) 수정 2024.05.27 (13: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 뉴스특보입니다.

4년 5개월 만에 서울에서 만난 한일중 3국이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협력 방향을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에선 주로 인적교류와 경제협력이 논의된 가운데 북한 문제에 대해 3국이 어떤 수준의 표현에 합의했는지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지금부터 한일중 3국 정상회의 기자회견을 들으시겠습니다.

지금부터는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신지혜 기자, 회견 내용을 보면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비정치적인 분야, 그러니까 경제분야나 인적교류가 주로 논의된 거로 보이는데요.

[기자]

기존에도 한일중 회의는 정치나 군사 분야보다는 경제사회 교류를 주로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그렇기에 매번 발표된 공동성명에서도 안보 관련 내용은 늘 맨 뒤에 기술됐습니다.

회견에서 3국 정상은 우선 자주 만나고 소통하자, 신뢰가 있어야 협력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이같은 협력이 3국 국민들의 민생에 보탬이 돼야 한다, 그러니까 실질적으로 체감할 혜택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발언이 있었고요.

구체적으로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무역투자 환경과 안전한 공급망 구축에 협력하기로 했는데, 미중 갈등으로 무역장벽이 높아지고 공급망 불안이 심화하는 상황에서도 3국은 협력하겠다는 점을 강조한 거로 보입니다.

3국이 공히 겪고 있는 고령화 문제라던가 대기오염 해결 등도 언급됐고, 이를 위해 3국뿐 아니라 몽골이나 아세안과도 함께 협력하자는 선언이 나왔습니다.

[앵커]

북한 관련 내용 살펴봅니다.

비핵화라는 표현에 대해, 한일과 중국이 회견에서 온도차를 보였다고 이해해도 되겠습니까?

[기자]

회견에선 '북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표현을 한일 정상이 썼습니다.

핵을 포기해야 하는 주체가 북한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명시한 표현인데, 2018년, 2015년 한일중 공동선언에서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이 나온 것과 차이가 있습니다.

리창 총리는 이와 달리 비핵화라는 표현을 회견에서 사용하지 않았고, 대신 한반도 문제 이해당사자들이 사태 악화를 자제해야 한다는 기존 중국 정부의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다만 3국은 이전 회의와 마찬가지로 한반도 안정과 역내 평화가 서로에게 이익이라는 점은 분명히 했습니다.

최근 한미일 밀착에 대한 중국의 반발과 중러 정상이 북한에 대한 위협이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던 상황을 보면 공동선언에 북한과 관련해 어떤 표현을 사용할지에 대해 막판까지 협의가 있었을 거로 보입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북한의 위성 발사가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중단을 촉구했지만 리창 총리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점도 눈에 띄었습니다.

[앵커]

한일중 정상회의가 4년 5개월 만에 재개되면서 일단 협력 정상화 계기는 마련했다고 볼 수 있을 텐데, 내년에도 열립니까?

[기자]

3국이 논의해야 할 사항인데, 만약 내년 개최에 합의한다면 순번에 따라 일본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한편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리창 총리는 오늘 3개국 경제계가 함께하는 비즈니스 서밋에도 참석해, 경제계 교류도 강조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박주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상] 한일중 정상 기자회견
    • 입력 2024-05-27 13:12:53
    • 수정2024-05-27 13:26:35
    뉴스 12
[앵커]

KBS 뉴스특보입니다.

4년 5개월 만에 서울에서 만난 한일중 3국이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협력 방향을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에선 주로 인적교류와 경제협력이 논의된 가운데 북한 문제에 대해 3국이 어떤 수준의 표현에 합의했는지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지금부터 한일중 3국 정상회의 기자회견을 들으시겠습니다.

지금부터는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신지혜 기자, 회견 내용을 보면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비정치적인 분야, 그러니까 경제분야나 인적교류가 주로 논의된 거로 보이는데요.

[기자]

기존에도 한일중 회의는 정치나 군사 분야보다는 경제사회 교류를 주로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그렇기에 매번 발표된 공동성명에서도 안보 관련 내용은 늘 맨 뒤에 기술됐습니다.

회견에서 3국 정상은 우선 자주 만나고 소통하자, 신뢰가 있어야 협력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이같은 협력이 3국 국민들의 민생에 보탬이 돼야 한다, 그러니까 실질적으로 체감할 혜택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발언이 있었고요.

구체적으로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무역투자 환경과 안전한 공급망 구축에 협력하기로 했는데, 미중 갈등으로 무역장벽이 높아지고 공급망 불안이 심화하는 상황에서도 3국은 협력하겠다는 점을 강조한 거로 보입니다.

3국이 공히 겪고 있는 고령화 문제라던가 대기오염 해결 등도 언급됐고, 이를 위해 3국뿐 아니라 몽골이나 아세안과도 함께 협력하자는 선언이 나왔습니다.

[앵커]

북한 관련 내용 살펴봅니다.

비핵화라는 표현에 대해, 한일과 중국이 회견에서 온도차를 보였다고 이해해도 되겠습니까?

[기자]

회견에선 '북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표현을 한일 정상이 썼습니다.

핵을 포기해야 하는 주체가 북한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명시한 표현인데, 2018년, 2015년 한일중 공동선언에서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이 나온 것과 차이가 있습니다.

리창 총리는 이와 달리 비핵화라는 표현을 회견에서 사용하지 않았고, 대신 한반도 문제 이해당사자들이 사태 악화를 자제해야 한다는 기존 중국 정부의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다만 3국은 이전 회의와 마찬가지로 한반도 안정과 역내 평화가 서로에게 이익이라는 점은 분명히 했습니다.

최근 한미일 밀착에 대한 중국의 반발과 중러 정상이 북한에 대한 위협이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던 상황을 보면 공동선언에 북한과 관련해 어떤 표현을 사용할지에 대해 막판까지 협의가 있었을 거로 보입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북한의 위성 발사가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중단을 촉구했지만 리창 총리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점도 눈에 띄었습니다.

[앵커]

한일중 정상회의가 4년 5개월 만에 재개되면서 일단 협력 정상화 계기는 마련했다고 볼 수 있을 텐데, 내년에도 열립니까?

[기자]

3국이 논의해야 할 사항인데, 만약 내년 개최에 합의한다면 순번에 따라 일본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한편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리창 총리는 오늘 3개국 경제계가 함께하는 비즈니스 서밋에도 참석해, 경제계 교류도 강조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박주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