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불러온 경제적 부담…이대로면 경제성장률 0%대로

입력 2024.06.19 (21:09) 수정 2024.06.20 (08: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저출생의 원인 가운데 가장 많이 꼽히는 건 바로 경제적인 문젭니다.

출산을 준비하는 사람들 입장에선 당장 내 월급으로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지가 가장 현실적인 고민인데요

이런 부담이 출산과 육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김진화 기자가 부모들을 만났습니다.

[리포트]

서울시가 운영하는 키즈카페입니다.

요금이 아이 한 명에 5천 원이고 보호자 입장료나 음료 구매 필수 같은 조건이 없습니다.

[최은정/서울시 동작구 : "예약 알람 해놨다가 9시에 이제 들어가서, 주말 예약은 그렇게 해야 해요."]

이런 공공 시설이 아니라 사설 키즈카페에 아이와 부모가 함께 가면 2시간에 3만 원가량이 들어갑니다.

이런 지출들이 모이면, 가계 부담은 큰 폭으로 늘어납니다.

육아정책연구소가 집계한 가구당 영유아 양육 비용은 월 127만 3천 원.

하지만 체감 비용은 이보다 훨씬 높습니다.

[김희진/서울시 동작구 : "(육아 관련 용품) 가격 자체도 높은 편이어서 마음이 이제 망설여지다가도 아이에게 필요한 거니까 어쩔 수 없이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서요."]

한 명의 자녀에게 투자를 아끼지 않는 부모 마음을 노려, 업계는 고급화 전략을 내세웁니다.

천만 원 이상 요금을 받는 산후조리원이 늘고 있고, 한 개 70만 원 하는 이 유아 의자는 한 달씩 대기했다가 살 정도로 인깁니다.

이러다 보니, 기저귀와 학습지 등 육아 관련 용품 물가 상승률은 전체 상승률을 웃돕니다.

8살, 3살 두 딸을 키우는 이주현씨.

첫째가 학원을 다니기 시작하면서 한 달 생활비의 절반 가까이가 사교육비로 나갑니다.

[이주현/서울시 강서구 : "(둘째가) 학교 가면 글쎄 만만치 않을 것 같아요. (교육비 지출이) 두 배 이상이 될 거다. 첫째도 이제 고학년이 될 거다, 이미 마음속에 부담이 있죠."]

이런 경제적 부담은 결혼과 출산을 꺼리게 되는 주요 요인입니다.

[김OO/비혼 계획 : "동생 부부가 아기 둘을 키우는 걸 보면서…. 나 혼자 살지만 내가 버는 돈이나 내 시간을 오로지 나만을 위해서 쓸 수 있잖아요."]

국회예산정책처는 지금과 같은 출산율 추세가 이어진다면, 2040년대부터 우리 경제 성장률은 연평균 0%대에 그칠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촬영기자:신동곤 지선호/영상편집:박경상/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저출생 불러온 경제적 부담…이대로면 경제성장률 0%대로
    • 입력 2024-06-19 21:09:48
    • 수정2024-06-20 08:12:17
    뉴스 9
[앵커]

저출생의 원인 가운데 가장 많이 꼽히는 건 바로 경제적인 문젭니다.

출산을 준비하는 사람들 입장에선 당장 내 월급으로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지가 가장 현실적인 고민인데요

이런 부담이 출산과 육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김진화 기자가 부모들을 만났습니다.

[리포트]

서울시가 운영하는 키즈카페입니다.

요금이 아이 한 명에 5천 원이고 보호자 입장료나 음료 구매 필수 같은 조건이 없습니다.

[최은정/서울시 동작구 : "예약 알람 해놨다가 9시에 이제 들어가서, 주말 예약은 그렇게 해야 해요."]

이런 공공 시설이 아니라 사설 키즈카페에 아이와 부모가 함께 가면 2시간에 3만 원가량이 들어갑니다.

이런 지출들이 모이면, 가계 부담은 큰 폭으로 늘어납니다.

육아정책연구소가 집계한 가구당 영유아 양육 비용은 월 127만 3천 원.

하지만 체감 비용은 이보다 훨씬 높습니다.

[김희진/서울시 동작구 : "(육아 관련 용품) 가격 자체도 높은 편이어서 마음이 이제 망설여지다가도 아이에게 필요한 거니까 어쩔 수 없이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서요."]

한 명의 자녀에게 투자를 아끼지 않는 부모 마음을 노려, 업계는 고급화 전략을 내세웁니다.

천만 원 이상 요금을 받는 산후조리원이 늘고 있고, 한 개 70만 원 하는 이 유아 의자는 한 달씩 대기했다가 살 정도로 인깁니다.

이러다 보니, 기저귀와 학습지 등 육아 관련 용품 물가 상승률은 전체 상승률을 웃돕니다.

8살, 3살 두 딸을 키우는 이주현씨.

첫째가 학원을 다니기 시작하면서 한 달 생활비의 절반 가까이가 사교육비로 나갑니다.

[이주현/서울시 강서구 : "(둘째가) 학교 가면 글쎄 만만치 않을 것 같아요. (교육비 지출이) 두 배 이상이 될 거다. 첫째도 이제 고학년이 될 거다, 이미 마음속에 부담이 있죠."]

이런 경제적 부담은 결혼과 출산을 꺼리게 되는 주요 요인입니다.

[김OO/비혼 계획 : "동생 부부가 아기 둘을 키우는 걸 보면서…. 나 혼자 살지만 내가 버는 돈이나 내 시간을 오로지 나만을 위해서 쓸 수 있잖아요."]

국회예산정책처는 지금과 같은 출산율 추세가 이어진다면, 2040년대부터 우리 경제 성장률은 연평균 0%대에 그칠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촬영기자:신동곤 지선호/영상편집:박경상/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