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원주택·월 60만 원 출생수당 파격 대책, 효과는?
입력 2024.07.09 (06:45)
수정 2024.07.09 (06: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신 것처럼 농어촌은 물론, 중소도시까지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 감소 위기에 직면하면서 지자체들은 여러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18살이 될 때까지 출생수당을 주고, 월 임대료 '만 원' 주택을 공급하는 등 말 그대로 파격적인 정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주 전 출산한 임세영 씨.
집은 전남 강진군이지만, 중소도시인 순천의 공공산후조리원에서 몸을 추스르고 있습니다.
대도시까지 가지 않아도 분만과 산후조리가 가능해진 겁니다.
[임세영/공공산후조리원 이용 : "순천엔 (신생아) 집중치료실도 있고 제가 병원에 있다가 산후조리원에 갈 때 강진으로 가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자치단체가 예산을 지원하는 공공산후조리원이 전남에만 5곳, 비용도 저렴해 인기가 많습니다.
출산 장려금 지원 규모도 늘고 있습니다.
7살이 될 때까지 매달 60만 원을 주는 전남 강진군, 정책 시행 이후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전국 2위로 뛰었습니다.
[김태양/전남 강진군 육아수당 수령자 : "가정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약간 그런 것 때문에 저는 90% 이상 (만족하고 있어요)."]
전남 화순군이 시작한 월 임대료 만 원인 이른바 '만원주택', 2035년까지 전남 지역에 천 호가 추가 공급됩니다.
[김황우/전남 화순 만원주택 입주자 : "좋은 시도인 것 같습니다. 그동안에 돈도 많이 저축도 할 것 같고…."]
하지만, 한계도 분명합니다.
지난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간 전남의 20대 청년 순이동률은 - 3.4%,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유천 목포대 교수 : "(지방이 소멸하는 이유는) 청년이 지방을 떠나기 때문인데요. 지방에 살면 살수록 가난해지는 자산 격차 때문입니다."]
올해를 인구소멸 극복 원년으로 정한 전라남도는 18살이 될 때까지 매달 20만 원을 지급하는 정책도 추진 중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신한비 이우재
보신 것처럼 농어촌은 물론, 중소도시까지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 감소 위기에 직면하면서 지자체들은 여러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18살이 될 때까지 출생수당을 주고, 월 임대료 '만 원' 주택을 공급하는 등 말 그대로 파격적인 정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주 전 출산한 임세영 씨.
집은 전남 강진군이지만, 중소도시인 순천의 공공산후조리원에서 몸을 추스르고 있습니다.
대도시까지 가지 않아도 분만과 산후조리가 가능해진 겁니다.
[임세영/공공산후조리원 이용 : "순천엔 (신생아) 집중치료실도 있고 제가 병원에 있다가 산후조리원에 갈 때 강진으로 가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자치단체가 예산을 지원하는 공공산후조리원이 전남에만 5곳, 비용도 저렴해 인기가 많습니다.
출산 장려금 지원 규모도 늘고 있습니다.
7살이 될 때까지 매달 60만 원을 주는 전남 강진군, 정책 시행 이후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전국 2위로 뛰었습니다.
[김태양/전남 강진군 육아수당 수령자 : "가정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약간 그런 것 때문에 저는 90% 이상 (만족하고 있어요)."]
전남 화순군이 시작한 월 임대료 만 원인 이른바 '만원주택', 2035년까지 전남 지역에 천 호가 추가 공급됩니다.
[김황우/전남 화순 만원주택 입주자 : "좋은 시도인 것 같습니다. 그동안에 돈도 많이 저축도 할 것 같고…."]
하지만, 한계도 분명합니다.
지난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간 전남의 20대 청년 순이동률은 - 3.4%,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유천 목포대 교수 : "(지방이 소멸하는 이유는) 청년이 지방을 떠나기 때문인데요. 지방에 살면 살수록 가난해지는 자산 격차 때문입니다."]
올해를 인구소멸 극복 원년으로 정한 전라남도는 18살이 될 때까지 매달 20만 원을 지급하는 정책도 추진 중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신한비 이우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만원주택·월 60만 원 출생수당 파격 대책, 효과는?
-
- 입력 2024-07-09 06:45:25
- 수정2024-07-09 06:54:04

[앵커]
보신 것처럼 농어촌은 물론, 중소도시까지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 감소 위기에 직면하면서 지자체들은 여러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18살이 될 때까지 출생수당을 주고, 월 임대료 '만 원' 주택을 공급하는 등 말 그대로 파격적인 정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주 전 출산한 임세영 씨.
집은 전남 강진군이지만, 중소도시인 순천의 공공산후조리원에서 몸을 추스르고 있습니다.
대도시까지 가지 않아도 분만과 산후조리가 가능해진 겁니다.
[임세영/공공산후조리원 이용 : "순천엔 (신생아) 집중치료실도 있고 제가 병원에 있다가 산후조리원에 갈 때 강진으로 가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자치단체가 예산을 지원하는 공공산후조리원이 전남에만 5곳, 비용도 저렴해 인기가 많습니다.
출산 장려금 지원 규모도 늘고 있습니다.
7살이 될 때까지 매달 60만 원을 주는 전남 강진군, 정책 시행 이후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전국 2위로 뛰었습니다.
[김태양/전남 강진군 육아수당 수령자 : "가정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약간 그런 것 때문에 저는 90% 이상 (만족하고 있어요)."]
전남 화순군이 시작한 월 임대료 만 원인 이른바 '만원주택', 2035년까지 전남 지역에 천 호가 추가 공급됩니다.
[김황우/전남 화순 만원주택 입주자 : "좋은 시도인 것 같습니다. 그동안에 돈도 많이 저축도 할 것 같고…."]
하지만, 한계도 분명합니다.
지난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간 전남의 20대 청년 순이동률은 - 3.4%,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유천 목포대 교수 : "(지방이 소멸하는 이유는) 청년이 지방을 떠나기 때문인데요. 지방에 살면 살수록 가난해지는 자산 격차 때문입니다."]
올해를 인구소멸 극복 원년으로 정한 전라남도는 18살이 될 때까지 매달 20만 원을 지급하는 정책도 추진 중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신한비 이우재
보신 것처럼 농어촌은 물론, 중소도시까지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 감소 위기에 직면하면서 지자체들은 여러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18살이 될 때까지 출생수당을 주고, 월 임대료 '만 원' 주택을 공급하는 등 말 그대로 파격적인 정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주 전 출산한 임세영 씨.
집은 전남 강진군이지만, 중소도시인 순천의 공공산후조리원에서 몸을 추스르고 있습니다.
대도시까지 가지 않아도 분만과 산후조리가 가능해진 겁니다.
[임세영/공공산후조리원 이용 : "순천엔 (신생아) 집중치료실도 있고 제가 병원에 있다가 산후조리원에 갈 때 강진으로 가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자치단체가 예산을 지원하는 공공산후조리원이 전남에만 5곳, 비용도 저렴해 인기가 많습니다.
출산 장려금 지원 규모도 늘고 있습니다.
7살이 될 때까지 매달 60만 원을 주는 전남 강진군, 정책 시행 이후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전국 2위로 뛰었습니다.
[김태양/전남 강진군 육아수당 수령자 : "가정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약간 그런 것 때문에 저는 90% 이상 (만족하고 있어요)."]
전남 화순군이 시작한 월 임대료 만 원인 이른바 '만원주택', 2035년까지 전남 지역에 천 호가 추가 공급됩니다.
[김황우/전남 화순 만원주택 입주자 : "좋은 시도인 것 같습니다. 그동안에 돈도 많이 저축도 할 것 같고…."]
하지만, 한계도 분명합니다.
지난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간 전남의 20대 청년 순이동률은 - 3.4%,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유천 목포대 교수 : "(지방이 소멸하는 이유는) 청년이 지방을 떠나기 때문인데요. 지방에 살면 살수록 가난해지는 자산 격차 때문입니다."]
올해를 인구소멸 극복 원년으로 정한 전라남도는 18살이 될 때까지 매달 20만 원을 지급하는 정책도 추진 중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신한비 이우재
-
-
손민주 기자 hand@kbs.co.kr
손민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