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①섀튼, “논문에서 이름 빼달라”
입력 2005.12.14 (22:1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섀튼 박사가 황우석 교수로부터 점점 더 거리를 두는 움직임입니다.
자신을 줄기세포 연구논문 공동저자에서 빼달라는 요구뿐아니라, 다른 저자들에게 사이언스지에서 논문을 철회하라고 권고하고 나섰습니다.
워싱턴에서 민경욱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제럴드 섀튼 박사가 황우석 교수 등 2005년 논문의 공동 저자들에게 동보 이메일을 보내 논문의 즉각적인 철회를 권고했습니다.
지난 주말 실험의 특정 요소가 조작됐다는 제보를 받은 뒤 논문의 진실성에 상당한 의문을 품게됐다는 게 내세운 이유지만 사이언스지의 입장은 단호합니다.
사이언스지는 제보자 언급부분을 근거 없는 주장일뿐이라고 일축하고 섀튼 교수에 대해서는 서울대와 피츠버그 대학의 조사에 긴밀히 협조나 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섀튼 박사는 또 사이언스지에 대해 자신의 이름을 공동저자에서 빼달라고 요청했지만 이 요구 역시 거부됐습니다.
논문 제출 당시 논문 내용에 완전한 신뢰를 보냈던 사람이 검증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지금에 와서 이름을 빼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게 사이언스지의 논립니다.
<인터뷰>대니얼 케인(사이언스 공보실) : "연구가 잘못됐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습니다. 과학자들이 검증 중입니다."
복제양 돌리로 유명한 영국의 윌머트 교수 등 과학자 8명은 오늘 사이언스에 메일을 보내 과학적 검증은 과학계가 할 일이라며 세포라인에 대한 독립적인 실험을 통해 검증을 받는 게 상책이라고 조언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민경욱입니다.
섀튼 박사가 황우석 교수로부터 점점 더 거리를 두는 움직임입니다.
자신을 줄기세포 연구논문 공동저자에서 빼달라는 요구뿐아니라, 다른 저자들에게 사이언스지에서 논문을 철회하라고 권고하고 나섰습니다.
워싱턴에서 민경욱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제럴드 섀튼 박사가 황우석 교수 등 2005년 논문의 공동 저자들에게 동보 이메일을 보내 논문의 즉각적인 철회를 권고했습니다.
지난 주말 실험의 특정 요소가 조작됐다는 제보를 받은 뒤 논문의 진실성에 상당한 의문을 품게됐다는 게 내세운 이유지만 사이언스지의 입장은 단호합니다.
사이언스지는 제보자 언급부분을 근거 없는 주장일뿐이라고 일축하고 섀튼 교수에 대해서는 서울대와 피츠버그 대학의 조사에 긴밀히 협조나 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섀튼 박사는 또 사이언스지에 대해 자신의 이름을 공동저자에서 빼달라고 요청했지만 이 요구 역시 거부됐습니다.
논문 제출 당시 논문 내용에 완전한 신뢰를 보냈던 사람이 검증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지금에 와서 이름을 빼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게 사이언스지의 논립니다.
<인터뷰>대니얼 케인(사이언스 공보실) : "연구가 잘못됐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습니다. 과학자들이 검증 중입니다."
복제양 돌리로 유명한 영국의 윌머트 교수 등 과학자 8명은 오늘 사이언스에 메일을 보내 과학적 검증은 과학계가 할 일이라며 세포라인에 대한 독립적인 실험을 통해 검증을 받는 게 상책이라고 조언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민경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①섀튼, “논문에서 이름 빼달라”
-
- 입력 2005-12-14 21:10:36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멘트>
섀튼 박사가 황우석 교수로부터 점점 더 거리를 두는 움직임입니다.
자신을 줄기세포 연구논문 공동저자에서 빼달라는 요구뿐아니라, 다른 저자들에게 사이언스지에서 논문을 철회하라고 권고하고 나섰습니다.
워싱턴에서 민경욱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제럴드 섀튼 박사가 황우석 교수 등 2005년 논문의 공동 저자들에게 동보 이메일을 보내 논문의 즉각적인 철회를 권고했습니다.
지난 주말 실험의 특정 요소가 조작됐다는 제보를 받은 뒤 논문의 진실성에 상당한 의문을 품게됐다는 게 내세운 이유지만 사이언스지의 입장은 단호합니다.
사이언스지는 제보자 언급부분을 근거 없는 주장일뿐이라고 일축하고 섀튼 교수에 대해서는 서울대와 피츠버그 대학의 조사에 긴밀히 협조나 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섀튼 박사는 또 사이언스지에 대해 자신의 이름을 공동저자에서 빼달라고 요청했지만 이 요구 역시 거부됐습니다.
논문 제출 당시 논문 내용에 완전한 신뢰를 보냈던 사람이 검증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지금에 와서 이름을 빼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게 사이언스지의 논립니다.
<인터뷰>대니얼 케인(사이언스 공보실) : "연구가 잘못됐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습니다. 과학자들이 검증 중입니다."
복제양 돌리로 유명한 영국의 윌머트 교수 등 과학자 8명은 오늘 사이언스에 메일을 보내 과학적 검증은 과학계가 할 일이라며 세포라인에 대한 독립적인 실험을 통해 검증을 받는 게 상책이라고 조언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민경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황우석 팀 ‘논문 조작’ 파문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