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 “한국 권력공백, 트럼프 복귀 앞두고 동맹 안보에도 악영향”
입력 2024.12.13 (12:18)
수정 2024.12.13 (12: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2·3 비상계엄 사태로 초래된 한국의 ‘권력 공백’ 상태가 국가 안보와 한미 동맹에 위협을 초래하고 있다는 외신 분석이 나왔습니다.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 현지시간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동맹 재검토에 대비해야 하는 한국에서 정치적 마비로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워포는 한국의 현 정국에 대해 “한 달 전만 해도 윤석열 대통령은 골프 연습을 재개하며 새 미국 대통령과 좋은 관계를 시작하려 했지만, 이제는 두 번째 탄핵 표결을 앞두고 정치적 생존을 위해 싸우고 있다”고 요약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이 탄핵을 넘어 체포 가능성에까지 직면했고, 여당과 총리에 의해 직무에서 배제됐으나 헌법상 근거가 있는지 논란이 있는 데다 국방부는 여전히 군 통수권자가 대통령이라고 밝힌 일련의 상황을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결과 한국은 내부 위기에 빠졌다. 누가 책임자이고 책임은 언제까지인지 아무도 모른다”고 꼬집었습니다.
이런 리더십 위기는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맞물리면서 대외 정책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북한과 중국을 견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미 동맹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워포는 지적했습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트럼프 임기가 시작되면) 한국과 독일에 주둔한 미군 병력이 축소되거나, 동맹에 10%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며 “모든 나라가 트럼프 당선인과 직접 만나 손해를 줄여보려 할 텐데, 리더가 없는 한국은 상당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외교부 차관을 지낸 최종건 연세대 교수는 워싱턴포스트에 “워싱턴DC의 우리 친구들은 당장 정부 고위 인사들과 대화할 의사가 없을 것”이라며 “쿠데타 가담자와 대화하고 싶겠느냐”고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조지 W. 부시 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선임보좌관을 지낸 마이클 그린은 “한국 정부의 기능 장애를 북한이 기회라고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고 경고했습니다. 비상계엄 사태가 북한의 도발 우려도 증폭시켰다는 것입니다.
하와이 호놀룰루 소재 ‘대니얼 K 이노우에 아시아태평양안보연구센터’의 라미 김 교수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윤 대통령이 탄핵당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포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그는 여전히 대통령의 권한과 군 통수권을 가지며, 한국 외교의 대표”라며 “그러면 미국 정부는 누구와 대화해야 하느냐. 이는 동맹에 정말 해로운 상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 현지시간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동맹 재검토에 대비해야 하는 한국에서 정치적 마비로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워포는 한국의 현 정국에 대해 “한 달 전만 해도 윤석열 대통령은 골프 연습을 재개하며 새 미국 대통령과 좋은 관계를 시작하려 했지만, 이제는 두 번째 탄핵 표결을 앞두고 정치적 생존을 위해 싸우고 있다”고 요약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이 탄핵을 넘어 체포 가능성에까지 직면했고, 여당과 총리에 의해 직무에서 배제됐으나 헌법상 근거가 있는지 논란이 있는 데다 국방부는 여전히 군 통수권자가 대통령이라고 밝힌 일련의 상황을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결과 한국은 내부 위기에 빠졌다. 누가 책임자이고 책임은 언제까지인지 아무도 모른다”고 꼬집었습니다.
이런 리더십 위기는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맞물리면서 대외 정책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북한과 중국을 견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미 동맹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워포는 지적했습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트럼프 임기가 시작되면) 한국과 독일에 주둔한 미군 병력이 축소되거나, 동맹에 10%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며 “모든 나라가 트럼프 당선인과 직접 만나 손해를 줄여보려 할 텐데, 리더가 없는 한국은 상당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외교부 차관을 지낸 최종건 연세대 교수는 워싱턴포스트에 “워싱턴DC의 우리 친구들은 당장 정부 고위 인사들과 대화할 의사가 없을 것”이라며 “쿠데타 가담자와 대화하고 싶겠느냐”고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조지 W. 부시 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선임보좌관을 지낸 마이클 그린은 “한국 정부의 기능 장애를 북한이 기회라고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고 경고했습니다. 비상계엄 사태가 북한의 도발 우려도 증폭시켰다는 것입니다.
하와이 호놀룰루 소재 ‘대니얼 K 이노우에 아시아태평양안보연구센터’의 라미 김 교수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윤 대통령이 탄핵당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포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그는 여전히 대통령의 권한과 군 통수권을 가지며, 한국 외교의 대표”라며 “그러면 미국 정부는 누구와 대화해야 하느냐. 이는 동맹에 정말 해로운 상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워싱턴포스트 “한국 권력공백, 트럼프 복귀 앞두고 동맹 안보에도 악영향”
-
- 입력 2024-12-13 12:18:19
- 수정2024-12-13 12:33:39
12·3 비상계엄 사태로 초래된 한국의 ‘권력 공백’ 상태가 국가 안보와 한미 동맹에 위협을 초래하고 있다는 외신 분석이 나왔습니다.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 현지시간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동맹 재검토에 대비해야 하는 한국에서 정치적 마비로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워포는 한국의 현 정국에 대해 “한 달 전만 해도 윤석열 대통령은 골프 연습을 재개하며 새 미국 대통령과 좋은 관계를 시작하려 했지만, 이제는 두 번째 탄핵 표결을 앞두고 정치적 생존을 위해 싸우고 있다”고 요약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이 탄핵을 넘어 체포 가능성에까지 직면했고, 여당과 총리에 의해 직무에서 배제됐으나 헌법상 근거가 있는지 논란이 있는 데다 국방부는 여전히 군 통수권자가 대통령이라고 밝힌 일련의 상황을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결과 한국은 내부 위기에 빠졌다. 누가 책임자이고 책임은 언제까지인지 아무도 모른다”고 꼬집었습니다.
이런 리더십 위기는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맞물리면서 대외 정책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북한과 중국을 견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미 동맹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워포는 지적했습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트럼프 임기가 시작되면) 한국과 독일에 주둔한 미군 병력이 축소되거나, 동맹에 10%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며 “모든 나라가 트럼프 당선인과 직접 만나 손해를 줄여보려 할 텐데, 리더가 없는 한국은 상당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외교부 차관을 지낸 최종건 연세대 교수는 워싱턴포스트에 “워싱턴DC의 우리 친구들은 당장 정부 고위 인사들과 대화할 의사가 없을 것”이라며 “쿠데타 가담자와 대화하고 싶겠느냐”고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조지 W. 부시 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선임보좌관을 지낸 마이클 그린은 “한국 정부의 기능 장애를 북한이 기회라고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고 경고했습니다. 비상계엄 사태가 북한의 도발 우려도 증폭시켰다는 것입니다.
하와이 호놀룰루 소재 ‘대니얼 K 이노우에 아시아태평양안보연구센터’의 라미 김 교수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윤 대통령이 탄핵당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포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그는 여전히 대통령의 권한과 군 통수권을 가지며, 한국 외교의 대표”라며 “그러면 미국 정부는 누구와 대화해야 하느냐. 이는 동맹에 정말 해로운 상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 현지시간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동맹 재검토에 대비해야 하는 한국에서 정치적 마비로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워포는 한국의 현 정국에 대해 “한 달 전만 해도 윤석열 대통령은 골프 연습을 재개하며 새 미국 대통령과 좋은 관계를 시작하려 했지만, 이제는 두 번째 탄핵 표결을 앞두고 정치적 생존을 위해 싸우고 있다”고 요약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이 탄핵을 넘어 체포 가능성에까지 직면했고, 여당과 총리에 의해 직무에서 배제됐으나 헌법상 근거가 있는지 논란이 있는 데다 국방부는 여전히 군 통수권자가 대통령이라고 밝힌 일련의 상황을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결과 한국은 내부 위기에 빠졌다. 누가 책임자이고 책임은 언제까지인지 아무도 모른다”고 꼬집었습니다.
이런 리더십 위기는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맞물리면서 대외 정책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북한과 중국을 견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미 동맹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워포는 지적했습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트럼프 임기가 시작되면) 한국과 독일에 주둔한 미군 병력이 축소되거나, 동맹에 10%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며 “모든 나라가 트럼프 당선인과 직접 만나 손해를 줄여보려 할 텐데, 리더가 없는 한국은 상당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외교부 차관을 지낸 최종건 연세대 교수는 워싱턴포스트에 “워싱턴DC의 우리 친구들은 당장 정부 고위 인사들과 대화할 의사가 없을 것”이라며 “쿠데타 가담자와 대화하고 싶겠느냐”고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조지 W. 부시 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선임보좌관을 지낸 마이클 그린은 “한국 정부의 기능 장애를 북한이 기회라고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고 경고했습니다. 비상계엄 사태가 북한의 도발 우려도 증폭시켰다는 것입니다.
하와이 호놀룰루 소재 ‘대니얼 K 이노우에 아시아태평양안보연구센터’의 라미 김 교수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윤 대통령이 탄핵당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포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그는 여전히 대통령의 권한과 군 통수권을 가지며, 한국 외교의 대표”라며 “그러면 미국 정부는 누구와 대화해야 하느냐. 이는 동맹에 정말 해로운 상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무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