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설 복구가 ‘더 위험’
입력 2005.12.26 (22:1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폭설 현장에서 안타까운 인명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집과 축사가 무너지는 걸 막기 위해 지붕위에 올라 눈을 치우려다 일어난 사곱니다.
유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폭설에 반쯤은 무너진 축사 지붕 위에서 열 명이 넘는 장병들이 눈을 치우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녹취> 폭설피해 복구 지원 장병: "많이 미끄럽고, 많이 위험한 적도 있었는데, 인접한 군인과 주민들이 많이 도와줘서..."
하지만 축사의 약한 지붕이 움직이는 사람의 무게까지 감당할 수 있을지 걱정됩니다.
지붕 대부분이 큰 무게를 지탱할 수 없는 슬레이트나 양철로 돼 있기 때문입니다.
한파 속에 지붕 위가 얼음판이 돼 몸의 균형을 잡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눈이 쌓인 지붕 위에서는 경사가 진데다 미끄러워서 서 있는 것조차 힘이 듭니다.
적절한 장비가 없이 복구 작업에 속도를 내는 것도 인명피해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석진(전북 정읍시 덕천면): "눈이 너무 많이 쌓여서 일단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무조건 막 치우고 얇은 데를 깼지요."
지붕에서 미끄러지거나 추락하는 등 지금까지 제설과 복구작업 도중 발생한 인명피해는 사망 한 명에 중경상이 20여 명에 이릅니다.
폭설로 인한 인명 피해보다 제설과 복구작업 도중 발생한 인명 피해가 훨씬 더 많습니다.
지붕에 있는 눈을 치우기 전에 폭설의 무게 때문에 약해질대로 약해진 시설물을 보다 세심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KBS 뉴스 류성호입니다.
폭설 현장에서 안타까운 인명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집과 축사가 무너지는 걸 막기 위해 지붕위에 올라 눈을 치우려다 일어난 사곱니다.
유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폭설에 반쯤은 무너진 축사 지붕 위에서 열 명이 넘는 장병들이 눈을 치우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녹취> 폭설피해 복구 지원 장병: "많이 미끄럽고, 많이 위험한 적도 있었는데, 인접한 군인과 주민들이 많이 도와줘서..."
하지만 축사의 약한 지붕이 움직이는 사람의 무게까지 감당할 수 있을지 걱정됩니다.
지붕 대부분이 큰 무게를 지탱할 수 없는 슬레이트나 양철로 돼 있기 때문입니다.
한파 속에 지붕 위가 얼음판이 돼 몸의 균형을 잡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눈이 쌓인 지붕 위에서는 경사가 진데다 미끄러워서 서 있는 것조차 힘이 듭니다.
적절한 장비가 없이 복구 작업에 속도를 내는 것도 인명피해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석진(전북 정읍시 덕천면): "눈이 너무 많이 쌓여서 일단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무조건 막 치우고 얇은 데를 깼지요."
지붕에서 미끄러지거나 추락하는 등 지금까지 제설과 복구작업 도중 발생한 인명피해는 사망 한 명에 중경상이 20여 명에 이릅니다.
폭설로 인한 인명 피해보다 제설과 복구작업 도중 발생한 인명 피해가 훨씬 더 많습니다.
지붕에 있는 눈을 치우기 전에 폭설의 무게 때문에 약해질대로 약해진 시설물을 보다 세심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KBS 뉴스 류성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설 복구가 ‘더 위험’
-
- 입력 2005-12-26 21:02:32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멘트>
폭설 현장에서 안타까운 인명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집과 축사가 무너지는 걸 막기 위해 지붕위에 올라 눈을 치우려다 일어난 사곱니다.
유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폭설에 반쯤은 무너진 축사 지붕 위에서 열 명이 넘는 장병들이 눈을 치우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녹취> 폭설피해 복구 지원 장병: "많이 미끄럽고, 많이 위험한 적도 있었는데, 인접한 군인과 주민들이 많이 도와줘서..."
하지만 축사의 약한 지붕이 움직이는 사람의 무게까지 감당할 수 있을지 걱정됩니다.
지붕 대부분이 큰 무게를 지탱할 수 없는 슬레이트나 양철로 돼 있기 때문입니다.
한파 속에 지붕 위가 얼음판이 돼 몸의 균형을 잡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눈이 쌓인 지붕 위에서는 경사가 진데다 미끄러워서 서 있는 것조차 힘이 듭니다.
적절한 장비가 없이 복구 작업에 속도를 내는 것도 인명피해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석진(전북 정읍시 덕천면): "눈이 너무 많이 쌓여서 일단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무조건 막 치우고 얇은 데를 깼지요."
지붕에서 미끄러지거나 추락하는 등 지금까지 제설과 복구작업 도중 발생한 인명피해는 사망 한 명에 중경상이 20여 명에 이릅니다.
폭설로 인한 인명 피해보다 제설과 복구작업 도중 발생한 인명 피해가 훨씬 더 많습니다.
지붕에 있는 눈을 치우기 전에 폭설의 무게 때문에 약해질대로 약해진 시설물을 보다 세심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KBS 뉴스 류성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기습 폭설 · 한파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