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면 재정 부담까지”…대안 없나?

입력 2025.02.05 (19:16) 수정 2025.02.05 (20: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처럼 액화수소플랜트의 정상 가동이 지연되면서, 창원시 재정에 큰 부담으로 이어질 지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

사업 실패에 책임을 지고 자칫 천문학적인 손실 비용을 창원시가 떠안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대안은 없는 걸까요,

이어서 이대완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실상 창원시가 절반가량 지분을 투자한 액화수소 시설 운영사인 '하이창원'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돈을 빌려준 대주단이 정상 운전 계획을 세우지 못할 경우, 채무 불이행을 선언할 수 있다며 압박해 온 겁니다.

[창원시 관계자/음성변조 : "(돈을 빌려준 쪽에서) 정상 상업 운전이 불가능하니 기한이익 상실이라든지 채무불이행(디폴트)이라든지 할 수 있다고 통지를 해 온 시점이 (지난달) 말이었습니다."]

결국, 두 달의 유예기간을 받아내며 한고비 넘겼지만,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하이창원'의 운영 자금도 대부분 소진된 상황에서, 연 50억 원의 이자에다 당장 내년부터 710억 원의 대출금도 갚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채무불이행이 되면 창원시가 대출금은 물론, 산업부와 경상남도, 두산 등 공동출자자들에게 280억 원가량의 주주 배상 책임도 질 수 있습니다.

[남재욱/창원시의원/그제/창원시의회 행정사무감사 : "지금 소송으로 가면은 우리 창원시에 (주주) 손실 배상금 요구할 것이고, 그럼 이게 소송이 갔을 때 우리 창원시가 불리하겠네요."]

업계 관계자들은 시설 가동으로 빠른 정상화를 주문합니다.

판매처를 확보해 가며 단기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겁니다.

[수소 관련 기업 임원/음성변조 : "(액화)수소 충전소로 (추가) 구축하는 것이 지금 현실적인 대안 아닌가 싶습니다. (현재) 창원시가 쓰는 수소 버스도 전국적으로 비율이 제일 높고…."]

다만, 액화수소 충전시설 건립에 한 곳당 최소 30억 원의 투자가 필요해, 정부 지원과 규제 완화 등 정책 뒷받침을 끌어내는 창원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대완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최현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대로면 재정 부담까지”…대안 없나?
    • 입력 2025-02-05 19:16:36
    • 수정2025-02-05 20:15:13
    뉴스7(창원)
[앵커]

이처럼 액화수소플랜트의 정상 가동이 지연되면서, 창원시 재정에 큰 부담으로 이어질 지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

사업 실패에 책임을 지고 자칫 천문학적인 손실 비용을 창원시가 떠안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대안은 없는 걸까요,

이어서 이대완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실상 창원시가 절반가량 지분을 투자한 액화수소 시설 운영사인 '하이창원'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돈을 빌려준 대주단이 정상 운전 계획을 세우지 못할 경우, 채무 불이행을 선언할 수 있다며 압박해 온 겁니다.

[창원시 관계자/음성변조 : "(돈을 빌려준 쪽에서) 정상 상업 운전이 불가능하니 기한이익 상실이라든지 채무불이행(디폴트)이라든지 할 수 있다고 통지를 해 온 시점이 (지난달) 말이었습니다."]

결국, 두 달의 유예기간을 받아내며 한고비 넘겼지만,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하이창원'의 운영 자금도 대부분 소진된 상황에서, 연 50억 원의 이자에다 당장 내년부터 710억 원의 대출금도 갚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채무불이행이 되면 창원시가 대출금은 물론, 산업부와 경상남도, 두산 등 공동출자자들에게 280억 원가량의 주주 배상 책임도 질 수 있습니다.

[남재욱/창원시의원/그제/창원시의회 행정사무감사 : "지금 소송으로 가면은 우리 창원시에 (주주) 손실 배상금 요구할 것이고, 그럼 이게 소송이 갔을 때 우리 창원시가 불리하겠네요."]

업계 관계자들은 시설 가동으로 빠른 정상화를 주문합니다.

판매처를 확보해 가며 단기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겁니다.

[수소 관련 기업 임원/음성변조 : "(액화)수소 충전소로 (추가) 구축하는 것이 지금 현실적인 대안 아닌가 싶습니다. (현재) 창원시가 쓰는 수소 버스도 전국적으로 비율이 제일 높고…."]

다만, 액화수소 충전시설 건립에 한 곳당 최소 30억 원의 투자가 필요해, 정부 지원과 규제 완화 등 정책 뒷받침을 끌어내는 창원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대완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최현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