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에 286만 원 쓴다…“공공 조리원은 태부족”
입력 2025.02.06 (07:49)
수정 2025.02.06 (0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만만치 않은 산후조리 비용도 아이 낳기를 꺼리게 하는 이유 중에 하난데요.
산후조리원을 2주 이용하면 평균 280여만 원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공 산후조리원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진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보름 전 쌍둥이를 출산한 이 30대 산모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에 들어왔습니다.
2주 간의 산후조리 비용은 32만 5천 원.
최대 90%까지 구민 할인 혜택을 받았습니다.
[이선빈/30대 산모 : "제가 사실 쌍둥이라서 더 비싸기도 한데 단태아 기준으로도 (사설에선) 보통 한 400~500(만 원)은 잡아야 하더라고요, 아무리 저렴해도. 여기 같은 경우는 비용 절감이 많이 되니까…"]
이런 공공 산후조리원은 전국에 단 21곳, 전체의 4.6%에 불과합니다.
지자체 거주민 우선인데다 비용까지 저렴해 평균 경쟁률이 5:1이 넘습니다.
울며 겨자 먹기로 대부분 산모들은 비싼 민간 산후조리원을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산모 3천여 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2주 남짓 민간 산후조리원에 지출한 평균 비용은 286만 원, 3년 전보다 18%가량 올랐습니다.
서울의 경우 평균 비용은 465만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4천만 원을 넘는 전국 최고가 산후조리원은 독채 정원을 갖추고 1:1 신생아 관리가 가능하다고 홍보합니다.
저출산 여파로 조리원 수가 줄어든데다 임대료 인상 등 영향으로 비용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차은하/공공 산후조리원 원장 : "초기 비용도 많지만 이제 설립을 하고서도 운영 자금들이 많이 필요하잖아요. 조금 더 많이 그런 혜택들을 누릴 수 있게 국가에서 조금 더 관심을 가져주고…"]
취약 지역에 공공 산후조리원 설치를 의무화하거나 비용 감면 혜택을 늘리는 내용이 담긴 법안이 국회에서 발의돼 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박미주
만만치 않은 산후조리 비용도 아이 낳기를 꺼리게 하는 이유 중에 하난데요.
산후조리원을 2주 이용하면 평균 280여만 원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공 산후조리원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진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보름 전 쌍둥이를 출산한 이 30대 산모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에 들어왔습니다.
2주 간의 산후조리 비용은 32만 5천 원.
최대 90%까지 구민 할인 혜택을 받았습니다.
[이선빈/30대 산모 : "제가 사실 쌍둥이라서 더 비싸기도 한데 단태아 기준으로도 (사설에선) 보통 한 400~500(만 원)은 잡아야 하더라고요, 아무리 저렴해도. 여기 같은 경우는 비용 절감이 많이 되니까…"]
이런 공공 산후조리원은 전국에 단 21곳, 전체의 4.6%에 불과합니다.
지자체 거주민 우선인데다 비용까지 저렴해 평균 경쟁률이 5:1이 넘습니다.
울며 겨자 먹기로 대부분 산모들은 비싼 민간 산후조리원을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산모 3천여 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2주 남짓 민간 산후조리원에 지출한 평균 비용은 286만 원, 3년 전보다 18%가량 올랐습니다.
서울의 경우 평균 비용은 465만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4천만 원을 넘는 전국 최고가 산후조리원은 독채 정원을 갖추고 1:1 신생아 관리가 가능하다고 홍보합니다.
저출산 여파로 조리원 수가 줄어든데다 임대료 인상 등 영향으로 비용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차은하/공공 산후조리원 원장 : "초기 비용도 많지만 이제 설립을 하고서도 운영 자금들이 많이 필요하잖아요. 조금 더 많이 그런 혜택들을 누릴 수 있게 국가에서 조금 더 관심을 가져주고…"]
취약 지역에 공공 산후조리원 설치를 의무화하거나 비용 감면 혜택을 늘리는 내용이 담긴 법안이 국회에서 발의돼 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후조리원에 286만 원 쓴다…“공공 조리원은 태부족”
-
- 입력 2025-02-06 07:49:06
- 수정2025-02-06 07:52:34
[앵커]
만만치 않은 산후조리 비용도 아이 낳기를 꺼리게 하는 이유 중에 하난데요.
산후조리원을 2주 이용하면 평균 280여만 원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공 산후조리원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진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보름 전 쌍둥이를 출산한 이 30대 산모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에 들어왔습니다.
2주 간의 산후조리 비용은 32만 5천 원.
최대 90%까지 구민 할인 혜택을 받았습니다.
[이선빈/30대 산모 : "제가 사실 쌍둥이라서 더 비싸기도 한데 단태아 기준으로도 (사설에선) 보통 한 400~500(만 원)은 잡아야 하더라고요, 아무리 저렴해도. 여기 같은 경우는 비용 절감이 많이 되니까…"]
이런 공공 산후조리원은 전국에 단 21곳, 전체의 4.6%에 불과합니다.
지자체 거주민 우선인데다 비용까지 저렴해 평균 경쟁률이 5:1이 넘습니다.
울며 겨자 먹기로 대부분 산모들은 비싼 민간 산후조리원을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산모 3천여 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2주 남짓 민간 산후조리원에 지출한 평균 비용은 286만 원, 3년 전보다 18%가량 올랐습니다.
서울의 경우 평균 비용은 465만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4천만 원을 넘는 전국 최고가 산후조리원은 독채 정원을 갖추고 1:1 신생아 관리가 가능하다고 홍보합니다.
저출산 여파로 조리원 수가 줄어든데다 임대료 인상 등 영향으로 비용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차은하/공공 산후조리원 원장 : "초기 비용도 많지만 이제 설립을 하고서도 운영 자금들이 많이 필요하잖아요. 조금 더 많이 그런 혜택들을 누릴 수 있게 국가에서 조금 더 관심을 가져주고…"]
취약 지역에 공공 산후조리원 설치를 의무화하거나 비용 감면 혜택을 늘리는 내용이 담긴 법안이 국회에서 발의돼 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박미주
만만치 않은 산후조리 비용도 아이 낳기를 꺼리게 하는 이유 중에 하난데요.
산후조리원을 2주 이용하면 평균 280여만 원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공 산후조리원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진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보름 전 쌍둥이를 출산한 이 30대 산모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에 들어왔습니다.
2주 간의 산후조리 비용은 32만 5천 원.
최대 90%까지 구민 할인 혜택을 받았습니다.
[이선빈/30대 산모 : "제가 사실 쌍둥이라서 더 비싸기도 한데 단태아 기준으로도 (사설에선) 보통 한 400~500(만 원)은 잡아야 하더라고요, 아무리 저렴해도. 여기 같은 경우는 비용 절감이 많이 되니까…"]
이런 공공 산후조리원은 전국에 단 21곳, 전체의 4.6%에 불과합니다.
지자체 거주민 우선인데다 비용까지 저렴해 평균 경쟁률이 5:1이 넘습니다.
울며 겨자 먹기로 대부분 산모들은 비싼 민간 산후조리원을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산모 3천여 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2주 남짓 민간 산후조리원에 지출한 평균 비용은 286만 원, 3년 전보다 18%가량 올랐습니다.
서울의 경우 평균 비용은 465만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4천만 원을 넘는 전국 최고가 산후조리원은 독채 정원을 갖추고 1:1 신생아 관리가 가능하다고 홍보합니다.
저출산 여파로 조리원 수가 줄어든데다 임대료 인상 등 영향으로 비용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차은하/공공 산후조리원 원장 : "초기 비용도 많지만 이제 설립을 하고서도 운영 자금들이 많이 필요하잖아요. 조금 더 많이 그런 혜택들을 누릴 수 있게 국가에서 조금 더 관심을 가져주고…"]
취약 지역에 공공 산후조리원 설치를 의무화하거나 비용 감면 혜택을 늘리는 내용이 담긴 법안이 국회에서 발의돼 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박미주
-
-
진선민 기자 jsm@kbs.co.kr
진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