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②양극화 해소, 사회안전망 확보
입력 2005.12.28 (22:1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심화되고 있는 양극화 문제해소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계획입니다.
구체적인 방안을 김현경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의 빈곤층은 7백만 명, 이중 80%는 정부 지원 없이 민간 기관의 무료급식 등으로 힘겨운 겨울나기를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무료급식 대상자: "이렇게 도와주셔서 식사를 하게 해주시니 고마울 따름입니다"
실제로 빈부격차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IMF 이후 급격히 오른 뒤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의 내년 경제운용목표도 양극화 해소에 초점이 맞춰져 우선 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자의 기준을 낮춰 현재 143만 명인 수급 대상자를 19만 명 더 늘리기로 했습니다.
가족의 사망이나 사고 등으로 생계가 어려워진 계층을 우선 지원하는 '긴급복지 지원법'을 도입하고 학습지 교사와 보험 모집인 등 특수형태 근로종사자에 대한 보호대책이 마련됩니다.
저소득층에게 일할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돼 간병인이나 가사 도우미 등의 사업에 예산을 지원해 기업화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입니다.
<인터뷰>배상근(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사회안전망의 구축이 필요하지만 이와함께 이들이 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조건을 여는데 정부가 보다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저출산과 고령사회 해소를 위해 서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보육료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장기대책을 내년 상반기까지 수립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심화되고 있는 양극화 문제해소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계획입니다.
구체적인 방안을 김현경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의 빈곤층은 7백만 명, 이중 80%는 정부 지원 없이 민간 기관의 무료급식 등으로 힘겨운 겨울나기를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무료급식 대상자: "이렇게 도와주셔서 식사를 하게 해주시니 고마울 따름입니다"
실제로 빈부격차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IMF 이후 급격히 오른 뒤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의 내년 경제운용목표도 양극화 해소에 초점이 맞춰져 우선 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자의 기준을 낮춰 현재 143만 명인 수급 대상자를 19만 명 더 늘리기로 했습니다.
가족의 사망이나 사고 등으로 생계가 어려워진 계층을 우선 지원하는 '긴급복지 지원법'을 도입하고 학습지 교사와 보험 모집인 등 특수형태 근로종사자에 대한 보호대책이 마련됩니다.
저소득층에게 일할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돼 간병인이나 가사 도우미 등의 사업에 예산을 지원해 기업화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입니다.
<인터뷰>배상근(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사회안전망의 구축이 필요하지만 이와함께 이들이 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조건을 여는데 정부가 보다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저출산과 고령사회 해소를 위해 서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보육료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장기대책을 내년 상반기까지 수립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②양극화 해소, 사회안전망 확보
-
- 입력 2005-12-28 21:06:01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멘트>
심화되고 있는 양극화 문제해소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계획입니다.
구체적인 방안을 김현경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의 빈곤층은 7백만 명, 이중 80%는 정부 지원 없이 민간 기관의 무료급식 등으로 힘겨운 겨울나기를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무료급식 대상자: "이렇게 도와주셔서 식사를 하게 해주시니 고마울 따름입니다"
실제로 빈부격차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IMF 이후 급격히 오른 뒤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의 내년 경제운용목표도 양극화 해소에 초점이 맞춰져 우선 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자의 기준을 낮춰 현재 143만 명인 수급 대상자를 19만 명 더 늘리기로 했습니다.
가족의 사망이나 사고 등으로 생계가 어려워진 계층을 우선 지원하는 '긴급복지 지원법'을 도입하고 학습지 교사와 보험 모집인 등 특수형태 근로종사자에 대한 보호대책이 마련됩니다.
저소득층에게 일할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돼 간병인이나 가사 도우미 등의 사업에 예산을 지원해 기업화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입니다.
<인터뷰>배상근(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사회안전망의 구축이 필요하지만 이와함께 이들이 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조건을 여는데 정부가 보다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저출산과 고령사회 해소를 위해 서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보육료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장기대책을 내년 상반기까지 수립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