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식 “김용현이 A4용지 건네…계엄군 출동 장소로 인지”

입력 2025.02.13 (16:44) 수정 2025.02.13 (16: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비상계엄 당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국회와 민주당사, 언론사 등이 적힌 종이를 받았다고 진술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오늘(13일) 윤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8차 변론기일에 증언했습니다.

국회 측 대리인인 이금규 변호사가 “윤 대통령이 있는 자리에서 김 전 장관이 A4 문건을 한 장 받았나?”는 질문에 김 전 청장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A4 용지에) ‘2200(오후 10시) 국회’ 부분이 제일 앞에 있었다”면서 “(조지호 경찰청장과) 한 테이블에 같이 앉아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 변호사가 “22시 국회 외에 다른 장소와 시간이 적혀 있었나”고 묻자, 김 전 청장은 “시간과 장소가 몇 군데 적혀 있었던 거로 기억한다”면서 민주당사와 ‘여론조사 꽃’, MBC 등이 기재된 것도 보도를 통해 기억이 났다고 진술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시간대와 장소 등이 적힌 걸로 봐서 계엄군 출동 장소로 인지했다”면서 “경찰 관련한 구체적인 말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시한 의혹이 있는 ‘언론사 단전·단수’에 대해 협조 지시가 있었냐는 질문에 김 전 청장은 “기억도 없고, 언급도 없었을 거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해당 문서를 파쇄했다고 털어놨습니다.

국회 측 변호사가 “현재 문건을 가지고 있냐?”고 묻자 김 전 청장은 “없고, 평소에도 스스로 문서를 많이 파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초유의 급박한 상황에서 체계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부분이 아쉽고, 서울청장으로서 지휘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12.3 비상계엄’ 당시 윤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 경찰 기동대를 동원해 국회 외곽을 봉쇄해 내란 중요 임무 종사 혐의 등으로 지난달 8일 구속기소 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헌법재판소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봉식 “김용현이 A4용지 건네…계엄군 출동 장소로 인지”
    • 입력 2025-02-13 16:44:46
    • 수정2025-02-13 16:48:57
    사회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비상계엄 당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국회와 민주당사, 언론사 등이 적힌 종이를 받았다고 진술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오늘(13일) 윤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8차 변론기일에 증언했습니다.

국회 측 대리인인 이금규 변호사가 “윤 대통령이 있는 자리에서 김 전 장관이 A4 문건을 한 장 받았나?”는 질문에 김 전 청장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A4 용지에) ‘2200(오후 10시) 국회’ 부분이 제일 앞에 있었다”면서 “(조지호 경찰청장과) 한 테이블에 같이 앉아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 변호사가 “22시 국회 외에 다른 장소와 시간이 적혀 있었나”고 묻자, 김 전 청장은 “시간과 장소가 몇 군데 적혀 있었던 거로 기억한다”면서 민주당사와 ‘여론조사 꽃’, MBC 등이 기재된 것도 보도를 통해 기억이 났다고 진술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시간대와 장소 등이 적힌 걸로 봐서 계엄군 출동 장소로 인지했다”면서 “경찰 관련한 구체적인 말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시한 의혹이 있는 ‘언론사 단전·단수’에 대해 협조 지시가 있었냐는 질문에 김 전 청장은 “기억도 없고, 언급도 없었을 거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해당 문서를 파쇄했다고 털어놨습니다.

국회 측 변호사가 “현재 문건을 가지고 있냐?”고 묻자 김 전 청장은 “없고, 평소에도 스스로 문서를 많이 파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초유의 급박한 상황에서 체계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부분이 아쉽고, 서울청장으로서 지휘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12.3 비상계엄’ 당시 윤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 경찰 기동대를 동원해 국회 외곽을 봉쇄해 내란 중요 임무 종사 혐의 등으로 지난달 8일 구속기소 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헌법재판소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