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북송’ 정의용 등 선고 유예…“유죄 인정되지만 제도 공백 고려”
입력 2025.02.20 (12:41)
수정 2025.02.20 (12: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 어민들을 강제로 북송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에게 법원이 징역 10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재판부는 강제북송이 직권남용에 해당한다면서도, 북한 어민들이 저지른 범죄의 흉악성과 제도 공백 등을 참작했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신현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른바 '강제북송' 사건으로 문재인 정부 당시 외교 안보 고위급 인사들은 줄줄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2년 만에 1심 재판부는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에게 징역 10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함께 기소된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에게도 각각 6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재판 과정에서 검찰은 북한 주민이 대한민국 국민의 지위를 갖고 있어, 강제북송으로 이들의 기본권이 침해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정 전 실장 등은 이들이 정부의 심사를 받지 않은 '잠재적 국민' 또는 '전쟁 포로'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재판부는 헌법 3조를 근거로 "북한 지역도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북한 주민 역시 대한민국 국민에 포함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정 전 실장 등이 "신속성만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이틀 만에 북송을 결정하고 닷새 만에 실제로 북송했다"며 "수사와 재판을 통해 책임을 지게 만드는 형사사법 절차가 모두 무용한 것이 돼 버렸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북한 어민들이 선원 16명을 잔인하게 살해한 점이 북송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은 참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재판부는 분단 상태가 지속되면서 유사 사건을 처리할 지침이 마련되지 않았다며, 제도 개선 없이 관련자만 처벌하는 게 옳은지 의문이라고도 지적했습니다.
정 전 실장은 이번 판결에 대해 현명하고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밝혔고, 검찰은 피고인들이 범행을 일체 부인하고 있어 선고 유예 결정은 수긍하기 어렵다며 항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현욱입니다.
촬영기자:유현우/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서수민
북한 어민들을 강제로 북송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에게 법원이 징역 10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재판부는 강제북송이 직권남용에 해당한다면서도, 북한 어민들이 저지른 범죄의 흉악성과 제도 공백 등을 참작했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신현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른바 '강제북송' 사건으로 문재인 정부 당시 외교 안보 고위급 인사들은 줄줄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2년 만에 1심 재판부는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에게 징역 10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함께 기소된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에게도 각각 6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재판 과정에서 검찰은 북한 주민이 대한민국 국민의 지위를 갖고 있어, 강제북송으로 이들의 기본권이 침해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정 전 실장 등은 이들이 정부의 심사를 받지 않은 '잠재적 국민' 또는 '전쟁 포로'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재판부는 헌법 3조를 근거로 "북한 지역도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북한 주민 역시 대한민국 국민에 포함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정 전 실장 등이 "신속성만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이틀 만에 북송을 결정하고 닷새 만에 실제로 북송했다"며 "수사와 재판을 통해 책임을 지게 만드는 형사사법 절차가 모두 무용한 것이 돼 버렸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북한 어민들이 선원 16명을 잔인하게 살해한 점이 북송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은 참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재판부는 분단 상태가 지속되면서 유사 사건을 처리할 지침이 마련되지 않았다며, 제도 개선 없이 관련자만 처벌하는 게 옳은지 의문이라고도 지적했습니다.
정 전 실장은 이번 판결에 대해 현명하고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밝혔고, 검찰은 피고인들이 범행을 일체 부인하고 있어 선고 유예 결정은 수긍하기 어렵다며 항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현욱입니다.
촬영기자:유현우/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제북송’ 정의용 등 선고 유예…“유죄 인정되지만 제도 공백 고려”
-
- 입력 2025-02-20 12:41:39
- 수정2025-02-20 12:48:58

[앵커]
북한 어민들을 강제로 북송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에게 법원이 징역 10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재판부는 강제북송이 직권남용에 해당한다면서도, 북한 어민들이 저지른 범죄의 흉악성과 제도 공백 등을 참작했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신현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른바 '강제북송' 사건으로 문재인 정부 당시 외교 안보 고위급 인사들은 줄줄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2년 만에 1심 재판부는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에게 징역 10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함께 기소된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에게도 각각 6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재판 과정에서 검찰은 북한 주민이 대한민국 국민의 지위를 갖고 있어, 강제북송으로 이들의 기본권이 침해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정 전 실장 등은 이들이 정부의 심사를 받지 않은 '잠재적 국민' 또는 '전쟁 포로'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재판부는 헌법 3조를 근거로 "북한 지역도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북한 주민 역시 대한민국 국민에 포함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정 전 실장 등이 "신속성만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이틀 만에 북송을 결정하고 닷새 만에 실제로 북송했다"며 "수사와 재판을 통해 책임을 지게 만드는 형사사법 절차가 모두 무용한 것이 돼 버렸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북한 어민들이 선원 16명을 잔인하게 살해한 점이 북송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은 참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재판부는 분단 상태가 지속되면서 유사 사건을 처리할 지침이 마련되지 않았다며, 제도 개선 없이 관련자만 처벌하는 게 옳은지 의문이라고도 지적했습니다.
정 전 실장은 이번 판결에 대해 현명하고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밝혔고, 검찰은 피고인들이 범행을 일체 부인하고 있어 선고 유예 결정은 수긍하기 어렵다며 항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현욱입니다.
촬영기자:유현우/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서수민
북한 어민들을 강제로 북송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에게 법원이 징역 10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재판부는 강제북송이 직권남용에 해당한다면서도, 북한 어민들이 저지른 범죄의 흉악성과 제도 공백 등을 참작했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신현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른바 '강제북송' 사건으로 문재인 정부 당시 외교 안보 고위급 인사들은 줄줄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2년 만에 1심 재판부는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에게 징역 10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함께 기소된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에게도 각각 6개월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재판 과정에서 검찰은 북한 주민이 대한민국 국민의 지위를 갖고 있어, 강제북송으로 이들의 기본권이 침해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정 전 실장 등은 이들이 정부의 심사를 받지 않은 '잠재적 국민' 또는 '전쟁 포로'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재판부는 헌법 3조를 근거로 "북한 지역도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북한 주민 역시 대한민국 국민에 포함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정 전 실장 등이 "신속성만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이틀 만에 북송을 결정하고 닷새 만에 실제로 북송했다"며 "수사와 재판을 통해 책임을 지게 만드는 형사사법 절차가 모두 무용한 것이 돼 버렸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북한 어민들이 선원 16명을 잔인하게 살해한 점이 북송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은 참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재판부는 분단 상태가 지속되면서 유사 사건을 처리할 지침이 마련되지 않았다며, 제도 개선 없이 관련자만 처벌하는 게 옳은지 의문이라고도 지적했습니다.
정 전 실장은 이번 판결에 대해 현명하고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밝혔고, 검찰은 피고인들이 범행을 일체 부인하고 있어 선고 유예 결정은 수긍하기 어렵다며 항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현욱입니다.
촬영기자:유현우/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서수민
-
-
신현욱 기자 woogi@kbs.co.kr
신현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