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단위 돌려막기…믿고 맡기라던 ‘랩어카운트’의 민낯
입력 2025.02.20 (21:21)
수정 2025.02.21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1:1로 개인 운동 교습 받는 분 많으시죠.
비용은 좀 들지만, 맞춤형으로 운동할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그런데 투자할 때도 1:1 상품들이 있습니다.
독립 계좌에서 한 명 자산만 맞춤형으로 굴려주는 '랩어카운트'란 상품이 대표적입니다.
직역하면 계좌를 싸다, 이런 뜻입니다.
주식과 채권, 펀드, 기업어음 등 여러 상품을 쌈밥처럼 싸서 판매하고, 1인 독립 계좌에서 따로 운용해 수익을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투자 전문가인 증권사를 믿고 맡겨달란 취지의 상품인 거죠.
그런데, 실상은 달랐습니다.
뒤늦게 드러난 랩어카운트의 민낯,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년 전 어린이날.
유명 장난감을 주제로 한 테마파크, '레고랜드'가 문을 엽니다.
[필 로일/레고랜드 사장/2022년 5월 당시 : "오늘은 한국에서 매우 특별한 휴일인 백 번째 어린이날입니다."]
하지만, 개장 넉 달 만에 금융 시장을 뒤흔듭니다.
건설비로 쓴 2천억 원대 기업어음에 대해 강원도가 보증 중단을 선언한 것.
지자체의 채권마저 부도날 수 있단 공포감에 채권값이 폭락합니다.
이 여파로 채권형 랩어카운트가 직격탄을 맞습니다.
주로 채권과 기업어음만 모아둔 상품이다 보니, 채권값 급락이 대규모 원금 손실로 이어진 겁니다.
그런데 시중 증권사들은 이 손실을 감추기로 합니다.
채권형 랩어카운트의 고객은 대부분 대기업이나 연기금인데, 자칫 큰 손 고객을 잃을 거란 걱정에 선을 넘은 겁니다.
고객마다 만기가 다른 점을 악용한 '돌려막기'가 시작됩니다.
만기가 임박한 계좌입니다.
기업어음 가격이 폭락해 이대로면 꼼짝없이 원금 손실.
다른 증권사에 기업어음을 훨씬 비싸게 팔아 '손실'을 '수익'으로 둔갑시킵니다.
동시에 상대 증권사의 비슷한 상품을, 이번엔 만기가 더 남은 다른 고객 돈으로 비싸게 사줍니다.
이 고객의 손실을 저 고객에게 떠넘긴 셈입니다.
레고랜드 사태 여파가 지속된 2022년 하반기에만 증권사별로 수백에서 수천 건씩, 조 단위 손실을 돌려막았습니다.
[이복현/금융감독원장 : "(금융당국이) 문제 삼은 최초의 건이고, 투자 이익 침해 등을 볼 때 이게 가벼이 볼 수 없다…."]
금융위원회는 적발된 증권사 9곳에 과태료 289억여 원을 부과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 고형석/영상편집 한찬의/그래픽:김경진 김지혜
요즘 1:1로 개인 운동 교습 받는 분 많으시죠.
비용은 좀 들지만, 맞춤형으로 운동할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그런데 투자할 때도 1:1 상품들이 있습니다.
독립 계좌에서 한 명 자산만 맞춤형으로 굴려주는 '랩어카운트'란 상품이 대표적입니다.
직역하면 계좌를 싸다, 이런 뜻입니다.
주식과 채권, 펀드, 기업어음 등 여러 상품을 쌈밥처럼 싸서 판매하고, 1인 독립 계좌에서 따로 운용해 수익을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투자 전문가인 증권사를 믿고 맡겨달란 취지의 상품인 거죠.
그런데, 실상은 달랐습니다.
뒤늦게 드러난 랩어카운트의 민낯,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년 전 어린이날.
유명 장난감을 주제로 한 테마파크, '레고랜드'가 문을 엽니다.
[필 로일/레고랜드 사장/2022년 5월 당시 : "오늘은 한국에서 매우 특별한 휴일인 백 번째 어린이날입니다."]
하지만, 개장 넉 달 만에 금융 시장을 뒤흔듭니다.
건설비로 쓴 2천억 원대 기업어음에 대해 강원도가 보증 중단을 선언한 것.
지자체의 채권마저 부도날 수 있단 공포감에 채권값이 폭락합니다.
이 여파로 채권형 랩어카운트가 직격탄을 맞습니다.
주로 채권과 기업어음만 모아둔 상품이다 보니, 채권값 급락이 대규모 원금 손실로 이어진 겁니다.
그런데 시중 증권사들은 이 손실을 감추기로 합니다.
채권형 랩어카운트의 고객은 대부분 대기업이나 연기금인데, 자칫 큰 손 고객을 잃을 거란 걱정에 선을 넘은 겁니다.
고객마다 만기가 다른 점을 악용한 '돌려막기'가 시작됩니다.
만기가 임박한 계좌입니다.
기업어음 가격이 폭락해 이대로면 꼼짝없이 원금 손실.
다른 증권사에 기업어음을 훨씬 비싸게 팔아 '손실'을 '수익'으로 둔갑시킵니다.
동시에 상대 증권사의 비슷한 상품을, 이번엔 만기가 더 남은 다른 고객 돈으로 비싸게 사줍니다.
이 고객의 손실을 저 고객에게 떠넘긴 셈입니다.
레고랜드 사태 여파가 지속된 2022년 하반기에만 증권사별로 수백에서 수천 건씩, 조 단위 손실을 돌려막았습니다.
[이복현/금융감독원장 : "(금융당국이) 문제 삼은 최초의 건이고, 투자 이익 침해 등을 볼 때 이게 가벼이 볼 수 없다…."]
금융위원회는 적발된 증권사 9곳에 과태료 289억여 원을 부과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 고형석/영상편집 한찬의/그래픽:김경진 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 단위 돌려막기…믿고 맡기라던 ‘랩어카운트’의 민낯
-
- 입력 2025-02-20 21:21:42
- 수정2025-02-21 07:54:14

[앵커]
요즘 1:1로 개인 운동 교습 받는 분 많으시죠.
비용은 좀 들지만, 맞춤형으로 운동할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그런데 투자할 때도 1:1 상품들이 있습니다.
독립 계좌에서 한 명 자산만 맞춤형으로 굴려주는 '랩어카운트'란 상품이 대표적입니다.
직역하면 계좌를 싸다, 이런 뜻입니다.
주식과 채권, 펀드, 기업어음 등 여러 상품을 쌈밥처럼 싸서 판매하고, 1인 독립 계좌에서 따로 운용해 수익을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투자 전문가인 증권사를 믿고 맡겨달란 취지의 상품인 거죠.
그런데, 실상은 달랐습니다.
뒤늦게 드러난 랩어카운트의 민낯,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년 전 어린이날.
유명 장난감을 주제로 한 테마파크, '레고랜드'가 문을 엽니다.
[필 로일/레고랜드 사장/2022년 5월 당시 : "오늘은 한국에서 매우 특별한 휴일인 백 번째 어린이날입니다."]
하지만, 개장 넉 달 만에 금융 시장을 뒤흔듭니다.
건설비로 쓴 2천억 원대 기업어음에 대해 강원도가 보증 중단을 선언한 것.
지자체의 채권마저 부도날 수 있단 공포감에 채권값이 폭락합니다.
이 여파로 채권형 랩어카운트가 직격탄을 맞습니다.
주로 채권과 기업어음만 모아둔 상품이다 보니, 채권값 급락이 대규모 원금 손실로 이어진 겁니다.
그런데 시중 증권사들은 이 손실을 감추기로 합니다.
채권형 랩어카운트의 고객은 대부분 대기업이나 연기금인데, 자칫 큰 손 고객을 잃을 거란 걱정에 선을 넘은 겁니다.
고객마다 만기가 다른 점을 악용한 '돌려막기'가 시작됩니다.
만기가 임박한 계좌입니다.
기업어음 가격이 폭락해 이대로면 꼼짝없이 원금 손실.
다른 증권사에 기업어음을 훨씬 비싸게 팔아 '손실'을 '수익'으로 둔갑시킵니다.
동시에 상대 증권사의 비슷한 상품을, 이번엔 만기가 더 남은 다른 고객 돈으로 비싸게 사줍니다.
이 고객의 손실을 저 고객에게 떠넘긴 셈입니다.
레고랜드 사태 여파가 지속된 2022년 하반기에만 증권사별로 수백에서 수천 건씩, 조 단위 손실을 돌려막았습니다.
[이복현/금융감독원장 : "(금융당국이) 문제 삼은 최초의 건이고, 투자 이익 침해 등을 볼 때 이게 가벼이 볼 수 없다…."]
금융위원회는 적발된 증권사 9곳에 과태료 289억여 원을 부과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 고형석/영상편집 한찬의/그래픽:김경진 김지혜
요즘 1:1로 개인 운동 교습 받는 분 많으시죠.
비용은 좀 들지만, 맞춤형으로 운동할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그런데 투자할 때도 1:1 상품들이 있습니다.
독립 계좌에서 한 명 자산만 맞춤형으로 굴려주는 '랩어카운트'란 상품이 대표적입니다.
직역하면 계좌를 싸다, 이런 뜻입니다.
주식과 채권, 펀드, 기업어음 등 여러 상품을 쌈밥처럼 싸서 판매하고, 1인 독립 계좌에서 따로 운용해 수익을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투자 전문가인 증권사를 믿고 맡겨달란 취지의 상품인 거죠.
그런데, 실상은 달랐습니다.
뒤늦게 드러난 랩어카운트의 민낯,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년 전 어린이날.
유명 장난감을 주제로 한 테마파크, '레고랜드'가 문을 엽니다.
[필 로일/레고랜드 사장/2022년 5월 당시 : "오늘은 한국에서 매우 특별한 휴일인 백 번째 어린이날입니다."]
하지만, 개장 넉 달 만에 금융 시장을 뒤흔듭니다.
건설비로 쓴 2천억 원대 기업어음에 대해 강원도가 보증 중단을 선언한 것.
지자체의 채권마저 부도날 수 있단 공포감에 채권값이 폭락합니다.
이 여파로 채권형 랩어카운트가 직격탄을 맞습니다.
주로 채권과 기업어음만 모아둔 상품이다 보니, 채권값 급락이 대규모 원금 손실로 이어진 겁니다.
그런데 시중 증권사들은 이 손실을 감추기로 합니다.
채권형 랩어카운트의 고객은 대부분 대기업이나 연기금인데, 자칫 큰 손 고객을 잃을 거란 걱정에 선을 넘은 겁니다.
고객마다 만기가 다른 점을 악용한 '돌려막기'가 시작됩니다.
만기가 임박한 계좌입니다.
기업어음 가격이 폭락해 이대로면 꼼짝없이 원금 손실.
다른 증권사에 기업어음을 훨씬 비싸게 팔아 '손실'을 '수익'으로 둔갑시킵니다.
동시에 상대 증권사의 비슷한 상품을, 이번엔 만기가 더 남은 다른 고객 돈으로 비싸게 사줍니다.
이 고객의 손실을 저 고객에게 떠넘긴 셈입니다.
레고랜드 사태 여파가 지속된 2022년 하반기에만 증권사별로 수백에서 수천 건씩, 조 단위 손실을 돌려막았습니다.
[이복현/금융감독원장 : "(금융당국이) 문제 삼은 최초의 건이고, 투자 이익 침해 등을 볼 때 이게 가벼이 볼 수 없다…."]
금융위원회는 적발된 증권사 9곳에 과태료 289억여 원을 부과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 고형석/영상편집 한찬의/그래픽:김경진 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