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조트 화재 질식 6명…불 난 1층으로 대피?

입력 2025.02.24 (19:04) 수정 2025.02.24 (20: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장군 리조트 화재 수사 속보입니다.

당시 숨진 근로자 6명은 화재 당시, 승강기를 타고 하필, 불이 난 1층으로 이동했다가 질식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대피 안내만 적절했더라면 큰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었을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근로자 6명이 숨진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

불이 나자 숨진 근로자 중 4명은 지하 2층에서 승강기를 탔고, 그리고 1~2분 뒤 2명은 지하 3층에서 승강기를 탔습니다.

이들이 내린 곳은 1층.

불이 번질 대로 번져 유독가스로 가득 찼던 장소입니다.

리조트 건물이 경사가 있는 땅 위에 지어진 특성상, 외부로 바로 대피할 수 있었지만 오히려 불이 난 1층으로 이동했다가 몇 초 만에 질식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화재 감식 결과, 경찰은 "숨진 작업자들이 지하층에서 작업 도구를 가져갔다"며 화재 연기가 차기 시작한 시점에 "승강기를 타고 1층으로 대피하려 했던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당시 불이 난 지점에 대한 안내방송이 제때 나왔거나 적절한 대피 안내만 있었다면 큰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었던 것.

대피 교육과 훈련 역시 부실했다는 진술이 나왔습니다.

[현장 작업자/음성변조 : "교육을 받은 걸로 사인을 하고 그냥 나가는 걸로 그런 식으로 너무나 부실하게…."]

화재 당시 소방 안전관리자와 화재 감시자가 제대로 배치되지 않았거나 제 역할을 못 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옵니다.

[류상일/동의대 소방방재행정학과 교수 : "소방 안전관리자가 있었으면 아마 정상적으로 대피로 안내라든가 이런 것들이 가능했었고, 그러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그런 여지가 있었다고…."]

경찰은 이번 주 감식 결과가 나오면 정확한 화재 원인과 대응, 인허가 절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사 관계자 등을 입건해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조양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리조트 화재 질식 6명…불 난 1층으로 대피?
    • 입력 2025-02-24 19:04:57
    • 수정2025-02-24 20:27:11
    뉴스7(부산)
[앵커]

기장군 리조트 화재 수사 속보입니다.

당시 숨진 근로자 6명은 화재 당시, 승강기를 타고 하필, 불이 난 1층으로 이동했다가 질식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대피 안내만 적절했더라면 큰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었을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근로자 6명이 숨진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

불이 나자 숨진 근로자 중 4명은 지하 2층에서 승강기를 탔고, 그리고 1~2분 뒤 2명은 지하 3층에서 승강기를 탔습니다.

이들이 내린 곳은 1층.

불이 번질 대로 번져 유독가스로 가득 찼던 장소입니다.

리조트 건물이 경사가 있는 땅 위에 지어진 특성상, 외부로 바로 대피할 수 있었지만 오히려 불이 난 1층으로 이동했다가 몇 초 만에 질식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화재 감식 결과, 경찰은 "숨진 작업자들이 지하층에서 작업 도구를 가져갔다"며 화재 연기가 차기 시작한 시점에 "승강기를 타고 1층으로 대피하려 했던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당시 불이 난 지점에 대한 안내방송이 제때 나왔거나 적절한 대피 안내만 있었다면 큰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었던 것.

대피 교육과 훈련 역시 부실했다는 진술이 나왔습니다.

[현장 작업자/음성변조 : "교육을 받은 걸로 사인을 하고 그냥 나가는 걸로 그런 식으로 너무나 부실하게…."]

화재 당시 소방 안전관리자와 화재 감시자가 제대로 배치되지 않았거나 제 역할을 못 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옵니다.

[류상일/동의대 소방방재행정학과 교수 : "소방 안전관리자가 있었으면 아마 정상적으로 대피로 안내라든가 이런 것들이 가능했었고, 그러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그런 여지가 있었다고…."]

경찰은 이번 주 감식 결과가 나오면 정확한 화재 원인과 대응, 인허가 절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사 관계자 등을 입건해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조양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