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탑에 둥지 튼 흰꼬리수리, 인간 간섭에 품던 알 포기

입력 2025.03.20 (21:48) 수정 2025.03.20 (2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경기 안산 대부도에서 번식에 성공했던 흰꼬리수리, KBS가 생생히 전해드렸는데요.

이번엔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올해도 흰꼬리수리 한 쌍이 찾아와 둥지를 틀고 알을 낳았는데, 품던 알을 최근 포기하고 떠났습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멸종위기 1급 흰꼬리수리, 지난해 24년 만에 국내에서 번식이 확인됐습니다.

이곳에서 1.5 킬로미터 떨어진 송전탑, 30미터 높이에 둥지가 새로 생겼습니다.

하지만 반나절 넘도록 흰꼬리수리가 보이지 않습니다.

[최종인/시화호지킴이 : "그냥 떠난 거죠, 저건. 여기서 보면 (흰꼬리수리가) 둥지를 쓰겠다고 그러면 저기 머리가 딱 보여야 해요."]

알은 낳았을까.

하늘에서 본 둥지. 지름 1.5미터, 가장자리를 단단한 가지로 엮었고, 속은 부드럽게 만들었습니다.

작고 하얀 알 한 개.

하지만, 깨져 있습니다.

[최종인/시화호지킴이 : "(알을 까치가) 파먹었네, 파먹은 거 같아요. 둥지를 뜨면 까치가 공격하거든요."]

얼마 전까지도 알과 둥지를 지키려는 모습이 확인됐습니다.

[박완혁/목격자/지난 8일/원거리 촬영 : "큰부리까마귀가 가까이 와서 위협을 해도 둥지에 있는 개체는 가만히 있고 밖에 있는 개체가 쫓아내는 등의 행동을 해서 아 둥지에 뭔가 중요한 게 있구나…."]

사달이 난 건 다음날.

[박완혁/목격자/지난 9일/원거리 촬영 : "멀리서 봐도 두 마리가 날고 있는 게 보여서 어 둘 다 날고 있으면 안 될 텐데 하고 이제 그 둥지 쪽을 보니까 사람들이 올라가 있더라고요. (카메라가) 찰칵찰칵 소리를 내니까 다시 멀어졌다가 그게 너무 안타깝더라고요. 너무 화가 나고."]

["얼마나 많이 다녔으면 이 갈대밭에 길이 났잖아요."]

[최종인/시화호지킴이 : "올해 실패했다면 내년에 와서 안전하게 둥지를 틀어야 하는데 내년에도 만약에 이렇게 간섭한다고 하면 또 실패하잖아요. 그러면 개체 수는 줄어들고 여기를 떠날 수밖에 없는 거죠."]

[김한규/경희대 생물학과 조교수 : "미국이나 유럽, 영국 같은 경우는 번식기 동안은 적어도 100m 이내로는 사람의 접근을 막고 있고요. 이걸 어겼거나 이걸로 인해서 번식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과태료를 강하게 부과하고 실형을 받습니다."]

어렵게 찾아온 공존의 기회, 사람의 욕심으로 위기를 맞았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송전탑에 둥지 튼 흰꼬리수리, 인간 간섭에 품던 알 포기
    • 입력 2025-03-20 21:48:04
    • 수정2025-03-20 21:50:24
    뉴스9(경인)
[앵커]

지난해 경기 안산 대부도에서 번식에 성공했던 흰꼬리수리, KBS가 생생히 전해드렸는데요.

이번엔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올해도 흰꼬리수리 한 쌍이 찾아와 둥지를 틀고 알을 낳았는데, 품던 알을 최근 포기하고 떠났습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멸종위기 1급 흰꼬리수리, 지난해 24년 만에 국내에서 번식이 확인됐습니다.

이곳에서 1.5 킬로미터 떨어진 송전탑, 30미터 높이에 둥지가 새로 생겼습니다.

하지만 반나절 넘도록 흰꼬리수리가 보이지 않습니다.

[최종인/시화호지킴이 : "그냥 떠난 거죠, 저건. 여기서 보면 (흰꼬리수리가) 둥지를 쓰겠다고 그러면 저기 머리가 딱 보여야 해요."]

알은 낳았을까.

하늘에서 본 둥지. 지름 1.5미터, 가장자리를 단단한 가지로 엮었고, 속은 부드럽게 만들었습니다.

작고 하얀 알 한 개.

하지만, 깨져 있습니다.

[최종인/시화호지킴이 : "(알을 까치가) 파먹었네, 파먹은 거 같아요. 둥지를 뜨면 까치가 공격하거든요."]

얼마 전까지도 알과 둥지를 지키려는 모습이 확인됐습니다.

[박완혁/목격자/지난 8일/원거리 촬영 : "큰부리까마귀가 가까이 와서 위협을 해도 둥지에 있는 개체는 가만히 있고 밖에 있는 개체가 쫓아내는 등의 행동을 해서 아 둥지에 뭔가 중요한 게 있구나…."]

사달이 난 건 다음날.

[박완혁/목격자/지난 9일/원거리 촬영 : "멀리서 봐도 두 마리가 날고 있는 게 보여서 어 둘 다 날고 있으면 안 될 텐데 하고 이제 그 둥지 쪽을 보니까 사람들이 올라가 있더라고요. (카메라가) 찰칵찰칵 소리를 내니까 다시 멀어졌다가 그게 너무 안타깝더라고요. 너무 화가 나고."]

["얼마나 많이 다녔으면 이 갈대밭에 길이 났잖아요."]

[최종인/시화호지킴이 : "올해 실패했다면 내년에 와서 안전하게 둥지를 틀어야 하는데 내년에도 만약에 이렇게 간섭한다고 하면 또 실패하잖아요. 그러면 개체 수는 줄어들고 여기를 떠날 수밖에 없는 거죠."]

[김한규/경희대 생물학과 조교수 : "미국이나 유럽, 영국 같은 경우는 번식기 동안은 적어도 100m 이내로는 사람의 접근을 막고 있고요. 이걸 어겼거나 이걸로 인해서 번식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과태료를 강하게 부과하고 실형을 받습니다."]

어렵게 찾아온 공존의 기회, 사람의 욕심으로 위기를 맞았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