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호 관세 앞두고 한국 수입소고기 30개월 월령 제한 지적

입력 2025.04.01 (09:34) 수정 2025.04.01 (10: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상호 관세 발표일인 4월 2일을 이틀 앞두고 미국 무역대표부가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한국에 대해선 소고기 수입 제한 조치 등을 무역 장벽으로 언급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무역대표부가 발표한 무역장벽보고서입니다.

한국과 관련된 내용은 7쪽 분량으로, 우선 30개월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금지 조치가 16년간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자동차 업체가 한국 시장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건 미국업계의 우선순위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네트워크 망 사용료나 산업별 규제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모두 한국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 근거로 삼을 수 있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2일, 로즈가든에서 상호 관세를 발표할 거라고 예고했습니다.

특히 현시점에서 예외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미국을 불공정하게 대우해 온 나라는 어떤 나라든지 이번 수요일에 보복 관세를 받을 것으로 예상해야 합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도 상호 관세는 특정 국가만 골라내는 것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어제 : "(10~15개국에 관세를 부과할 예정입니까?) 누가 10개, 15개국이라고 했나요? 우리는 모든 나라부터 시작할 겁니다. 그러니 어떻게 되는지 지켜보죠."]

일주일 전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국가나 산업은 상호 관세 면제 대상이 될 수 있다며 유연성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강경책으로 선회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습니다.

트럼프는 참모들에게 관세 부과 범위를 더 넓히고, 높은 관세율을 적용하는 방안을 주문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갈수록 높아지는 물가 상승 우려로 국정 운영 동력이 떨어지는 걸 막기 위해 정면 돌파를 선택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자료조사:박은진 이승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상호 관세 앞두고 한국 수입소고기 30개월 월령 제한 지적
    • 입력 2025-04-01 09:34:14
    • 수정2025-04-01 10:35:40
    930뉴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상호 관세 발표일인 4월 2일을 이틀 앞두고 미국 무역대표부가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한국에 대해선 소고기 수입 제한 조치 등을 무역 장벽으로 언급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무역대표부가 발표한 무역장벽보고서입니다.

한국과 관련된 내용은 7쪽 분량으로, 우선 30개월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금지 조치가 16년간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자동차 업체가 한국 시장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건 미국업계의 우선순위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네트워크 망 사용료나 산업별 규제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모두 한국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 근거로 삼을 수 있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2일, 로즈가든에서 상호 관세를 발표할 거라고 예고했습니다.

특히 현시점에서 예외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미국을 불공정하게 대우해 온 나라는 어떤 나라든지 이번 수요일에 보복 관세를 받을 것으로 예상해야 합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도 상호 관세는 특정 국가만 골라내는 것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어제 : "(10~15개국에 관세를 부과할 예정입니까?) 누가 10개, 15개국이라고 했나요? 우리는 모든 나라부터 시작할 겁니다. 그러니 어떻게 되는지 지켜보죠."]

일주일 전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국가나 산업은 상호 관세 면제 대상이 될 수 있다며 유연성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강경책으로 선회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습니다.

트럼프는 참모들에게 관세 부과 범위를 더 넓히고, 높은 관세율을 적용하는 방안을 주문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갈수록 높아지는 물가 상승 우려로 국정 운영 동력이 떨어지는 걸 막기 위해 정면 돌파를 선택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자료조사:박은진 이승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