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싹 줄였수다”…꼼수 인상 ‘슈링크플레이션’ 적발, 내가 먹은 것도? [이슈픽]
입력 2025.04.01 (18:09)
수정 2025.04.01 (18: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뜨끈하고 매콤한 국물, 꼬들꼬들한 면발이 입안에 착 감기는 이 맛! '라면'입니다.
대표적인 서민음식으로 생각돼왔는데, 언제부턴가 한 번에 두 개씩 끓여먹기엔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그렇습니다.
문제는 가격이죠.
요즘은 이 라면도 한 봉지 '천 원'입니다.
[박경옥/서울 중구/지난 3월 : "너무 비싸니까 이걸 사야 되나 말아야 되나 저것도 사야 되나 말아야 되나 그 생각 고민하다가..."]
어디 라면뿐일까요.
커피와 냉동식품, 이름만 들어도 친숙한 국민 과자와 빵, 케이크까지...
안 오른 걸 찾는 게 더 쉬울 정돕니다.
[송유주/서울시 영등포구/지난 2월 : "커피 가격이 오르니까 테이크아웃은 좀 저렴한 데를 이용하는데, 저가 커피도 좀 올라서 조금 덜 마시는 건 사실이고…."]
줄줄이 오르는 가격을 생산자, 기업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재룟값이 올라서 제품 가격을 올리고는 싶은데, 그러자니 구매 심리가 움츠러들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죠.
이렇다보니 나타나는 게 바로 꼼수입니다.
몰래 용량을 줄이고, 단위 가격을 인상하는 거죠.
일명 '슈링크플레이션'.
줄어든다는 뜻의 슈링크와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을 합친 단업니다.
대부분의 소비자가 가격 인상엔 민감하지만, 용량 차이는 잘 보지 않는 '인지 편향'을 이용한 겁니다.
[허예랑/서울시 영등포구/지난해 6월 : "개수가 줄었으니까 그런 거 보면 내가 원래 사려던 가격보다 비싸게 샀다는 그런 생각이 들죠."]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4분기 실태 조사를 통해, 이 같은 꼼수를 쓴 국내 상품 4가지, 해외 5가지 총 9개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제조 상품 중 제주감귤초콜릿은 용량을 14% , 수입산 위토스 골든 초콜릿은 20%나 줄였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꼼수.
알게 모르게 우리 일상에 파고든 건 꽤 오래전부터입니다.
"질소를 샀더니 과자가 딸려왔다".
봉지만 빵빵하고, 내용물은 실속 없는 이른바 '질소 과자'도 1997년 외환 위기 때부터 등장했습니다.
[유성호/공주대 전기학과 4학년 : "저희는 국내 과자 업체에게 소비자 중심의 사고를 가졌으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10여 년 전에는 이런 업계의 상술에 불만을 품은 대학생들이, '질소 과자'로 뗏목을 만들어 한강을 건너기도 했는데요.
잘 모르는 채 당해서, 알고 나면 더 기분 나쁜 슈링크플레이션.
상품을 살 때 전체 가격보다는 '단위당' 가격을 확인하고, 제품 겉면의 '용량'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대표적인 서민음식으로 생각돼왔는데, 언제부턴가 한 번에 두 개씩 끓여먹기엔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그렇습니다.
문제는 가격이죠.
요즘은 이 라면도 한 봉지 '천 원'입니다.
[박경옥/서울 중구/지난 3월 : "너무 비싸니까 이걸 사야 되나 말아야 되나 저것도 사야 되나 말아야 되나 그 생각 고민하다가..."]
어디 라면뿐일까요.
커피와 냉동식품, 이름만 들어도 친숙한 국민 과자와 빵, 케이크까지...
안 오른 걸 찾는 게 더 쉬울 정돕니다.
[송유주/서울시 영등포구/지난 2월 : "커피 가격이 오르니까 테이크아웃은 좀 저렴한 데를 이용하는데, 저가 커피도 좀 올라서 조금 덜 마시는 건 사실이고…."]
줄줄이 오르는 가격을 생산자, 기업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재룟값이 올라서 제품 가격을 올리고는 싶은데, 그러자니 구매 심리가 움츠러들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죠.
이렇다보니 나타나는 게 바로 꼼수입니다.
몰래 용량을 줄이고, 단위 가격을 인상하는 거죠.
일명 '슈링크플레이션'.
줄어든다는 뜻의 슈링크와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을 합친 단업니다.
대부분의 소비자가 가격 인상엔 민감하지만, 용량 차이는 잘 보지 않는 '인지 편향'을 이용한 겁니다.
[허예랑/서울시 영등포구/지난해 6월 : "개수가 줄었으니까 그런 거 보면 내가 원래 사려던 가격보다 비싸게 샀다는 그런 생각이 들죠."]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4분기 실태 조사를 통해, 이 같은 꼼수를 쓴 국내 상품 4가지, 해외 5가지 총 9개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제조 상품 중 제주감귤초콜릿은 용량을 14% , 수입산 위토스 골든 초콜릿은 20%나 줄였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꼼수.
알게 모르게 우리 일상에 파고든 건 꽤 오래전부터입니다.
"질소를 샀더니 과자가 딸려왔다".
봉지만 빵빵하고, 내용물은 실속 없는 이른바 '질소 과자'도 1997년 외환 위기 때부터 등장했습니다.
[유성호/공주대 전기학과 4학년 : "저희는 국내 과자 업체에게 소비자 중심의 사고를 가졌으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10여 년 전에는 이런 업계의 상술에 불만을 품은 대학생들이, '질소 과자'로 뗏목을 만들어 한강을 건너기도 했는데요.
잘 모르는 채 당해서, 알고 나면 더 기분 나쁜 슈링크플레이션.
상품을 살 때 전체 가격보다는 '단위당' 가격을 확인하고, 제품 겉면의 '용량'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싹 줄였수다”…꼼수 인상 ‘슈링크플레이션’ 적발, 내가 먹은 것도? [이슈픽]
-
- 입력 2025-04-01 18:09:58
- 수정2025-04-01 18:30:45

뜨끈하고 매콤한 국물, 꼬들꼬들한 면발이 입안에 착 감기는 이 맛! '라면'입니다.
대표적인 서민음식으로 생각돼왔는데, 언제부턴가 한 번에 두 개씩 끓여먹기엔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그렇습니다.
문제는 가격이죠.
요즘은 이 라면도 한 봉지 '천 원'입니다.
[박경옥/서울 중구/지난 3월 : "너무 비싸니까 이걸 사야 되나 말아야 되나 저것도 사야 되나 말아야 되나 그 생각 고민하다가..."]
어디 라면뿐일까요.
커피와 냉동식품, 이름만 들어도 친숙한 국민 과자와 빵, 케이크까지...
안 오른 걸 찾는 게 더 쉬울 정돕니다.
[송유주/서울시 영등포구/지난 2월 : "커피 가격이 오르니까 테이크아웃은 좀 저렴한 데를 이용하는데, 저가 커피도 좀 올라서 조금 덜 마시는 건 사실이고…."]
줄줄이 오르는 가격을 생산자, 기업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재룟값이 올라서 제품 가격을 올리고는 싶은데, 그러자니 구매 심리가 움츠러들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죠.
이렇다보니 나타나는 게 바로 꼼수입니다.
몰래 용량을 줄이고, 단위 가격을 인상하는 거죠.
일명 '슈링크플레이션'.
줄어든다는 뜻의 슈링크와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을 합친 단업니다.
대부분의 소비자가 가격 인상엔 민감하지만, 용량 차이는 잘 보지 않는 '인지 편향'을 이용한 겁니다.
[허예랑/서울시 영등포구/지난해 6월 : "개수가 줄었으니까 그런 거 보면 내가 원래 사려던 가격보다 비싸게 샀다는 그런 생각이 들죠."]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4분기 실태 조사를 통해, 이 같은 꼼수를 쓴 국내 상품 4가지, 해외 5가지 총 9개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제조 상품 중 제주감귤초콜릿은 용량을 14% , 수입산 위토스 골든 초콜릿은 20%나 줄였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꼼수.
알게 모르게 우리 일상에 파고든 건 꽤 오래전부터입니다.
"질소를 샀더니 과자가 딸려왔다".
봉지만 빵빵하고, 내용물은 실속 없는 이른바 '질소 과자'도 1997년 외환 위기 때부터 등장했습니다.
[유성호/공주대 전기학과 4학년 : "저희는 국내 과자 업체에게 소비자 중심의 사고를 가졌으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10여 년 전에는 이런 업계의 상술에 불만을 품은 대학생들이, '질소 과자'로 뗏목을 만들어 한강을 건너기도 했는데요.
잘 모르는 채 당해서, 알고 나면 더 기분 나쁜 슈링크플레이션.
상품을 살 때 전체 가격보다는 '단위당' 가격을 확인하고, 제품 겉면의 '용량'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대표적인 서민음식으로 생각돼왔는데, 언제부턴가 한 번에 두 개씩 끓여먹기엔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그렇습니다.
문제는 가격이죠.
요즘은 이 라면도 한 봉지 '천 원'입니다.
[박경옥/서울 중구/지난 3월 : "너무 비싸니까 이걸 사야 되나 말아야 되나 저것도 사야 되나 말아야 되나 그 생각 고민하다가..."]
어디 라면뿐일까요.
커피와 냉동식품, 이름만 들어도 친숙한 국민 과자와 빵, 케이크까지...
안 오른 걸 찾는 게 더 쉬울 정돕니다.
[송유주/서울시 영등포구/지난 2월 : "커피 가격이 오르니까 테이크아웃은 좀 저렴한 데를 이용하는데, 저가 커피도 좀 올라서 조금 덜 마시는 건 사실이고…."]
줄줄이 오르는 가격을 생산자, 기업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재룟값이 올라서 제품 가격을 올리고는 싶은데, 그러자니 구매 심리가 움츠러들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죠.
이렇다보니 나타나는 게 바로 꼼수입니다.
몰래 용량을 줄이고, 단위 가격을 인상하는 거죠.
일명 '슈링크플레이션'.
줄어든다는 뜻의 슈링크와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을 합친 단업니다.
대부분의 소비자가 가격 인상엔 민감하지만, 용량 차이는 잘 보지 않는 '인지 편향'을 이용한 겁니다.
[허예랑/서울시 영등포구/지난해 6월 : "개수가 줄었으니까 그런 거 보면 내가 원래 사려던 가격보다 비싸게 샀다는 그런 생각이 들죠."]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4분기 실태 조사를 통해, 이 같은 꼼수를 쓴 국내 상품 4가지, 해외 5가지 총 9개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제조 상품 중 제주감귤초콜릿은 용량을 14% , 수입산 위토스 골든 초콜릿은 20%나 줄였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꼼수.
알게 모르게 우리 일상에 파고든 건 꽤 오래전부터입니다.
"질소를 샀더니 과자가 딸려왔다".
봉지만 빵빵하고, 내용물은 실속 없는 이른바 '질소 과자'도 1997년 외환 위기 때부터 등장했습니다.
[유성호/공주대 전기학과 4학년 : "저희는 국내 과자 업체에게 소비자 중심의 사고를 가졌으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10여 년 전에는 이런 업계의 상술에 불만을 품은 대학생들이, '질소 과자'로 뗏목을 만들어 한강을 건너기도 했는데요.
잘 모르는 채 당해서, 알고 나면 더 기분 나쁜 슈링크플레이션.
상품을 살 때 전체 가격보다는 '단위당' 가격을 확인하고, 제품 겉면의 '용량'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