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말한다] 진화헬기 부품 수급 비상…“이대론 4~5월 못 버틴다”
입력 2025.04.02 (12:34)
수정 2025.04.02 (13: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구 온도가 오르면 잦아지는 또 하나의 재앙, 바로 '산불'이죠?
지난달 국내에서도 동시다발 산불이 일어나 국토의 많은 면적을 잃었는데요.
이런 일에 대비하기 위해 산불 진화 헬기를 운용하고 있지만 부품 수급에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정재훈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열흘 동안 이어졌던 영남 지역 초대형 산불, 전국에서 동원된 산불 진화 헬기 120여 대 가운데 4분의 1인 32대는 '카모프'라고 불리는 러시아산 중형 헬기였습니다.
한 번에 3천 리터 이상의 물을 담을 수 있어, 5백에서 최대 천 리터인 소형 헬기보다 산불 진화에 핵심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 민간 헬기 업체도 이번 산불에 카모프 헬기 2대를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고장이 날 경우 더 이상 지원이 어렵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러시아에서 헬기 부품 도입이 어려워 수급난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윤덕환/헬기업체 이사 : "터키, 두바이 또는 중국을 통해 우회해서 부품을 수급하고 있어요. 부품 가격이 그것만큼 상회해서 올라가는 부담이 있기 때문에…."]
산림청도 상황은 마찬가집니다.
산림청이 보유한 중대형 헬기 39대 중 29대가 카모프 기종입니다.
이 가운데 8대는 부품이 없어 운항이 불가능해지자, 아예 다른 헬기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하는 용도로 전락했습니다.
[김만주/산림청 산림항공본부장 : "8대가 다 정상적으로 운영됐다라고 하면 산불 대응하는 데 있어서 조금 더 어떻게 보면 수월, 어떻게 보면 좀 더 나았겠죠."]
문제는 앞으롭니다.
건조한 날씨 탓에 다음달 중순까지는 산불 위험이 계속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
부품 수급에 발목이 잡힌 중대형 헬기 운용이 어려워지면 산불 대응도 그만큼 고전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지구 온도가 오르면 잦아지는 또 하나의 재앙, 바로 '산불'이죠?
지난달 국내에서도 동시다발 산불이 일어나 국토의 많은 면적을 잃었는데요.
이런 일에 대비하기 위해 산불 진화 헬기를 운용하고 있지만 부품 수급에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정재훈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열흘 동안 이어졌던 영남 지역 초대형 산불, 전국에서 동원된 산불 진화 헬기 120여 대 가운데 4분의 1인 32대는 '카모프'라고 불리는 러시아산 중형 헬기였습니다.
한 번에 3천 리터 이상의 물을 담을 수 있어, 5백에서 최대 천 리터인 소형 헬기보다 산불 진화에 핵심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 민간 헬기 업체도 이번 산불에 카모프 헬기 2대를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고장이 날 경우 더 이상 지원이 어렵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러시아에서 헬기 부품 도입이 어려워 수급난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윤덕환/헬기업체 이사 : "터키, 두바이 또는 중국을 통해 우회해서 부품을 수급하고 있어요. 부품 가격이 그것만큼 상회해서 올라가는 부담이 있기 때문에…."]
산림청도 상황은 마찬가집니다.
산림청이 보유한 중대형 헬기 39대 중 29대가 카모프 기종입니다.
이 가운데 8대는 부품이 없어 운항이 불가능해지자, 아예 다른 헬기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하는 용도로 전락했습니다.
[김만주/산림청 산림항공본부장 : "8대가 다 정상적으로 운영됐다라고 하면 산불 대응하는 데 있어서 조금 더 어떻게 보면 수월, 어떻게 보면 좀 더 나았겠죠."]
문제는 앞으롭니다.
건조한 날씨 탓에 다음달 중순까지는 산불 위험이 계속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
부품 수급에 발목이 잡힌 중대형 헬기 운용이 어려워지면 산불 대응도 그만큼 고전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후는 말한다] 진화헬기 부품 수급 비상…“이대론 4~5월 못 버틴다”
-
- 입력 2025-04-02 12:34:24
- 수정2025-04-02 13:09:56

[앵커]
지구 온도가 오르면 잦아지는 또 하나의 재앙, 바로 '산불'이죠?
지난달 국내에서도 동시다발 산불이 일어나 국토의 많은 면적을 잃었는데요.
이런 일에 대비하기 위해 산불 진화 헬기를 운용하고 있지만 부품 수급에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정재훈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열흘 동안 이어졌던 영남 지역 초대형 산불, 전국에서 동원된 산불 진화 헬기 120여 대 가운데 4분의 1인 32대는 '카모프'라고 불리는 러시아산 중형 헬기였습니다.
한 번에 3천 리터 이상의 물을 담을 수 있어, 5백에서 최대 천 리터인 소형 헬기보다 산불 진화에 핵심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 민간 헬기 업체도 이번 산불에 카모프 헬기 2대를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고장이 날 경우 더 이상 지원이 어렵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러시아에서 헬기 부품 도입이 어려워 수급난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윤덕환/헬기업체 이사 : "터키, 두바이 또는 중국을 통해 우회해서 부품을 수급하고 있어요. 부품 가격이 그것만큼 상회해서 올라가는 부담이 있기 때문에…."]
산림청도 상황은 마찬가집니다.
산림청이 보유한 중대형 헬기 39대 중 29대가 카모프 기종입니다.
이 가운데 8대는 부품이 없어 운항이 불가능해지자, 아예 다른 헬기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하는 용도로 전락했습니다.
[김만주/산림청 산림항공본부장 : "8대가 다 정상적으로 운영됐다라고 하면 산불 대응하는 데 있어서 조금 더 어떻게 보면 수월, 어떻게 보면 좀 더 나았겠죠."]
문제는 앞으롭니다.
건조한 날씨 탓에 다음달 중순까지는 산불 위험이 계속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
부품 수급에 발목이 잡힌 중대형 헬기 운용이 어려워지면 산불 대응도 그만큼 고전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지구 온도가 오르면 잦아지는 또 하나의 재앙, 바로 '산불'이죠?
지난달 국내에서도 동시다발 산불이 일어나 국토의 많은 면적을 잃었는데요.
이런 일에 대비하기 위해 산불 진화 헬기를 운용하고 있지만 부품 수급에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정재훈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열흘 동안 이어졌던 영남 지역 초대형 산불, 전국에서 동원된 산불 진화 헬기 120여 대 가운데 4분의 1인 32대는 '카모프'라고 불리는 러시아산 중형 헬기였습니다.
한 번에 3천 리터 이상의 물을 담을 수 있어, 5백에서 최대 천 리터인 소형 헬기보다 산불 진화에 핵심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 민간 헬기 업체도 이번 산불에 카모프 헬기 2대를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고장이 날 경우 더 이상 지원이 어렵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러시아에서 헬기 부품 도입이 어려워 수급난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윤덕환/헬기업체 이사 : "터키, 두바이 또는 중국을 통해 우회해서 부품을 수급하고 있어요. 부품 가격이 그것만큼 상회해서 올라가는 부담이 있기 때문에…."]
산림청도 상황은 마찬가집니다.
산림청이 보유한 중대형 헬기 39대 중 29대가 카모프 기종입니다.
이 가운데 8대는 부품이 없어 운항이 불가능해지자, 아예 다른 헬기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하는 용도로 전락했습니다.
[김만주/산림청 산림항공본부장 : "8대가 다 정상적으로 운영됐다라고 하면 산불 대응하는 데 있어서 조금 더 어떻게 보면 수월, 어떻게 보면 좀 더 나았겠죠."]
문제는 앞으롭니다.
건조한 날씨 탓에 다음달 중순까지는 산불 위험이 계속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
부품 수급에 발목이 잡힌 중대형 헬기 운용이 어려워지면 산불 대응도 그만큼 고전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
-
정재훈 기자 jjh119@kbs.co.kr
정재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