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시민사회 “尹 파면 환영…구속·처벌 등은 과제”
입력 2025.04.04 (15:10)
수정 2025.04.04 (15: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헌법재판소가 만장일치로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하면서 전북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잇따라 환영 의견 등을 냈습니다.
시민사회단체 80여 개로 이뤄진 윤석열퇴진전북운동본부는 오늘(4일) 전주 도심에서 선고 결과를 생중계로 지켜본 뒤 "늦어도 너무 늦었지만,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를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12·3 비상계엄 명백한 내란이라며, 내란을 획책하고 국민 분열과 선동을 일삼은 윤 전 대통령을 감옥으로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래로부터전북노동연대도 성명을 내고 "늦었지만 당연한 결정이며, (앞으로) 내란 세력 청산과 함께 지난해 12월 3일 전날로 돌아가는 데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
이어 "허물어진 민주공화국의 토대를 새로 쌓아 올리고, 의회를 부정하는 대통령도 국정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대통령제 자체를 고쳐야 한다"며 개헌 필요성을 시사했습니다.
전북지역공동추진위원회는 "국헌 문란과 내란을 기도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즉각적인 구속이 뒤따라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생명과 안전마저 위협했던 폭정은 마땅한 파국을 맞았지만, 당면한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며,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세우는 일이 과제로 남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시민사회단체 80여 개로 이뤄진 윤석열퇴진전북운동본부는 오늘(4일) 전주 도심에서 선고 결과를 생중계로 지켜본 뒤 "늦어도 너무 늦었지만,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를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12·3 비상계엄 명백한 내란이라며, 내란을 획책하고 국민 분열과 선동을 일삼은 윤 전 대통령을 감옥으로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래로부터전북노동연대도 성명을 내고 "늦었지만 당연한 결정이며, (앞으로) 내란 세력 청산과 함께 지난해 12월 3일 전날로 돌아가는 데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
이어 "허물어진 민주공화국의 토대를 새로 쌓아 올리고, 의회를 부정하는 대통령도 국정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대통령제 자체를 고쳐야 한다"며 개헌 필요성을 시사했습니다.
전북지역공동추진위원회는 "국헌 문란과 내란을 기도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즉각적인 구속이 뒤따라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생명과 안전마저 위협했던 폭정은 마땅한 파국을 맞았지만, 당면한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며,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세우는 일이 과제로 남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북 시민사회 “尹 파면 환영…구속·처벌 등은 과제”
-
- 입력 2025-04-04 15:10:16
- 수정2025-04-04 15:12:29

헌법재판소가 만장일치로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하면서 전북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잇따라 환영 의견 등을 냈습니다.
시민사회단체 80여 개로 이뤄진 윤석열퇴진전북운동본부는 오늘(4일) 전주 도심에서 선고 결과를 생중계로 지켜본 뒤 "늦어도 너무 늦었지만,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를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12·3 비상계엄 명백한 내란이라며, 내란을 획책하고 국민 분열과 선동을 일삼은 윤 전 대통령을 감옥으로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래로부터전북노동연대도 성명을 내고 "늦었지만 당연한 결정이며, (앞으로) 내란 세력 청산과 함께 지난해 12월 3일 전날로 돌아가는 데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
이어 "허물어진 민주공화국의 토대를 새로 쌓아 올리고, 의회를 부정하는 대통령도 국정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대통령제 자체를 고쳐야 한다"며 개헌 필요성을 시사했습니다.
전북지역공동추진위원회는 "국헌 문란과 내란을 기도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즉각적인 구속이 뒤따라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생명과 안전마저 위협했던 폭정은 마땅한 파국을 맞았지만, 당면한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며,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세우는 일이 과제로 남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시민사회단체 80여 개로 이뤄진 윤석열퇴진전북운동본부는 오늘(4일) 전주 도심에서 선고 결과를 생중계로 지켜본 뒤 "늦어도 너무 늦었지만,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를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12·3 비상계엄 명백한 내란이라며, 내란을 획책하고 국민 분열과 선동을 일삼은 윤 전 대통령을 감옥으로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래로부터전북노동연대도 성명을 내고 "늦었지만 당연한 결정이며, (앞으로) 내란 세력 청산과 함께 지난해 12월 3일 전날로 돌아가는 데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
이어 "허물어진 민주공화국의 토대를 새로 쌓아 올리고, 의회를 부정하는 대통령도 국정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대통령제 자체를 고쳐야 한다"며 개헌 필요성을 시사했습니다.
전북지역공동추진위원회는 "국헌 문란과 내란을 기도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즉각적인 구속이 뒤따라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생명과 안전마저 위협했던 폭정은 마땅한 파국을 맞았지만, 당면한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며,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세우는 일이 과제로 남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서윤덕 기자 duck@kbs.co.kr
서윤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